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60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60 [2025/05/29 12:58] – ssio2 | b-060 [2025/06/07 07:13] (현재) – ssio2 | ||
---|---|---|---|
줄 2: | 줄 2: | ||
<WRAP 37em justify>< | <WRAP 37em justify>< | ||
<typo ff:' | <typo ff:' | ||
- | \_松巖黃載喆孝行錄\\ | + | \_**松巖黃載喆孝行錄**\\ |
公諱載喆字乃順姓黃氏平海人世居永川郡鳴山面竹谷里自幼有孝性得 | 公諱載喆字乃順姓黃氏平海人世居永川郡鳴山面竹谷里自幼有孝性得 | ||
異果美味必進之於父母及長益知事親之道凡事先意承順甞侍側不命之 | 異果美味必進之於父母及長益知事親之道凡事先意承順甞侍側不命之 | ||
- | 退則不敢出歲時伏腦心具酒邀其父執友以睹其權笑寒煖必適體柴炳竈 | + | 退則不敢出歲時伏<fc #ff0000>腦</fc>心具酒邀其父執友以賭其懽笑寒煖必適軆柴炳竈 |
不使朝夕視膳雖歲險旨甘無闕中帬厠楡自浣漑不令父母知之父母有疾 | 不使朝夕視膳雖歲險旨甘無闕中帬厠楡自浣漑不令父母知之父母有疾 | ||
- | 不翔不矧不解帶以憂遑焦灼沐浴新代無不用極方先考疾病糞嘗以苦則 | + | 不翔不矧不解帶以憂遑焦灼沐浴祈代無不用極方先考疾病糞甞以苦則 |
- | 稍怡然降色先考冬月思鱉魚公彷徨溪沼間涕泣竭索忽見一驚閃然出溪 | + | 稍怡然降色先考冬月思鱉魚公彷徨溪沼間涕泣竭索忽見一鱉閃然出溪 |
邊沙中遂烹而進之病亦小愈隣里驚歎以爲孝感所致云云旣喪叫號叩擗 | 邊沙中遂烹而進之病亦小愈隣里驚歎以爲孝感所致云云旣喪叫號叩擗 | ||
幾絶更蘇水醬不八於口附身諸具必誠必愼勿之有悔三年不入內不脫衰 | 幾絶更蘇水醬不八於口附身諸具必誠必愼勿之有悔三年不入內不脫衰 | ||
- | 經憑凶籍藁假寐於堊室鷄鳴而起奠于殯不待天明往拜墓所晨昏之禮丼 | + | 絰憑凶籍藁假寐於堊室鷄鳴而起奠于殯不待天明往拜墓所晨昏之禮幷 |
行於墓殯荆棘迎步而成蹊墓階當膝處乃穿草頭露法如見其哀淚樹間風 | 行於墓殯荆棘迎步而成蹊墓階當膝處乃穿草頭露法如見其哀淚樹間風 | ||
鳴若聞其啼聲樵童牧叟皆歎曰此乃某人之迹其亦吊者大悅之意也歟及 | 鳴若聞其啼聲樵童牧叟皆歎曰此乃某人之迹其亦吊者大悅之意也歟及 | ||
줄 19: | 줄 19: | ||
本原之厚苟能依歸得所濟其所短其所成就豈但爲窮谷間一孝而己哉\\ | 本原之厚苟能依歸得所濟其所短其所成就豈但爲窮谷間一孝而己哉\\ | ||
\_\_聞韶金獻周謹撰 | \_\_聞韶金獻周謹撰 | ||
+ | <WRAP rightalign> | ||
+ | 腦=月曷 | ||
+ | </ | ||
</ | </ | ||
</ | </ | ||
\\ | \\ | ||
<typo ff:' | <typo ff:' | ||
- | \_송암(松巖) 황재철(黃載喆)의 효행록(孝行錄)\\ | + | \_**송암(松巖) 황재철(黃載喆)의 효행록(孝行錄)***\\ |
\_공(公)의 휘(諱)는 재철(載喆)이요 자(字)는 내순(乃順)이며 성(姓)은 황씨(黃 | \_공(公)의 휘(諱)는 재철(載喆)이요 자(字)는 내순(乃順)이며 성(姓)은 황씨(黃 | ||
氏)이니 평해황씨(平海黃氏)이다.\\ | 氏)이니 평해황씨(平海黃氏)이다.\\ | ||
줄 42: | 줄 45: | ||
\_부모님이 병이 들면 뛰어다니지도 않고 잇몸을 드러내어 웃지도 않았으며 옷의 | \_부모님이 병이 들면 뛰어다니지도 않고 잇몸을 드러내어 웃지도 않았으며 옷의 | ||
띠를 푸는 일 없이 근심으로 방황하며 가슴 태우고 목욕재계하여 자기가 그 병을 | 띠를 푸는 일 없이 근심으로 방황하며 가슴 태우고 목욕재계하여 자기가 그 병을 | ||
- | 대신하여 | + | 대신하여 |
\_바야흐로 선친(先親)이 질병이 있을 때에 똥을 맛보아 그 맛이 쓰면 근심하는 | \_바야흐로 선친(先親)이 질병이 있을 때에 똥을 맛보아 그 맛이 쓰면 근심하는 | ||
줄 57: | 줄 60: | ||
상식(上食)을 드리고 하늘이 밝기를 기다리지 않고 묘소에 가서 신혼곡(晨昏哭)< | 상식(上食)을 드리고 하늘이 밝기를 기다리지 않고 묘소에 가서 신혼곡(晨昏哭)< | ||
예(禮)를 빈청(殯廳)과 병행(竝行)하니 묘소를 다닌 가시 길이 신발에 눌려 | 예(禮)를 빈청(殯廳)과 병행(竝行)하니 묘소를 다닌 가시 길이 신발에 눌려 | ||
- | 오솔길이 되었으며 묘제(墓階)에 절하던 무릅 자리에는 움푹 뚫리고 풀 위에 맺힌 | + | 오솔길이 되었으며 묘계(墓階)에 절하던 무릅 자리에는 움푹 뚫리고 풀 위에 맺힌 |
이슬에는 그의 슬픈 눈물을 보는 듯하고 숲 사이를 스치는 바람 소리에는 그의 | 이슬에는 그의 슬픈 눈물을 보는 듯하고 숲 사이를 스치는 바람 소리에는 그의 | ||
애곡(哀哭) 소리가 들리는 듯하여 나무꾼 아이와 소 먹이는 늙은이들이 모두 | 애곡(哀哭) 소리가 들리는 듯하여 나무꾼 아이와 소 먹이는 늙은이들이 모두 | ||
줄 68: | 줄 71: | ||
\_공(公)이 궁촌(窮村)에서 생장(生長)하여 무슨 견문(見聞)이 있었기에 효성이 | \_공(公)이 궁촌(窮村)에서 생장(生長)하여 무슨 견문(見聞)이 있었기에 효성이 | ||
독실하기를 능히 이같이 할 수 있었는가? | 독실하기를 능히 이같이 할 수 있었는가? | ||
- | 그릴 때에 채색(彩色)을 마치고 흰 가루로 바탕을 칠해야 완성한다(論語에 있는 | + | 그릴 때에 채색(彩色)을 마치고 흰 가루로 바탕을 칠해야 완성한다(논어(論語)에 있는 |
말) 하셨으니 대체로 바탕이 있은 뒤에 학문(學文)을 베푼다는 말이다.\\ | 말) 하셨으니 대체로 바탕이 있은 뒤에 학문(學文)을 베푼다는 말이다.\\ | ||
줄 76: | 줄 79: | ||
\_\_문소(聞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짓다.\\ | \_\_문소(聞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짓다.\\ | ||
\\ | \\ | ||
- | 주1: 수요질(首腰絰): | + | <WRAP subnote> |
- | 주2: 신혼곡(晨昏哭): | + | 주1. 수요질(首腰絰): |
+ | |||
+ | 주2. 신혼곡(晨昏哭): | ||
+ | </ | ||
</ | </ | ||
</ | </ |
b-060.17484911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9 12:5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