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0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04 [2025/05/28 07:53] ssio2b-004 [2025/06/01 23:28] (현재) ssio2
줄 1: 줄 1:
 ===신묘대동보서(辛卯大同譜序) (1831년)] - 도(燾)=== ===신묘대동보서(辛卯大同譜序) (1831년)] - 도(燾)===
 <WRAP 37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WRAP 37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fs:1.2em>+<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辛卯大同譜序**\\ \_**辛卯大同譜序**\\
 生民所重莫大於表姓氏聯族䣊姓者祖宗之所自出而受某姓也氏者子孫 生民所重莫大於表姓氏聯族䣊姓者祖宗之所自出而受某姓也氏者子孫
줄 22: 줄 22:
 家譜訖無異焉近有翊贊宗氏胤錫得一碣於自家興城之墓起疑於十四世 家譜訖無異焉近有翊贊宗氏胤錫得一碣於自家興城之墓起疑於十四世
 祖諱與官號遂別其載俱不入譜墓碣雖云可據旣非當位瘗誌之可以破惑 祖諱與官號遂別其載俱不入譜墓碣雖云可據旣非當位瘗誌之可以破惑
-者則前代相傳之牒從後世起疑之論得無率爾之譏乎兩疑相難不思所+者則前代相傳之牒從後世起疑之論得無率爾之譏乎兩疑相難不思所
 以爲譜中世之懿德顯閥後承之分流派系將不得以傳諸來歟余庸是爲懼 以爲譜中世之懿德顯閥後承之分流派系將不得以傳諸來歟余庸是爲懼
 要存兩諱合成一譜興宗庶或諒余苦心重違家庭所聞莫肯歸一一祖之孫 要存兩諱合成一譜興宗庶或諒余苦心重違家庭所聞莫肯歸一一祖之孫
줄 86: 줄 86:
 혹자(或者)는 누락(漏落)되고 혹자(或者)는 입보(入譜)하는 것이 어찌 크게 상심되고 탄식(歎息)할 일이 아니겠는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 구보(舊譜)가 간행(刊行)된지 벌써 1주갑(一周甲)이 넘었으니 그때 혹자(或者)는 누락(漏落)되고 혹자(或者)는 입보(入譜)하는 것이 어찌 크게 상심되고 탄식(歎息)할 일이 아니겠는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 구보(舊譜)가 간행(刊行)된지 벌써 1주갑(一周甲)이 넘었으니 그때
 일을 아는 사람은 살아있는 이가 몇 분 없고 그 후(後) 새로 출생(出生)한 사람들은 나날이 일을 아는 사람은 살아있는 이가 몇 분 없고 그 후(後) 새로 출생(出生)한 사람들은 나날이
-번성(繁盛)해 가니 이 보계(譜系)를 넓히고 전(傳)하기를 오래 하도록 후인(後人)에게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도(燾)는 외람함을 헤아리지 않고 일찌기 병술년(丙戌年)에 글을 보내서 통고(通告)하고+번성(繁盛)해 가니 이 보계(譜系)를 넓히고 전(傳)하기를 오래 하도록 후인(後人)에게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도(燾)는 외람함을 헤아리지 않고 일찍이 병술년(丙戌年)에 글을 보내서 통고(通告)하고
 첨종(僉宗)들과 의논하며 계획하니 을축년(乙丑年) 겨울에 뜻을 같이 하는 종인(宗人) 평해(平海)의 규(奎)ㆍ관(琯), 장단(長湍)의 주로(周老), 풍기(豊基)의 헌주(獻周), 강릉(江陵)의 지선(之濬), 춘천(春川)의 묵경(默炅), 영흥(永興)의 승후(升垕), 간성(杆城)의 찬(瓚), 북청(北靑)의 첨종(僉宗)들과 의논하며 계획하니 을축년(乙丑年) 겨울에 뜻을 같이 하는 종인(宗人) 평해(平海)의 규(奎)ㆍ관(琯), 장단(長湍)의 주로(周老), 풍기(豊基)의 헌주(獻周), 강릉(江陵)의 지선(之濬), 춘천(春川)의 묵경(默炅), 영흥(永興)의 승후(升垕), 간성(杆城)의 찬(瓚), 북청(北靑)의
 승종(昇鍾) 등이 서울 북(北)쪽 장단(長湍)에 모여 각파(各派) 명단(名單)을 수합(收合)하고 차서(次序) 편질(編帙)을 정리하여 3년(三年)만에 끝내었으며 그 내용의 상세한 기재(記載) 예(例)는 일체 파보첩(派譜牒)에 있는 대로 하였고 승종(昇鍾) 등이 서울 북(北)쪽 장단(長湍)에 모여 각파(各派) 명단(名單)을 수합(收合)하고 차서(次序) 편질(編帙)을 정리하여 3년(三年)만에 끝내었으며 그 내용의 상세한 기재(記載) 예(例)는 일체 파보첩(派譜牒)에 있는 대로 하였고
b-004.174838640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8 07:5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