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12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121 [2025/05/23 20:33] ssio2a-121 [2025/05/26 10:27] (현재) ssio2
줄 6: 줄 6:
 풍기읍(豊基邑) 욱금리(郁錦里)에 있었는데 이는 현종(顯宗) 3년(三年) 서기(西紀) 풍기읍(豊基邑) 욱금리(郁錦里)에 있었는데 이는 현종(顯宗) 3년(三年) 서기(西紀)
 1663년(一六六三年) 임인(壬寅)에 창건(創建)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先生)을 봉안(奉安) 제향(祭享)하여 왔는데 숙종(肅宗) 16년(十六年) 서기(西紀) 1690년(一六九○年) 1663년(一六六三年) 임인(壬寅)에 창건(創建)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先生)을 봉안(奉安) 제향(祭享)하여 왔는데 숙종(肅宗) 16년(十六年) 서기(西紀) 1690년(一六九○年)
-경오(庚午)에 퇴계(退溪) 문중(門中)에서도 그 고매(高邁)한 학덕(學德)으로 사군(師君)의 배향(配享)을 해옴을 가상(嘉)하게 여겨 우리 금계(錦溪) 선조(先祖)도 함께 배향(配享)하여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해오던 전당(殿堂)이 되었다.\\+경오(庚午)에 퇴계(退溪) 문중(門中)에서도 그 고매(高邁)한 학덕(學德)으로 사군(師君)의 배향(配享)을 해옴을 가상(嘉)하게 여겨 우리 금계(錦溪) 선조(先祖)도 함께 배향(配享)하여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해오던 전당(殿堂)이 되었다.\\
  
 \_그 후(後) 대원군(大院君) 집정(執政) 무렵인 고종(高宗) 5년(五年) 서기(西紀) 1868년(一八六八年) 무진(戊辰)에 국령(國令)으로 철폐(撤廢)되어 욱양단소(郁陽壇所)로 \_그 후(後) 대원군(大院君) 집정(執政) 무렵인 고종(高宗) 5년(五年) 서기(西紀) 1868년(一八六八年) 무진(戊辰)에 국령(國令)으로 철폐(撤廢)되어 욱양단소(郁陽壇所)로
줄 15: 줄 15:
  
 \_이 사안(事案)으로 여러 차례의 문회(門會)와 유림회의(儒林會議)를 거쳐 서기(西紀) 1990년(一九九○年) 경오(庚午)  5월(五月) 15일(十五日) 종중(宗中) \_이 사안(事案)으로 여러 차례의 문회(門會)와 유림회의(儒林會議)를 거쳐 서기(西紀) 1990년(一九九○年) 경오(庚午)  5월(五月) 15일(十五日) 종중(宗中)
-및 유림(儒林) 연석회의(連席會議)를 하여 금양정사(錦陽精舍) 경내(境)로 이건(移建)하기로 결의(決議)하여 추진(推進)은 하였으나 먼저 앞서는+및 유림(儒林) 연석회의(連席會議)를 하여 금양정사(錦陽精舍) 경내(境)로 이건(移建)하기로 결의(決議)하여 추진(推進)은 하였으나 먼저 앞서는
 문제(問題)가 재력(財力) 관계(關係)로서 백동(白洞)의 황윤규(黃潤圭)씨(氏)께서 우선(于先) 정부(政府)의 보조금(補助金)을 요구(要求)하자는 안(案)을 제의(提議)하자 문제(問題)가 재력(財力) 관계(關係)로서 백동(白洞)의 황윤규(黃潤圭)씨(氏)께서 우선(于先) 정부(政府)의 보조금(補助金)을 요구(要求)하자는 안(案)을 제의(提議)하자
 황필상(黃弼相), 서정학(徐庭學)씨(氏)가 찬동(贊同)하여 이에 활약(活躍) 중(中) 그때 마침 종인(宗人) 황해윤(黃海潤)이 영풍(榮豐) 부군수(副郡守)로 재임(在任) 중(中)에 있어 같이 합세(合勢)하여 거금(巨金) 2천만(二千萬)원을 받았으며 이어 문회(門會)를 열어 병욱(柄旭), 원섭(元燮), 영봉(永鳳), 천섭(天燮) 등(等)이 적극(積極) 노력(努力)하여 뜻 있는 많은 분들의 후의(厚意)의 성금(誠金)이 1억2천만(一億二千萬)원이 마련되므로 서둘러 정사(精舍)옆에 단소(壇所) 기공(起工) 역사(役事)를 서기(西紀) 1991년(一九九一年) 신미(辛未)에 착공(着工)하여 퇴계(退溪) 선생(先生)과 금계(錦溪) 선생(先祖) 양위(兩位)의 황필상(黃弼相), 서정학(徐庭學)씨(氏)가 찬동(贊同)하여 이에 활약(活躍) 중(中) 그때 마침 종인(宗人) 황해윤(黃海潤)이 영풍(榮豐) 부군수(副郡守)로 재임(在任) 중(中)에 있어 같이 합세(合勢)하여 거금(巨金) 2천만(二千萬)원을 받았으며 이어 문회(門會)를 열어 병욱(柄旭), 원섭(元燮), 영봉(永鳳), 천섭(天燮) 등(等)이 적극(積極) 노력(努力)하여 뜻 있는 많은 분들의 후의(厚意)의 성금(誠金)이 1억2천만(一億二千萬)원이 마련되므로 서둘러 정사(精舍)옆에 단소(壇所) 기공(起工) 역사(役事)를 서기(西紀) 1991년(一九九一年) 신미(辛未)에 착공(着工)하여 퇴계(退溪) 선생(先生)과 금계(錦溪) 선생(先祖) 양위(兩位)의
줄 23: 줄 23:
 충심(衷心)으로 감사(感謝)와 경의(敬意)를 표(表)해 마지 않는 바이다.\\ 충심(衷心)으로 감사(感謝)와 경의(敬意)를 표(表)해 마지 않는 바이다.\\
  
-\_그리하여 그해 9월(九月)에 설단(設壇) 고일(告由)를 거행(擧行)함에 있어 도내(道) 3백여(三百餘) 유림(儒林)이 참석(叅席)하여 성황리(盛況裡)에 +\_그리하여 그해 9월(九月)에 설단(設壇) 고일(告由)를 거행(擧行)함에 있어 도내(道) 3백여(三百餘) 유림(儒林)이 참석(叅席)하여 성황리(盛況裡)에 
-마치었다. 이 단소(壇所)의 위치(位置)를 살펴보면 학식(學識)과 덕망(德望)이 높으신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수도지(修道地)로서 이 유서(由) 깊은 금양정사(錦陽精舍)의 옆으로서 뒤로는 농암산(籠岩山)자락이 아담하게 휘돌아 감아 양명(陽明)하기를 이를데+마치었다. 이 단소(壇所)의 위치(位置)를 살펴보면 학식(學識)과 덕망(德望)이 높으신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수도지(修道地)로서 이 유서(由) 깊은 금양정사(錦陽精舍)의 옆으로서 뒤로는 농암산(籠岩山)자락이 아담하게 휘돌아 감아 양명(陽明)하기를 이를데
 없으며 앞은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빛나는 업적(業蹟)을 말해주듯 수백년(數百年) 묵은 송림(松林)이 울창(鬱蒼)하고 기암괴석(奇岩怪石)이 없으며 앞은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빛나는 업적(業蹟)을 말해주듯 수백년(數百年) 묵은 송림(松林)이 울창(鬱蒼)하고 기암괴석(奇岩怪石)이
 즐비하여 사시(四時)에 옥(玉)이 굴러가는 듯한 계곡의 물소리가 들려오는 절경(絶景) 금선정(錦仙亭)을 굽어보는 즐비하여 사시(四時)에 옥(玉)이 굴러가는 듯한 계곡의 물소리가 들려오는 절경(絶景) 금선정(錦仙亭)을 굽어보는
줄 42: 줄 42:
 이 정사(精舍)가 부실함이 있게되면 이는 관민(官民) 모두가 부끄러운 일이라 하며 향사당(鄕射堂)((향사당(鄕射堂): 봄과 가을에 고을 사람들이 모여 향사음례(鄕射飮禮), 즉 활쏘기와 함께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 여기서 ‘사(射)’는 공자가 “확상(矍相)의 들판에서 활을 쏘아 현인을 얻는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즉 옛날 어진 임금들이 몸소 인의(仁義)를 실행하여 백성을 인도한 것을 모방한 것이다.)) 벽상(壁上)에 기문(記文)을 이 정사(精舍)가 부실함이 있게되면 이는 관민(官民) 모두가 부끄러운 일이라 하며 향사당(鄕射堂)((향사당(鄕射堂): 봄과 가을에 고을 사람들이 모여 향사음례(鄕射飮禮), 즉 활쏘기와 함께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 여기서 ‘사(射)’는 공자가 “확상(矍相)의 들판에서 활을 쏘아 현인을 얻는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즉 옛날 어진 임금들이 몸소 인의(仁義)를 실행하여 백성을 인도한 것을 모방한 것이다.)) 벽상(壁上)에 기문(記文)을
 새겨 붙인 바도 있으며 또 인조(仁祖)조(朝) 서기(西紀) 1636년(一六三六年) 병자(丙子) 난리로 소실(燒失)되었고 숙종(肅宗) 27년(二七年) 서기(西紀) 1701년(一七○一年) 신사(辛巳)에 홍경렴(洪景濂) 군수(郡守)에게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6대(六代) 사손(嗣孫)인 성(垶)이 정사(精舍) 복원(復元)을 간절(懇切)하게 원(願)함을 새겨 붙인 바도 있으며 또 인조(仁祖)조(朝) 서기(西紀) 1636년(一六三六年) 병자(丙子) 난리로 소실(燒失)되었고 숙종(肅宗) 27년(二七年) 서기(西紀) 1701년(一七○一年) 신사(辛巳)에 홍경렴(洪景濂) 군수(郡守)에게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6대(六代) 사손(嗣孫)인 성(垶)이 정사(精舍) 복원(復元)을 간절(懇切)하게 원(願)함을
-가상(嘉)하게 생각하여 힘을 도와 중건(重建)을 하니 재액(災厄)을 당(當)한지 60년(六十年)만이었다.\\+가상(嘉)하게 생각하여 힘을 도와 중건(重建)을 하니 재액(災厄)을 당(當)한지 60년(六十年)만이었다.\\
  
 \_이렇듯 금양정사(錦陽精舍)야 말로 대대(代代)로 우여곡절(迂餘曲折)의 연속(連續)이었다.\\ \_이렇듯 금양정사(錦陽精舍)야 말로 대대(代代)로 우여곡절(迂餘曲折)의 연속(連續)이었다.\\
a-121.17480000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3 20:3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