a-10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103 [2025/05/26 09:57] – ssio2 | a-103 [2025/06/01 11:13] (현재) – ssio2 | ||
---|---|---|---|
줄 20: | 줄 20: | ||
有風標眉目如畫才調華膽將無施不可旣屈跡于州縣則又不以職務爲卑冗抑首文 | 有風標眉目如畫才調華膽將無施不可旣屈跡于州縣則又不以職務爲卑冗抑首文 | ||
- | 簿盡心民事其在新寧歲值不稔視民之飢若已飢之賑恤得宜民以蘇息前政逋負公 | + | 簿盡心民事其在新寧歲値不稔視民之飢若已飢之賑恤得宜民以蘇息前政逋負公 |
- | 能節縮補填數充則焚其券尤留意學校增新文廟力加勸導又就古縣剏學舍一區扁 | + | 能節縮補塡數充則焚其券尤留意學校增新文廟力加勸導又就古縣剏學舍一區扁 |
爲白鶴書院藏書置田士心興慕丹陽甫下車考視四境則僅餘數十戶盡尫悴顚連者 | 爲白鶴書院藏書置田士心興慕丹陽甫下車考視四境則僅餘數十戶盡尫悴顚連者 | ||
乃詢究積弊之由慨然曰官以民爲本此弊不除吾民無生何以官爲即上疏極言之其 | 乃詢究積弊之由慨然曰官以民爲本此弊不除吾民無生何以官爲即上疏極言之其 | ||
- | 綱一云云其目十云云\_御批獎諭曰無非愛君憂國予甚嘉焉特命限十年蠲貢二十 | + | 綱一云云其目十云云\_御批奬諭曰無非愛君憂國予甚嘉焉特命限十年蠲貢二十 |
餘條非公誠格于天何以得振古所無之\_恩典乎由是丹民鼓舞流亡四集鄕校瀕於 | 餘條非公誠格于天何以得振古所無之\_恩典乎由是丹民鼓舞流亡四集鄕校瀕於 | ||
山澗往往有侵齧之患公命之移建得地于郡治之東村良制美一邑改觀其不以財殫 | 山澗往往有侵齧之患公命之移建得地于郡治之東村良制美一邑改觀其不以財殫 | ||
줄 58: | 줄 58: | ||
娶禮安人察訪李文樑之女無子以弟秀良之子瑍爲嗣以明年甲子正月日葬于郡東 | 娶禮安人察訪李文樑之女無子以弟秀良之子瑍爲嗣以明年甲子正月日葬于郡東 | ||
- | 山内谷坎坐之原先塋之左察訪即聾巖先生之胤初識公於先生之門相與遊從最久 | + | 山內谷坎坐之原先塋之左察訪即聾巖先生之胤初識公於先生之門相與遊從最久 |
且密愚陋無聞得公警發者多公之退歸實有往來修舊之約而公常憂我老病難保豈 | 且密愚陋無聞得公警發者多公之退歸實有往來修舊之約而公常憂我老病難保豈 | ||
料今日老病者在世而反哭君於康彊之年也哉公之言行可記者鄭重而不敢盡獨撮 | 料今日老病者在世而反哭君於康彊之年也哉公之言行可記者鄭重而不敢盡獨撮 | ||
줄 208: | 줄 208: | ||
\_들은 바로는 임종 때에도 정신이 똑똑하여 흐리지 않음이 이와 같았다고 한다.\\ | \_들은 바로는 임종 때에도 정신이 똑똑하여 흐리지 않음이 이와 같았다고 한다.\\ | ||
\_공은 예안인(禮安人) 찰방(察訪) 이문량(李文樑)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아들이 없어 | \_공은 예안인(禮安人) 찰방(察訪) 이문량(李文樑)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아들이 없어 | ||
- | 수량의 아들 지환(之瑍)으로 후사를 삼았다. 이듬해 갑자년(1564(一五六四)) 정월 어느날 고을의 동쪽산 내곡(内谷) 감좌(坎坐)의 언덕 선영(先塋)의 좌편에 장사지냈다. | + | 수량의 아들 지환(之瑍)으로 후사를 삼았다. 이듬해 갑자년(1564(一五六四)) 정월 어느날 고을의 동쪽산 내곡(內谷) 감좌(坎坐)의 언덕 선영(先塋)의 좌편에 장사지냈다. |
찰방은 즉 농암(聾巖)(이현보의 호)선생의 아들이다. 나 황(滉)이 공(公)을 농암선생의 | 찰방은 즉 농암(聾巖)(이현보의 호)선생의 아들이다. 나 황(滉)이 공(公)을 농암선생의 | ||
문하에서 처음으로 | 문하에서 처음으로 |
a-103.174822106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6 09:5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