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0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105 [2025/05/21 12:36] – ssio2 | a-105 [2025/05/27 16:20] (현재) – ssio2 | ||
---|---|---|---|
줄 4: | 줄 4: | ||
\_通訓大夫司憲府持平黃公銓之祭壇碑\\ | \_通訓大夫司憲府持平黃公銓之祭壇碑\\ | ||
此故通訓大夫司憲府持平黃公之墓也日其傍後孫順變世燮甫袖其先蹟一通屬晉 | 此故通訓大夫司憲府持平黃公之墓也日其傍後孫順變世燮甫袖其先蹟一通屬晉 | ||
- | 秀以顯刻之文余以耄睛惡能當是寄固辭不獲按公諱銓姓黃氏始祖諱溫仁麗朝官 | + | 秀以顯刻之文余以耄聩惡能當是寄固辭不獲按公諱銓姓黃氏始祖諱溫仁麗朝官 |
金吾將軍太子檢校居平海月松子孫貫平海始此歷數世有諱璡檢校軍資監於公五 | 金吾將軍太子檢校居平海月松子孫貫平海始此歷數世有諱璡檢校軍資監於公五 | ||
世祖也曾祖諱原老號七林亭登第宰寧海府祖諱瑾文科直提學考諱有定號米囷入 | 世祖也曾祖諱原老號七林亭登第宰寧海府祖諱瑾文科直提學考諱有定號米囷入 | ||
- | 我朝工曹判書自少至老愛誦論語一部鄉人稱之以米囷先生出仕中外晚以謝病南 | + | 我朝工曹判書自少至老愛誦論語一部鄕人稱之以米囷先生出仕中外晩以謝病南 |
- | 歸掃灑軒楣於龜城之下城底里第即三判書古宅是也妣\_貞夫人奉化鄭氏尚書云 | + | 歸掃灑軒楣於龜城之下城底里第即三判書古宅是也妣\_貞夫人奉化鄭氏尙書云 |
- | 敬女生三子長銓即公次鉉成均館大司成次鋌生員訓導三棣聯芳詳見榮州誌公生 | + | 敬女生三子長銓即公次鉉成均館大司成次鋋生員訓導三棣聯芳詳見榮州誌公生 |
- | 于元至正癸卯卒于我\_太廟辛卯而文獻無徵固無可據之籍但書之於舊譜小紅云 | + | 于元至正癸卯卒于我\_太廟辛卯而文獻無徵固無可據之籍但書之於舊譜小<fc # |
十六魁三試二十一又魁三試而壽不過四十餘薦授司憲府持平知淸道郡事卒于官 | 十六魁三試二十一又魁三試而壽不過四十餘薦授司憲府持平知淸道郡事卒于官 | ||
邸學文德行恢弘當時竟不能需時澤世而其遺文亦沒無傳是不惟爲子孫無窮之恨 | 邸學文德行恢弘當時竟不能需時澤世而其遺文亦沒無傳是不惟爲子孫無窮之恨 | ||
- | 竊惟傍後孫錦溪草谷梅窓諸先碩這萃於堂廡之間而代不甚遠或可傳聞垂示而杳 | + | 竊惟傍後孫錦溪草谷梅窓諸先碩竝萃於堂廡之間而代不甚遠或可傳聞垂示而杳 |
無一言則固不恨哉配淑人固城李氏三司希泌女墓郡東斗月里德洞判書公墓同崗 | 無一言則固不恨哉配淑人固城李氏三司希泌女墓郡東斗月里德洞判書公墓同崗 | ||
負卯之原合兆生三男一女長孟夏生員次仲夏生員出系仲父大司成后三季夏鑑察 | 負卯之原合兆生三男一女長孟夏生員次仲夏生員出系仲父大司成后三季夏鑑察 | ||
女權孝騫進士其嗣孫曰秉益餘不錄嗚呼今距公之世五百餘年之久而其德行文獻 | 女權孝騫進士其嗣孫曰秉益餘不錄嗚呼今距公之世五百餘年之久而其德行文獻 | ||
- | 必有可傳者世遠不得其詳後昆寢替未嘗表其墓道其仲季兩公後孫秉三漢柱海鎮 | + | 必有可傳者世遠不得其詳後昆寢替未嘗表其墓道其仲季兩公後孫秉三漢柱海鎭 |
合謀竪碣如右云系以銘曰\_於赫箕黃顯允麗季名公巨卿庶承連世至于剛州迺創 | 合謀竪碣如右云系以銘曰\_於赫箕黃顯允麗季名公巨卿庶承連世至于剛州迺創 | ||
米囷孝悌仁義體先循循德洞之邃衣履之阡父子同原永世省筵亦合延初千秋重伉 | 米囷孝悌仁義體先循循德洞之邃衣履之阡父子同原永世省筵亦合延初千秋重伉 | ||
推公終始豈弟周詳我揭銘詩昭示無彊\\ | 推公終始豈弟周詳我揭銘詩昭示無彊\\ | ||
- | \_\_歲戊午十月上浣 | + | \_\_歲戊午十月上浣\\ |
\_\_\_\_延城後人\_金晉秀謹撰\\ | \_\_\_\_延城後人\_金晉秀謹撰\\ | ||
- | \_\_\_\_後裔孫\_鎬鎮謹書 | + | \_\_\_\_後裔孫\_鎬鎭謹書 |
</ | </ | ||
</ | </ | ||
\\ | \\ | ||
- | \_통훈대부 사헌부지평 황공 전의 제단비\\ | + | \_통훈대부 사헌부지평 황공 전 제단비\\ |
\_여기는 옛날 통훈대부로서 사헌부지평을 지낸 황공 전(銓)의 묘이다.\\ | \_여기는 옛날 통훈대부로서 사헌부지평을 지낸 황공 전(銓)의 묘이다.\\ | ||
\_어느 날 그 방후손(傍後孫)인 순섭(順燮)과 세섭(世燮) 선비가 그 선대의 사적(事跡) | \_어느 날 그 방후손(傍後孫)인 순섭(順燮)과 세섭(世燮) 선비가 그 선대의 사적(事跡) | ||
줄 38: | 줄 38: | ||
것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 것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 ||
\_이로부터 몇 대를 내려와 휘 진(璡)이 있었으니 그는 검교군자감(檢校軍資監)인데 | \_이로부터 몇 대를 내려와 휘 진(璡)이 있었으니 그는 검교군자감(檢校軍資監)인데 | ||
- | 공(公)에게는 | + | 공(公)에게는 |
호가 칠림정(七林亭)인데 과거에 급제하여 영해부사(寧海府使)였고, | 호가 칠림정(七林亭)인데 과거에 급제하여 영해부사(寧海府使)였고, | ||
근(瑾)인데 문과에 올라 직제학(直提學)이 되었고, 아버지의 휘는 유정(有定)이니 호가 미균(米囷)인데 조선조에 들어와 공조판서가 되었는데 그는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논어 일부를 | 근(瑾)인데 문과에 올라 직제학(直提學)이 되었고, 아버지의 휘는 유정(有定)이니 호가 미균(米囷)인데 조선조에 들어와 공조판서가 되었는데 그는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논어 일부를 | ||
- | 애송(愛誦)하니 향인(鄉人)들이 미균(米囷: | + | 애송(愛誦)하니 향인(鄕人)들이 미균(米囷: |
- | 이 풍성하다고 한데서 비유하는 것으로 생각됨)선생이라고 불렀다.\\ | + | \_벼슬은 내직과 외직을 거치고 늙어서 병(病)을 이유로 낙향(落鄕)하여 구성(龜城) 아래 |
- | \_벼슬은 내직과 외직을 거치고 늙어서 병(病)을 이유로 낙향(落鄉)하여 구성(龜城) 아래의 | + | 동리의 자택(本家)에서 소쇄헌(掃灑軒)이란 현판을 걸었는데 이것이 곧 삼판서고택(三判書古宅)이다.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 봉화정씨(奉化鄭氏)인데 상서(尙書)를 지낸 운경(云敬)의 |
- | 동리의 자택(本家)에서 소쇄헌(掃灑軒)이란 현판을 걸었는데 이것이 곧 삼판서고택(三判書古宅)이다.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 봉화정씨(奉化鄭氏)인데 상서(尚書)를 지낸 운경(云敬)의 | + | |
딸이니 세 아들을 낳았다.\\ | 딸이니 세 아들을 낳았다.\\ | ||
\_그 맏은 전(銓)이니 바로 공(公)이고, | \_그 맏은 전(銓)이니 바로 공(公)이고, | ||
줄 53: | 줄 52: | ||
다만 옛 족보 작은주(小註)에 적혀 있기를 16(一六)세에 삼시(三試)에 장원을 했고, 21(二一)세에 | 다만 옛 족보 작은주(小註)에 적혀 있기를 16(一六)세에 삼시(三試)에 장원을 했고, 21(二一)세에 | ||
또 삼시(三試)에 장원을 했으며, 나이는 불과 40(四○)여세에 지나지 않았으며, | 또 삼시(三試)에 장원을 했으며, 나이는 불과 40(四○)여세에 지나지 않았으며, | ||
- |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고 또 청도군수(清道郡守)가 되었는데 그 관저(官邸)에서 | + |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고 또 청도군수(淸道郡守)가 되었는데 그 관저(官邸)에서 |
서거하였다. 학문과 덕행이 넓고 컸으나 당시 시대에 쓰여져서 세상에 은택을 남길 수가 | 서거하였다. 학문과 덕행이 넓고 컸으나 당시 시대에 쓰여져서 세상에 은택을 남길 수가 | ||
없었으며, | 없었으며, | ||
줄 69: | 줄 68: | ||
있을 터인데, 세월이 너무 지나 그 상세함을 얻지 못하고, 또 후손들이 침체되어 일찍이 | 있을 터인데, 세월이 너무 지나 그 상세함을 얻지 못하고, 또 후손들이 침체되어 일찍이 | ||
그 묘소에 표석(表石)도 세우지 못했으니 그 둘째와 셋째 아들 후손 중 병삼(秉三), | 그 묘소에 표석(表石)도 세우지 못했으니 그 둘째와 셋째 아들 후손 중 병삼(秉三), | ||
- | 한주(漢柱), | + | 한주(漢柱), |
이에 명(銘)하노라.\\ | 이에 명(銘)하노라.\\ | ||
이 명(銘)에 이르기를\\ | 이 명(銘)에 이르기를\\ | ||
줄 77: | 줄 76: | ||
庶承連世 대를 이어 계속 이어져 왔도다.\\ | 庶承連世 대를 이어 계속 이어져 왔도다.\\ | ||
至于剛州 강주(剛州) 땅에 이르러 \\ | 至于剛州 강주(剛州) 땅에 이르러 \\ | ||
- | 迺創米囷 이에 미균(米菌)선생이 나타나시어 \\ | + | 迺創米囷 이에 미균(米囷)선생이 나타나시어 \\ |
孝悌仁義 효제(孝悌)와 인의(仁義)를 행하며 \\ | 孝悌仁義 효제(孝悌)와 인의(仁義)를 행하며 \\ | ||
體先循循 몸소 앞장서서 선대의 착함을 본 받았도다.\\ | 體先循循 몸소 앞장서서 선대의 착함을 본 받았도다.\\ | ||
줄 92: | 줄 91: | ||
\_\_해는 무오(1878(一八七八)) 10(一○)월 상순\\ | \_\_해는 무오(1878(一八七八)) 10(一○)월 상순\\ | ||
\_\_\_\_연성후인(延城後人) 김진수(金晉秀)는 삼가 짓고\\ | \_\_\_\_연성후인(延城後人) 김진수(金晉秀)는 삼가 짓고\\ | ||
- | \_\_\_\_후손 호진(鎬鎮)은 삼가 쓴다. | + | \_\_\_\_후손 호진(鎬鎭)은 삼가 쓴다. |
</ | </ | ||
a-105.174779858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1 12:3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