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0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103 [2025/04/27 19:46] ssio2c-103 [2025/06/27 08:43] (현재) ssio2
줄 1: 줄 1:
-===駙馬公墓碣時記事===+===부마공묘갈시기사(駙馬公墓碣時記事)===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typo ff:'한양해서'>
-\_太宗信淑翁主駙馬兵曹判書\_贈領議政諱象姓黃氏唐學士諱洛之后+\_駙馬墓碣時記事\\ 
 +公郞\_太宗信淑翁主駙馬兵曹判書\_贈領議政諱象姓黃氏唐學士諱洛之后
 也考諱希碩以開國元勳封平海君\_贈右議政諡襄武祖諱天祿密直副使版圖 也考諱希碩以開國元勳封平海君\_贈右議政諡襄武祖諱天祿密直副使版圖
 判書\_贈領議政曾祖諱祐兵曹典書\_贈左議政高祖諱太白刑曹典書\_贈右 判書\_贈領議政曾祖諱祐兵曹典書\_贈左議政高祖諱太白刑曹典書\_贈右
-議政三陟朴氏副正源祐女封惠宅主繼貞敬夫人延安李氏刑曹典書琪亨 +議政三陟朴氏副正源祐女封惠宅主繼貞敬夫人延安李氏刑曹典書琪亨 
-之女翁主早世再娶全州李氏因國罷尉後官至兵曹判書\_太宗九年丁未設+之女翁主早世再娶全州李氏因國罷尉後官至兵曹判書\_太宗九年丁未設
 文武重試\_賜榮宴于禮曹公以本官赴宴事見野乘\_太祖北狩時奉使諸臣多 文武重試\_賜榮宴于禮曹公以本官赴宴事見野乘\_太祖北狩時奉使諸臣多
-不生還\_太宗甚憂之以公爲\_太祖素所寵異特命聖節陳賀使親率百官出+不生還\_太宗甚憂之以公爲\_太祖素所寵異特命聖節陳賀使親率百官出
 于惠化門外及抵奏事訖因開陳父子慈孝之道宗社安危之係叩頭出血言甚剴 于惠化門外及抵奏事訖因開陳父子慈孝之道宗社安危之係叩頭出血言甚剴
 切\_上亦執手流涕決意還都宣諭中外在北諸臣乘間言公首倡誅芳蕃不宜生 切\_上亦執手流涕決意還都宣諭中外在北諸臣乘間言公首倡誅芳蕃不宜生
 還\_太祖以襄武公草昧舊契不忍加法特補文川郡未幾憂憤卒于官\_太祖尋 還\_太祖以襄武公草昧舊契不忍加法特補文川郡未幾憂憤卒于官\_太祖尋
 悔之\_贈領議政命國風相地禮葬于同郡草閑社向午之原郡之士女稱黃政丞 悔之\_贈領議政命國風相地禮葬于同郡草閑社向午之原郡之士女稱黃政丞
-墓洞而海月先生譜序中黃象歸文川者是也逮\_淑陵遷封時距公墓最近故+墓洞而海月先生譜序中黃象歸文川者是也逮\_淑陵遷封時距公墓最近故
 因朝例遷兆將歸葬楊州而南過五里許忽柩重不敢動人咸驚異更設慰祭於靈 因朝例遷兆將歸葬楊州而南過五里許忽柩重不敢動人咸驚異更設慰祭於靈
-車因以紙鳶驗其飛到處堂隅里甲原卜葬封塋伊後公靈累累陰顯下崔姓之+車因以紙鳶驗其飛到處堂隅里甲原卜葬封塋伊後公靈累累陰顯下崔姓之
 犯埋傍孫之入葬現夢峻責即爲遷掘又有山下人築書齋於近局而恒被尊靈之 犯埋傍孫之入葬現夢峻責即爲遷掘又有山下人築書齋於近局而恒被尊靈之
-激怒不日撤去龍虎大路之傍騎馬跨牛之人往往倒世皆驚莫敢騎行此是 +激怒不日撤去龍虎大路之傍騎馬跨牛之人往往倒世皆驚莫敢騎行此是 
-村氓野老之耳目所而至今流傳者也子孫散居于楊州安等地而逮夫五世+村氓野老之耳目所而至今流傳者也子孫散居于楊州安等地而逮夫五世
 孫諱義山佑山又移居闕北闕北之黃亦祖於公而雲仍蕃衍散在一國然省掃路 孫諱義山佑山又移居闕北闕北之黃亦祖於公而雲仍蕃衍散在一國然省掃路
-遠常懷無窮之憾矣\_肅廟庚申七世孫防禦使任洪原之三年壬戌改竪頊珉+遠常懷無窮之憾矣\_肅廟庚申七世孫防禦使任洪原之三年壬戌改竪頊珉
 衛以墓道中間又被剝落越二十七年戊子八世孫副司直震聖封莎改碣\_哲廟 衛以墓道中間又被剝落越二十七年戊子八世孫副司直震聖封莎改碣\_哲廟
-辛酉後孫官敬燮與安諸孫辦置祭田齋宇保守邱壠云\\+辛酉後孫官敬燮與安諸孫辦置祭田齋宇保守邱壠云\\
 \_\_後裔孫思欽謹撰 \_\_後裔孫思欽謹撰
 </typo> </typo>
 +</hidden>
 \\ \\
 <typo fs:0.8em> <typo fs:0.8em>
-\_부마공묘갈시기사\\ +\_부마공 묘갈시 기사\\ 
-\_공은 즉 太宗의 신숙옹주 부마였으며 병조판서로 증 영의정 휘 象이오 성은 黃이니 唐나라 학사 휘 洛의 후손이라  +\_공은 즉 태종(太宗)의 신숙옹주 부마였으며 병조판서로 증 영의정  
-의 휘는 希碩 개국원훈으로 봉평해군하고 증 우의정 시호 양무요 조의 휘는 天祿이니 밀직부사판도판서증영의정이요  +휘 상()이오성은 황()이니 당()나라 학사 휘 낙()의 후손이라 
-위는 삼척 朴씨 부정 源祐의 여로써 봉 신혜택주이며 계비는 정경부인 연안李씨 형조전서 琪亨의 여라 신숙옹주 조세하 +의 휘는 희석(希碩개국원훈으로 봉 평해군하고 증 우의정  
-심에 전주李씨로 재취니 인하야 파尉되어 선원보에 부재라 후에 벼슬이 병조판서니라 태종 년 문무중시에 사영연을 +시호 양무요조의 휘는 천록(天祿)이니 밀직부사 판도판서 증 영의정이요 
-에 공이 본관으로 연석하였음의 기사가 야승에 보이도다.太祖께서 함흥에 수유중 배환으로 갔던 많은 사신이 돌아 +위는 삼척 박()씨 부정 원우(源祐)의 여로써 봉 신혜택주이며,  
-오지 못함으로 太宗이 크게 근심하사 太祖께서 상시 유달리 총애하던 공을 성절진하사로 명하야 국왕이 친히 백관을 거 +계비는 정경부인 연안 이()씨 형조전서 기형(琪亨)의 여라.\\ 
-느리고 혜화문 밖까지 전송해 보내다.太祖에게 진하사를 주상함에 인하야 부자자효의 도리와 종묘사직의 안위가 소관 + 
-되는 일임을 고두출혈로 간절히 간언하니 太祖가 또한 손을 잡고 낙누희심하여 환도하기를 결심하고 중외에 선포러니 +\_신숙옹주 조세하심에 전주 이()씨로 재취니인하야 파위(罷)되어  
-함흥에 함께하는 제신들이 간언키를 黃공이 芳蕃 죽일것을 선창한자라 생환시킴이 불가라고 함이나 太祖가 양무공과 초 +선원보에 부재라후에 벼슬이 병조판서니라태종 9년 문무중시에 사영연을 
-매시에 심기상합하야 나라를 세운 친교로 참아 형을 가할수 없다하야 특별히 문천군수로 봉하였니 얼마되지 않아 울 +에 공이 본관으로 연석하였음의 기사가 야승에 보이도다.\\ 
-분으로 관아에서 생를 마치시니 太祖가 심히 후회하야 영의정을 추증하고 나라의 지관으로 묘지를 가려서 예장으로 특 + 
-명함이 군 초한사 남면 언덕에 정하다. 그리하여 고을 사람들이 그곳을 黃정승묘골이라 이르다. 까닭에 海月선생의 +\_태조(太祖)께서 함흥에 수유 중 배환으로 갔던 많은 사신이 돌아오지  
-초보서중 黃象의 귀폄우 문천하다 함이라 그후 淑을 천봉할때 공의 묘소가 너무 가까운고로 국조법도에 따라 천봉 양 +못함으로 태종(太宗)이 크게 근심하사, 태조(太祖)께서 상시 유달리  
-주코저 남과 오리허에서 돌연 관구가 무거워 움직일수 없는고로 모두 크게 놀라 영전에 위령제를 올리고 이어 지연을 +총애하던 공을 성절진하사로 명하여, 국왕이 친히 백관을 거느리고  
-만들어 띄우니 떨어진곳이 곧 지금의 당우리 甲좌원으로 안장 봉영하다. 그후 공의 영험이 누차 음현하야 묘하의 崔가 +혜화문 밖까지 전송해 보내다. 태조(太祖)에게 진하사를 주상함에 인하야  
-성이 암장한 일이며 또는 방손이 입장한것을 현몽하야 호되게 꾸짖어 천굴하였으며 또 산하 가까이에 서당을 지었더니 +부자자효의 도리와 종묘사직의 안위가 소관되는 일임을  
-항시로 존영이 격노하사 불일내 철거하였으며 용호대로지변에 말과 소를 타고 다니는 자가 왕왕 떨어져 상하는 일이 있 +고두 출혈로 간절히 간언하니, 태조(太祖)가 또한 손을 잡고  
-음에 세상 사람들이 모두 두려워하고 겁이나서 소나 말를 타고 지나지 못했다는 전설이 지금에도 전하고 있다. 자손이 +루회심하여 환도하기를 결심하고 중외에 선포러니. 
-산거 양주 청안등지라 무릇 세손인 義山・佐山 또는 이거 관북 관북의 黃씨 또한 그 윗조상은 공이시며 자손이 번연 +함흥에 함께하는 제신들이 간언키를 황()공이 방번(芳蕃죽일 것을  
-산재일하니 거리야 멀고 가까움은 고사하고 널리 분포됨이 감회가 무궁이라 숙종 庚申에 세손이신 께서 방어사 +선창한 자라 생환시킴이 불가라고 함이나, 태조(太祖)가 양무공과  
-로 홍원에 재임 년중 壬戌에 비를 개수하였고 또 그후 이십칠년 부사직 震聖께서 봉사초 개갈하고 철종 신유에 후손 +초매시에 심기상합하여 나라를 세운 친교로 차마 형을 가할 수 없다하여  
-敬燮과 더불어 청안 제손이 판치 제전하고 재실을 중수니라\\+특별히 문천군수로 봉하였얼마되지 않아 울분으로  
 +관아에서 생을 마치시니, 태조(太祖)가 심히 후회하여 영의정을 추증하고  
 +나라의 지관으로 묘지를 가려서 예장으로 특명함이,  
 +같은 군 초한사 남면 언덕에 정하다. 그리하여 고을 사람들이 그곳을  
 +황()정승묘골이라 이르다. 까닭에 해월(海月선생의 
 +초보서 중 황상(黃象)의 귀폄우 문천하다 함이라. \\ 
 +\_그후 숙릉(陵)을  
 +천봉할 때 공의 묘소가 너무 가까운 고로국조법도에 따라  
 +천봉 양주코저 남과 오리허에서 돌연 관구가 무거워 움직일 수 없는 고로,  
 +모두 크게 놀라 영전에 위령제를 올리고 이어 지연을 
 +만들어 띄우니떨어진 곳이 곧 지금의 당우리 갑()좌원으로 안장 봉영하다. \\ 
 + 
 +\_그후 공의 영험이 누차 음현하야 묘하의 최()가 성이 암장한 일이며,  
 +또는 방손이 입장한 것을 현몽하여 호되게 꾸짖어 천굴하였으며,  
 +또 산하 가까이에 서당을 지었더니 
 +항시로 존영이 격노하사 불일내 철거하였으며,  
 +용호대로 지변에 말과 소를 타고 다니는 자가  
 +왕왕 떨어져 상하는 일이 있음에세상 사람들이 모두 두려워하고  
 +겁이 나서 소나 말을 타고 지나지 못했다는 전설이 지금에도 전하고 있다. \\ 
 +\_자손이 산거 양주 청안 등지라무릇 5세손인 의산(義山)좌산(佐山)  
 +또는 이거 관북관북의 황()씨 또한 그 윗 조상은 공이시며  
 +자손이 번연 산재일하니거리야 멀고 가까움은 고사하고 널리 분포됨이  
 +감회가 무궁이라숙종 경신(庚申)에 7세손이신 유(㙧)께서 방어사로  
 +홍원에 재임 3년 중 임술(壬戌)에 비를 개수하였고,  
 +또 그후 27년 부사직 진성(震聖)께서 봉사초 개갈하고철종 신유에 후손 
 +경섭(敬燮)과 더불어 청안 제손이 판치 제전하고 재실을 중수니라.\\
 \_\_후예손 사흠(思欽) 근찬 \_\_후예손 사흠(思欽) 근찬
 </typo> </typo>
 </WRAP> </WRAP>
c-103.174575076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7 19:4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