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7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74 [2025/06/01 10:45] ssio2b-074 [2025/06/07 07:10] (현재) ssio2
줄 1: 줄 1:
 ===증이조판서행사간죽람황공묘표(贈吏曹判書行司諫竹覽黃公墓表)=== ===증이조판서행사간죽람황공묘표(贈吏曹判書行司諫竹覽黃公墓表)===
 <WRAP 37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WRAP 37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fs:1.2em>+<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贈吏曹判書行司諫竹覽黃公墓表**\\ \_**贈吏曹判書行司諫竹覽黃公墓表**\\
 永川治北魯柯之谷有向午而封者故司諫\_贈判書平海黃公巾寫之藏而 永川治北魯柯之谷有向午而封者故司諫\_贈判書平海黃公巾寫之藏而
 貞夫人全州崔氏合封之原也舊有短碣爲風雨所剝落苔痕烏跡幾不能保 貞夫人全州崔氏合封之原也舊有短碣爲風雨所剝落苔痕烏跡幾不能保
 有眞面后孫履龜相燮履喆爲是之惧將謀改堅淸表其墓余推鄕隣之誼豈 有眞面后孫履龜相燮履喆爲是之惧將謀改堅淸表其墓余推鄕隣之誼豈
-可以不文辭謹按公諱欽改字敏中竹覽其號也生\_宜廟癸卯丙子中生+可以不文辭謹按公諱欽改𨬔字敏中竹覽其號也生\_宜廟癸卯丙子中生
 員\_除順陵參奉\_仁廟庚辰擢別試文科自玉堂歷司諫見時事多艱不樂 員\_除順陵參奉\_仁廟庚辰擢別試文科自玉堂歷司諫見時事多艱不樂
 仕進退居竹谷脩然爲終老計乙卯某月終于寢壽七十三肅宗庚申追\_贈 仕進退居竹谷脩然爲終老計乙卯某月終于寢壽七十三肅宗庚申追\_贈
 長銓盖殊恩也公之居官履歷稽諸國乘有學識超倫誠孝出天八字赫赫然 長銓盖殊恩也公之居官履歷稽諸國乘有學識超倫誠孝出天八字赫赫然
-照人耳目雖其兵燹之餘文獻無徵而此可以見公生平也盖平海之黃著+照人耳目雖其兵燹之餘文獻無徵而此可以<fc #ff0000>旣</fc>見公生平也盖平海之黃著
 於東方者皆以學士公洛爲鼻祖而高麗金吾將軍太子檢校溫仁之后也中 於東方者皆以學士公洛爲鼻祖而高麗金吾將軍太子檢校溫仁之后也中
 祖有諱瑞金紫光祿大夫評理門下侍中封平海君陞縣爲郡歷九世諱瑀星 祖有諱瑞金紫光祿大夫評理門下侍中封平海君陞縣爲郡歷九世諱瑀星
-州牧使諱應淸逸薦眞寶縣監學行純篤世稱大海先生明溪書院諱居一+州牧使諱應淸逸薦眞寶縣監學行純篤世稱大海先生明溪書院諱居一
 贈工議有文行從兄海月先生稱以三珠弟寔公之祖曾高也考諱中信生員 贈工議有文行從兄海月先生稱以三珠弟寔公之祖曾高也考諱中信生員
 早遊旅軒張先生門得聞爲己之學丙子之亂赴暘溪鄭公好仁陣參四難倡 早遊旅軒張先生門得聞爲己之學丙子之亂赴暘溪鄭公好仁陣參四難倡
  
 義實蹟載郡誌及諸子錄妣安東權氏\_曾參判東峯諱克立之女盖先公從 義實蹟載郡誌及諸子錄妣安東權氏\_曾參判東峯諱克立之女盖先公從
-於陵而居遂爲永人生五男曰即公也鏸曰鋌曰曰鎭其次也公無嗣 +於陵而居遂爲永人生五男曰𨬔即公也鏸曰鋌曰曰鎭其次也公無嗣 
-以仲弟之子永河爲后文科文義縣令永河男壽吉進士蔭淸州牧使弟錄+以仲弟之子永河爲后文科文義縣令永河男壽吉進士蔭淸州牧使弟錄
 如右書之于陰\\ 如右書之于陰\\
 \_\_烏川鄭致埏謹撰 \_\_烏川鄭致埏謹撰
줄 26: 줄 26:
 \\ \\
 <typo ff:'바탕'; fs:1em; lh:1.5em> <typo ff:'바탕'; fs:1em; lh:1.5em>
-\_**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贈職)되고 사간(司諫) 벼슬에 행직(行 +\_**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贈職)되고 사간(司諫) 벼슬에 행직(行職)된  
-職)된 죽(竹覽) 황공(黃公)의 묘표(墓表)**\\+(竹覽) 황공(黃公)의 묘표(墓表)**\\
 \_영천군(永川郡)의 북쪽 노가곡(魯柯谷)에 오향(午向)의 봉분(封墳)이 있는 \_영천군(永川郡)의 북쪽 노가곡(魯柯谷)에 오향(午向)의 봉분(封墳)이 있는
 것은 고인(故人)이 된 사간(司諫) 벼슬을 하고 판서(判書)에 증직(贈職)된  것은 고인(故人)이 된 사간(司諫) 벼슬을 하고 판서(判書)에 증직(贈職)된 
줄 63: 줄 63:
  
 \_중세(中世)의 조상(祖上)으로는 휘 서(瑞)는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_중세(中世)의 조상(祖上)으로는 휘 서(瑞)는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평리문하시중(評理門下侍中)이며 평해군(平海)에 봉해져서 평해현(平海縣)을 +평리문하시중(評理門下侍中)이며 평해군(平海)에 봉해져서 평해현(平海縣)을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줄 95: 줄 95:
 \_오천(烏川) 정치연(鄭致珽) 삼가 짓다.\\ \_오천(烏川) 정치연(鄭致珽) 삼가 짓다.\\
 \\ \\
 +<WRAP subnote>
 주1. 삼주제(三珠弟): 당(唐)나라의 왕발(王勃)과 왕거(王勮)과 왕면(王勔) 3형제(三兄弟)의 재주가 모두 특출(特出)했다는 데서 온 말\\ 주1. 삼주제(三珠弟): 당(唐)나라의 왕발(王勃)과 왕거(王勮)과 왕면(王勔) 3형제(三兄弟)의 재주가 모두 특출(特出)했다는 데서 온 말\\
 +
 주2. 음사(蔭仕): 부(父), 조(祖)의 공덕(功德)으로 얻은 벼슬 주2. 음사(蔭仕): 부(父), 조(祖)의 공덕(功德)으로 얻은 벼슬
 +</WRAP>
 </typo> </typo>
 </WRAP> </WRAP>
b-074.174874235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1 10:4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