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37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137 [2025/05/06 20:21] ssio2c-137 [2025/06/27 10:20] (현재) ssio2
줄 2: 줄 2: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typo ff:'한양해서'>
-\_澹圃公黃道行狀略\\+\_澹圃公黃道行狀略\\
 公諱道尙字望九平海人羅時有諱洛官學士桴海而東始居平海即上祖也至我 公諱道尙字望九平海人羅時有諱洛官學士桴海而東始居平海即上祖也至我
 朝有諱希碩佐\_太祖開國元勳封平海君諡襄武歷八世至諱克一丁丙亂以武 朝有諱希碩佐\_太祖開國元勳封平海君諡襄武歷八世至諱克一丁丙亂以武
-勳\_賜錄券於公爲高祖曾祖諱遇通政祖諱光赫考諱貴賢妣安東權氏大成+勳\_賜錄券於公爲高祖曾祖諱遇通政祖諱光赫考諱貴賢妣安東權氏大成
 女以\_肅廟甲寅某月日生公于新漢里第自幼天殖仁孝出遇美果必裹而獻父 女以\_肅廟甲寅某月日生公于新漢里第自幼天殖仁孝出遇美果必裹而獻父
 母及長親年髦家力詘早謝名韁不能專意於學躬親漁稼以資志軆之養凡便身 母及長親年髦家力詘早謝名韁不能專意於學躬親漁稼以資志軆之養凡便身
 之物適口之味未嘗匱乏其罹憂也哀毀逾制朔望輒省墓雨雪不廢秉心公平與 之物適口之味未嘗匱乏其罹憂也哀毀逾制朔望輒省墓雨雪不廢秉心公平與
-物無忤接人欸厚咸得歡心漢川南玉流亭北有澹方浦沙磧成堆草樹成一日+物無忤接人欸厚咸得歡心漢川南玉流亭北有澹方浦沙磧成堆草樹成一日
 行過其處宛然有一少年從林木間以手招之有哀丐之聲心甚怪之往視則無有 行過其處宛然有一少年從林木間以手招之有哀丐之聲心甚怪之往視則無有
 見樵牧群童萃大樹下倒懸一巨鱉於樹枝而㸑火欲灸而食之鱉向公有涕泣狀 見樵牧群童萃大樹下倒懸一巨鱉於樹枝而㸑火欲灸而食之鱉向公有涕泣狀
줄 24: 줄 24:
 公之謂也若鰲公報恩一事頗似涉誕然古人有救蛇而獲明珠渡蟻而得科第夫 公之謂也若鰲公報恩一事頗似涉誕然古人有救蛇而獲明珠渡蟻而得科第夫
 鱉水族之靈異者往往有符驗如世之八鼈之家是已此奚獨然疑也哉公之遠孫 鱉水族之靈異者往往有符驗如世之八鼈之家是已此奚獨然疑也哉公之遠孫
-基洪孫相鉉䝴來家傳遺事一通責余以狀德之文顧非其人揆諸世分有不可 +基洪孫相鉉䝴來家傳遺事一通責余以狀德之文顧非其人揆諸世分有不可 
-終辭者酒敢次如右\\+終辭者酒敢次如右\\
 \_\_禮州申弘浩謹狀 \_\_禮州申弘浩謹狀
 </typo> </typo>
줄 32: 줄 32:
 <typo fs:0.8em> <typo fs:0.8em>
 \_담포공 황도상 행장략\\ \_담포공 황도상 행장략\\
-\_공의 휘는 도상(道)이오 자는 망구(望九)요 본관은 평해라. +\_공의 휘는 도상(道)이오 자는 망구(望九)요 본관은 평해라. 
 신라 때에 학사(學士)이신 휘 낙(洛)께서 중국으로부터 바다를 건너,  신라 때에 학사(學士)이신 휘 낙(洛)께서 중국으로부터 바다를 건너, 
 처음 평해(平海)에 처음 평해(平海)에
c-137.174653048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6 20:2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