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11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111 [2025/05/28 07:31] ssio2a-111 [2025/05/30 11:29] (현재) ssio2
줄 13: 줄 13:
 爲後嗣矣 厥後九月 以遺腹子 先生 生焉 初名天守 外祖考察訪公所作取賴天有守之意也云  爲後嗣矣 厥後九月 以遺腹子 先生 生焉 初名天守 外祖考察訪公所作取賴天有守之意也云 
 己巳(一五六九) 以六歲之童 往訪于陶山汾川里之外宅 外祖考 携往而之矜九堂  己巳(一五六九) 以六歲之童 往訪于陶山汾川里之外宅 外祖考 携往而之矜九堂 
-謁見于退溪先生 先生 一見而奇愛之 遂執贄而受讀經史 兼治功令業 然時不辰 +謁見于退溪先生 先生 一見而奇愛之 遂執贄而受讀經史 兼治功令業 然時不辰 
 因壬亂之起 棄而不治 以門蔭階通德 後移居于醴泉邑鳳洞 爲鳳洞系入鄕之祖焉  因壬亂之起 棄而不治 以門蔭階通德 後移居于醴泉邑鳳洞 爲鳳洞系入鄕之祖焉 
 旣而同宗海月公汝一 先生曁中立兩公 先後相繼而來臨玆郡 以故 先生盡心協贊  旣而同宗海月公汝一 先生曁中立兩公 先後相繼而來臨玆郡 以故 先生盡心協贊 
-有功於其治政焉 先生常以讀書窮理 爲爲學之本 以不欺獨 作制行之則 +有功於其治政焉 先生常以讀書窮理 爲爲學之本 以不欺獨 作制行之則 
 務遵庭訓 於是乎爲一鄕之師表焉 仁祖五年(一六二七)丁卯 十二月 二十七日 卒  務遵庭訓 於是乎爲一鄕之師表焉 仁祖五年(一六二七)丁卯 十二月 二十七日 卒 
 享年 六十四 葬于醴泉邑淸福二里山六○之一番地旀屹味巽坐之原配恭人安東權氏 享年 六十四 葬于醴泉邑淸福二里山六○之一番地旀屹味巽坐之原配恭人安東權氏
줄 55: 줄 55:
 잇달아 이 고을의 수령(守令)으로 내림(來臨)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선생(先生)께서 진심협찬(盡心協贊)하여 그의 치정(治政)에 잇달아 이 고을의 수령(守令)으로 내림(來臨)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선생(先生)께서 진심협찬(盡心協贊)하여 그의 치정(治政)에
 공(功)이 있으시었다.\\ 공(功)이 있으시었다.\\
-\_선생(先生)께서는 항상(恒常) 독서(讀書)와 궁리(窮理)로 학문(學問)하는 근본(根本)으로 삼으시고 불기(不欺)와 신독(獨)으로 행실(行實)을+\_선생(先生)께서는 항상(恒常) 독서(讀書)와 궁리(窮理)로 학문(學問)하는 근본(根本)으로 삼으시고 불기(不欺)와 신독(獨)으로 행실(行實)을
 제어(制御)하는 준칙(準則)으로 삼으시어 정훈(庭訓)을 따르기에 힘쓰셨으니 이에 일행(一鄕)의 사표(師表)가 되시었다.\\ 제어(制御)하는 준칙(準則)으로 삼으시어 정훈(庭訓)을 따르기에 힘쓰셨으니 이에 일행(一鄕)의 사표(師表)가 되시었다.\\
 \_인조(仁祖) 5년(五年) 1627(一六二七) 정묘(丁卯) 12월(十二月) 27일(二十七日)에 별세(別世)하시니 향년(享年) 64(六十四)이셨고 예천읍(醴泉邑) 청복2리(淸福二里) 산60(山六〇)의 1(一)번지(番地) 며흘미(旀屹味) 손좌원(巽坐原)에 장례(葬禮)를 모시었다. 배(配)는 공인(恭人) 안동권씨(安東權氏)이시니 휘(諱) 두문(斗文)의 여(女)이시다. \_인조(仁祖) 5년(五年) 1627(一六二七) 정묘(丁卯) 12월(十二月) 27일(二十七日)에 별세(別世)하시니 향년(享年) 64(六十四)이셨고 예천읍(醴泉邑) 청복2리(淸福二里) 산60(山六〇)의 1(一)번지(番地) 며흘미(旀屹味) 손좌원(巽坐原)에 장례(葬禮)를 모시었다. 배(配)는 공인(恭人) 안동권씨(安東權氏)이시니 휘(諱) 두문(斗文)의 여(女)이시다.
a-111.174838510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8 07:3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