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10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104 [2025/05/22 13:12] ssio2a-104 [2025/05/26 10:02] (현재) ssio2
줄 6: 줄 6:
 而累經兵燹遺蹟蕩佚墓所則在於榮之東斗月里德洞山乙坐之原而子孫分屑年代 而累經兵燹遺蹟蕩佚墓所則在於榮之東斗月里德洞山乙坐之原而子孫分屑年代
 愈遠嘗有樵牧之口傳猶不得深目之詳徵嗟乎遠矣當當千孫之祖豈無尊崇之典迺 愈遠嘗有樵牧之口傳猶不得深目之詳徵嗟乎遠矣當當千孫之祖豈無尊崇之典迺
-於\_上之甲辰歲閏論郁芝諸宗設壇奠嘗已數百禩矣然以儀物事蹟之未修爲+於\_上之甲辰歲閏論郁芝諸宗設壇奠嘗已數百禩矣然以儀物事蹟之未修爲
 後裔之恨今於戊午秋遠近宗族合謀伐石將擬神道碑其後裔孫世燮甫<fc #ff0000>賣</fc>斗庵金公 後裔之恨今於戊午秋遠近宗族合謀伐石將擬神道碑其後裔孫世燮甫<fc #ff0000>賣</fc>斗庵金公
 所撰壇碑文一篇來請余銘其碑竊惟斗庵公即中古之斯文宿德也考據必詳立言甚 所撰壇碑文一篇來請余銘其碑竊惟斗庵公即中古之斯文宿德也考據必詳立言甚
줄 14: 줄 14:
 公爲高曾祖若考也公以元至正三年癸未生登文科尹漢城府判禮工曹自少至老愛 公爲高曾祖若考也公以元至正三年癸未生登文科尹漢城府判禮工曹自少至老愛
 誦論語一部世稱米囷先生詩文有唐人風調出仕中外晩以謝病南歸掃灑軒楣於龜 誦論語一部世稱米囷先生詩文有唐人風調出仕中外晩以謝病南歸掃灑軒楣於龜
-城下城底里第即三判書古宅是也配貞夫人奉化鄭氏刑部書云敬女生三男一女+城下城底里第即三判書古宅是也配貞夫人奉化鄭氏刑部書云敬女生三男一女
 長銓薦持平次鉉成均館大司成次鋋生員訓導女宣城金少良縣令\_贈兵判銓男孟 長銓薦持平次鉉成均館大司成次鋋生員訓導女宣城金少良縣令\_贈兵判銓男孟
 夏生員仲夏出系仲父鉉后季夏監察女權孝騫進士鉉男仲夏生員孫曰啓沃弘文館 夏生員仲夏出系仲父鉉后季夏監察女權孝騫進士鉉男仲夏生員孫曰啓沃弘文館
줄 23: 줄 23:
 所抱之實經濟之擴也當時朝評公之詩文有唐人風調文章事行已著於世斯可以想 所抱之實經濟之擴也當時朝評公之詩文有唐人風調文章事行已著於世斯可以想
 像於百世之遠矣何用以愚言之贅是爲銘銘曰懿歟米老邵代碩德爱入\_國初擢拜 像於百世之遠矣何用以愚言之贅是爲銘銘曰懿歟米老邵代碩德爱入\_國初擢拜
-崇爵工深魯傳詩合唐調德業文章宜顯于世間經兵燹家乘幾掃及墓所久闕守護+崇爵工深魯傳詩合唐調德業文章宜顯于世間經兵燹家乘幾掃及墓所久闕守護
 兩世封塋難析疑信乃築祭壇焄享歲薦今竪顯碑昭揚厥蹟雲仍增悵路人必式我銘 兩世封塋難析疑信乃築祭壇焄享歲薦今竪顯碑昭揚厥蹟雲仍增悵路人必式我銘
 其最永詔千歷\\ 其最永詔千歷\\
줄 34: 줄 34:
 \\ \\
 \_자헌대부 공조판서 미균 황선생 신도비\\ \_자헌대부 공조판서 미균 황선생 신도비\\
-\_옛날 강헌대왕(康獻大王) 때에 자헌대부 공조판서 미균(未)선생이 있었으니 사적(事跡)과+\_옛날 강헌대왕(康獻大王) 때에 자헌대부 공조판서 미균(未)선생이 있었으니 사적(事跡)과
 문헌(文獻)이 반드시 세상에 전해질 만한 것이 있었을 것인데 여러 차례 난리를 겪는 동안 문헌(文獻)이 반드시 세상에 전해질 만한 것이 있었을 것인데 여러 차례 난리를 겪는 동안
 불타서 유적(遺跡)이 없어지고 묘소도 영주(榮州) 동쪽 두월리(斗月里) 덕동산(德洞山) 불타서 유적(遺跡)이 없어지고 묘소도 영주(榮州) 동쪽 두월리(斗月里) 덕동산(德洞山)
줄 92: 줄 92:
 間經兵燹 그 동안 병화(兵火)를 겪게 되자 \\ 間經兵燹 그 동안 병화(兵火)를 겪게 되자 \\
 家乘幾掃 집안의 역사가 거의 다 없어지고, \\ 家乘幾掃 집안의 역사가 거의 다 없어지고, \\
-及墓所 묘소도 (매 한가지로) \\+及墓所 묘소도 (매 한가지로) \\
 久闕守護 오랫동안 수호를 못하니\\ 久闕守護 오랫동안 수호를 못하니\\
 兩世封塋 두 대(代)의 무덤이 \\ 兩世封塋 두 대(代)의 무덤이 \\
a-104.17478871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2 13:12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