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01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012 [2025/04/29 08:29] – ssio2 | c-012 [2025/06/27 08:26] (현재) – ssio2 | ||
---|---|---|---|
줄 19: | 줄 19: | ||
勞尤當何如於今日也欲修大同譜然而非但事巨力綿誠難意思一致故只修重 | 勞尤當何如於今日也欲修大同譜然而非但事巨力綿誠難意思一致故只修重 | ||
刊于忠敬公派舊譜樣式而印版減卷十爲一帙如今財難物高之時其亦倖矣余 | 刊于忠敬公派舊譜樣式而印版減卷十爲一帙如今財難物高之時其亦倖矣余 | ||
- | 淺見蔑識猥參總務之任無過告訖之所因賴諸宗厚護之德也印版告成宗族屬 | + | 淺見蔑識猥叅總務之任無過告訖之所因賴諸宗厚護之德也印版告成宗族屬 |
余爲序余謝非其人而終不獲畧述新續顚末庸付舊序之下忠敬公伯仲兩派亦 | 余爲序余謝非其人而終不獲畧述新續顚末庸付舊序之下忠敬公伯仲兩派亦 | ||
各修譜云\\ | 各修譜云\\ | ||
줄 31: | 줄 31: | ||
족이 보가 없으면 선조의 계통을 상고할 수 없고 후손들의 소목을 분별할 수 | 족이 보가 없으면 선조의 계통을 상고할 수 없고 후손들의 소목을 분별할 수 | ||
없을 것이다. 그래서 동족이 서로 상대해도 길가는 사람처럼 무관심하게 된다면 동족이 없는 것과 무엇이 | 없을 것이다. 그래서 동족이 서로 상대해도 길가는 사람처럼 무관심하게 된다면 동족이 없는 것과 무엇이 | ||
- | 다름이요. 이것이 바로 족보f를 하는 바이다. | + | 다름이요. 이것이 바로 족보를 하는 바이다. |
그러므로 명문과 거족들은 이 족보를 편수하지 않는 이 없다.\\ | 그러므로 명문과 거족들은 이 족보를 편수하지 않는 이 없다.\\ | ||
\_생각컨대 우리 평해 황(黃)씨는 학사(學士)공 휘 낙(洛)이라는 어른이 | \_생각컨대 우리 평해 황(黃)씨는 학사(學士)공 휘 낙(洛)이라는 어른이 | ||
줄 46: | 줄 46: | ||
대체로 진심 갈력하고 규예를 준수한 것은 일치했었다. | 대체로 진심 갈력하고 규예를 준수한 것은 일치했었다. | ||
그 후 일세대가 지난데다 수개 성상이 더한 지금에 와서 각파의 자손이 | 그 후 일세대가 지난데다 수개 성상이 더한 지금에 와서 각파의 자손이 | ||
- | 크게 번연하였으니 만약 수보를 하지 아니한다면 종족의 파분을 분별이 | + | 크게 번연하였으니 만약 수보를 하지 아니한다면 종족의 파분을 분변ㅎ기 |
또 소원해지는 폐풍을 구하기 어려운고로 수보의 일이 급급하더니 | 또 소원해지는 폐풍을 구하기 어려운고로 수보의 일이 급급하더니 | ||
지난 을유(乙酉)년 시국이 분분하였고 경인(庚寅)년 동란을 겪었은 즉 | 지난 을유(乙酉)년 시국이 분분하였고 경인(庚寅)년 동란을 겪었은 즉 | ||
줄 62: | 줄 62: | ||
시세의 변천에서 제약되고 | 시세의 변천에서 제약되고 | ||
경제에 몰려 마음을 조이면서 보사를 완성하였으니 모든 공사에 | 경제에 몰려 마음을 조이면서 보사를 완성하였으니 모든 공사에 | ||
- | 함께 노력하신 많은 종인들의 노고를 오늘에야 비로서 | + | 함께 노력하신 많은 종인들의 노고를 오늘에야 비로소 |
알만하다. 처음에는 대동보를 편수하려 하였으나 비단 일이 | 알만하다. 처음에는 대동보를 편수하려 하였으나 비단 일이 | ||
거창할 뿐아니라 종의를 합치시킴이 어려웠음으로 다만 충경공파의 구보 양식에 | 거창할 뿐아니라 종의를 합치시킴이 어려웠음으로 다만 충경공파의 구보 양식에 | ||
- | 의하여 인출이나 현대 조판으로써 감 열권 한질로 한 것이다. | + | 의하여 인출이나 현대 조판으로써 감 10권 1질로 한 것이다. |
지금같이 재정이 귀하고 물가고에 시달리는 때에 이만한 역사를 | 지금같이 재정이 귀하고 물가고에 시달리는 때에 이만한 역사를 | ||
치루었다는 것만도 다행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 치루었다는 것만도 다행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 ||
줄 75: | 줄 75: | ||
서문 아래 붙여두는 바이다. 충경공 백중(伯仲) 양파도 각각 | 서문 아래 붙여두는 바이다. 충경공 백중(伯仲) 양파도 각각 | ||
수보한다는 말이 있다.\\ | 수보한다는 말이 있다.\\ | ||
- | \_\_단기 4291년 무술(戊戌)(1958) 10월 하순 후예손 의모(義模) 근서 | + | \_\_단기 4291년 무술(戊戌)(1858) 10월 하순 후예손 의모(義模) 근서 |
</ | </ | ||
</ | </ |
c-012.174588296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9 08:2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