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13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131 [2025/06/03 10:38] ssio2b-131 [2025/06/07 07:13] (현재) ssio2
줄 24: 줄 24:
 \\ \\
 <typo ff:'바탕'; fs:1em; lh:1.5em> <typo ff:'바탕'; fs:1em; lh:1.5em>
-\_**선단(先壇)을 증축(築)한 기사(記事)**\\+\_**선단(先壇)을 증축(築)한 기사(記事)**\\
 \_고인(古人)의 언행(言行)과 행적을 논(論)함에 있었서는 나라의 전적(典籍)이 \_고인(古人)의 언행(言行)과 행적을 논(論)함에 있었서는 나라의 전적(典籍)이
 중국의 하(夏) 은(殷) 주(周) 삼대(三代)보다 더 성(盛)한 나라가 없지만 우리 중국의 하(夏) 은(殷) 주(周) 삼대(三代)보다 더 성(盛)한 나라가 없지만 우리
줄 30: 줄 30:
 나라의 문풍(文風)을 따라 점점 훌륭하고 명백해졌으나 한 집안의 계보(系譜)와 나라의 문풍(文風)을 따라 점점 훌륭하고 명백해졌으나 한 집안의 계보(系譜)와
 나라의 사기(史記)에 있어서는 전해지는 것이 의심스러운 것도 있고 믿을 만한 나라의 사기(史記)에 있어서는 전해지는 것이 의심스러운 것도 있고 믿을 만한
-것도 있으나 그 귀결(歸結)을 궁구(窮究)해 보면 실로 공자님이 필삭(筆削)<sup>주1</sup>+것도 있으나 그 귀결(歸結)을 궁구(窮究)해 보면 실로 공자님의 필삭(筆削)<sup>주1</sup>
 거치지 못한 소치이라.\\ 거치지 못한 소치이라.\\
  
줄 40: 줄 40:
  
 \_휘(諱) 락(洛)은 벼슬이 학사(學士)였는데 한(漢)나라 광무황제(光武皇帝)와 \_휘(諱) 락(洛)은 벼슬이 학사(學士)였는데 한(漢)나라 광무황제(光武皇帝)와
-건무황제(建武皇帝) 때에 한(漢)나라의 상서(尙書)벼슬에 있던 구대림(丘大林)과+건무(建武) 때에 한(漢)나라의 상서(尙書)벼슬에 있던 구대림(丘大林)과
 더불어 처음 우리나라의 월송리(越松里)에 도착했으니 그 때가 신라(新羅)  더불어 처음 우리나라의 월송리(越松里)에 도착했으니 그 때가 신라(新羅) 
 남해왕(南海王) BC4~23 때라 하니 비록 선대(先代)에서는 밝혀 내지 못한  남해왕(南海王) BC4~23 때라 하니 비록 선대(先代)에서는 밝혀 내지 못한 
줄 71: 줄 71:
 후손 윤범(潤範)은 손을 씻고 삼가 짓다.\\ 후손 윤범(潤範)은 손을 씻고 삼가 짓다.\\
 \\ \\
 +<WRAP subnote>
 주1. 필삭(筆削): 가필(加筆)과 삭제(削除). 공자(孔子)가 춘추(春秋)를 필삭(筆削)한 사실을 말함.\\ 주1. 필삭(筆削): 가필(加筆)과 삭제(削除). 공자(孔子)가 춘추(春秋)를 필삭(筆削)한 사실을 말함.\\
 +
 주2. 황제헌원(黃帝軒轅): 중국(中國) 전설시대(傳設時代)의 제왕(帝王). 역산(曆算)과 문자(文字), 율려(律呂)와 의약(醫藥) 등을 처음으로 백성(百姓)에게 가르쳤다 함.\\ 주2. 황제헌원(黃帝軒轅): 중국(中國) 전설시대(傳設時代)의 제왕(帝王). 역산(曆算)과 문자(文字), 율려(律呂)와 의약(醫藥) 등을 처음으로 백성(百姓)에게 가르쳤다 함.\\
 +
 주3. 전욱고양(顓頊高陽): 중국(中國) 고대(古代)의 제왕(帝王). 황제(黃帝)의 손자 주3. 전욱고양(顓頊高陽): 중국(中國) 고대(古代)의 제왕(帝王). 황제(黃帝)의 손자
 +</WRAP>
 </typo> </typo>
 </WRAP> </WRAP>
b-131.174891473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3 10:3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