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4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141 [2025/05/01 22:39] ssio2c-141 [2025/05/22 09:00] (현재) ssio2
줄 1: 줄 1:
 ===평해황씨세보경진중간범례(平海黃氏世譜庚辰重刊凡例)=== ===평해황씨세보경진중간범례(平海黃氏世譜庚辰重刊凡例)===
 +<WRAP 33em justify>
 \_平海黃氏世譜庚辰重刊凡例\\ \_平海黃氏世譜庚辰重刊凡例\\
 +\_평해황씨세보 경진(2000) 중간 범례\\
   - 평해(平海)는 성관(姓貫) 고(故)로 건치연혁(建置沿革)만을 약기(畧記)하다   - 평해(平海)는 성관(姓貫) 고(故)로 건치연혁(建置沿革)만을 약기(畧記)하다
-  - 자(自)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으로 지(至) 금오공(金吾公)까지 세계(世繼) 중단(中斷)하야 불감계서(不敢繼序)라 고(故)로 기사실(其事實)을 총편(總編)에 약기(畧記)하다+  - 자(自)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으로 지(至) 금오공(金吾公)까지 세계(世繼) 중단(中斷)하야 불감계서(不敢繼序)라고(故)로 기사실(其事實)을 총편(總編)에 약기(畧記)하다
   - 매판(每版) 매회(每回)를 횡사7란(橫寫七欄)으로하고 매면(每面) 17행(十七行)에 매란(每欄) 9자고(九字高) 8자평(八字平)으로하여 자(自) 1세(一世) 금오공(金吾公)으로 지(至) 5회(五回) 35세(三十五世)에 지(止)하다   - 매판(每版) 매회(每回)를 횡사7란(橫寫七欄)으로하고 매면(每面) 17행(十七行)에 매란(每欄) 9자고(九字高) 8자평(八字平)으로하여 자(自) 1세(一世) 금오공(金吾公)으로 지(至) 5회(五回) 35세(三十五世)에 지(止)하다
-  - 제4회(第四回) 제5회(第五回) 기두처(起頭處)에는 부조휘(父祖諱)를 상서(上書)하야 이저소계(以著其所系)하다+  - 제4회(第四回) 제5회(第五回) 기두처(起頭處)에는 부조휘(父祖諱)를 상서(上書)하야 이저소계(以著其所系)하다
   - 각파(各派) 자손(子孫)이 산거(散居) 각읍(各邑)하여 난어식별(難於識別) 고(故)로 매장(每張) 변폭(邊幅)에 서(書) 모공후(某公后) 모파(某派)하며 모군(某郡) 모면(某面)하고 기두상(起頭上)에 서(書) 하리동(何里洞)하여 이편고람(以便考覽)하다   - 각파(各派) 자손(子孫)이 산거(散居) 각읍(各邑)하여 난어식별(難於識別) 고(故)로 매장(每張) 변폭(邊幅)에 서(書) 모공후(某公后) 모파(某派)하며 모군(某郡) 모면(某面)하고 기두상(起頭上)에 서(書) 하리동(何里洞)하여 이편고람(以便考覽)하다
-  - 방주비서(傍註備書)에는 자호(字號) 관직(官職)과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 급(及) 묘소(墓所)하며 거위신적(據信蹟)하다+  - 방주비서(傍註備書)에는 자호(字號) 관직(官職)과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 급(及) 묘소(墓所)하며 거위신적(據信蹟)하다
   - 배위(配位)는 생실사배(生室死配)로 하되 계배(繼配)는 계(繼)로 3배(三配)는 3(三)으로 부실(副室)은 부(副)로 표기(表記)하고 모봉(某封) 모관(某貫) 모성(某姓) 혹(或)은 모명(某名)하고 저기4조(著記四祖)하고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 급(及) 묘소(墓所)하다   - 배위(配位)는 생실사배(生室死配)로 하되 계배(繼配)는 계(繼)로 3배(三配)는 3(三)으로 부실(副室)은 부(副)로 표기(表記)하고 모봉(某封) 모관(某貫) 모성(某姓) 혹(或)은 모명(某名)하고 저기4조(著記四祖)하고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 급(及) 묘소(墓所)하다
   - 구보(舊譜) 재어(載於) 여서(女婿)의 현주(懸註)는 구보례(舊譜例)로 필서성관(必書姓貫)하고 현조부휘(顯祖父諱) 급(及) 외손(外孫)을 직서장간(直書長間)하야 취기간편(取其簡便)하다   - 구보(舊譜) 재어(載於) 여서(女婿)의 현주(懸註)는 구보례(舊譜例)로 필서성관(必書姓貫)하고 현조부휘(顯祖父諱) 급(及) 외손(外孫)을 직서장간(直書長間)하야 취기간편(取其簡便)하다
   - 현세(現世) 출가녀(出嫁女)는 모명(某名)하고 현주(懸註)에는 생기(生記)하고 부(夫) 모관(某貫) 성명(姓名) 급(及) 부모(父某) 자모(子某)를 직서(直書)하여 취기간편(取其簡便)하였으나 혹(或) 정단미비(呈單未備)로 구례(舊例)를 종(從)한 바도 유(有)함   - 현세(現世) 출가녀(出嫁女)는 모명(某名)하고 현주(懸註)에는 생기(生記)하고 부(夫) 모관(某貫) 성명(姓名) 급(及) 부모(父某) 자모(子某)를 직서(直書)하여 취기간편(取其簡便)하였으나 혹(或) 정단미비(呈單未備)로 구례(舊例)를 종(從)한 바도 유(有)함
   - 세속(世俗) 변태(變態)에 준(遵)하여 미가녀(未嫁女)를 소연(昭然) 등재(登載)나 선남후녀(先男後女)로 하다   - 세속(世俗) 변태(變態)에 준(遵)하여 미가녀(未嫁女)를 소연(昭然) 등재(登載)나 선남후녀(先男後女)로 하다
-  - 계절존사(繼存嗣)는 시(是) 춘추대의(春秋大義) 고(故)로 허기종족(許其宗族) 중(中)에 세계가거자(世系可據者)를 호상계출(互相系出)하다 +  - 계절존사(繼存嗣)는 시(是) 춘추대의(春秋大義) 고(故)로 허기종족(許其宗族) 중(中)에 세계가거자(世系可據者)를 호상계출(互相系出)하다 
-  - 방주(傍註)에 배위(配位)나 묘소(墓所)나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이 녹어정단지미비(錄於呈單之未備)로 다유략(多有畧)하니 남자(覽者)는 서지(恕之)+  - 방주(傍註)에 배위(配位)나 묘소(墓所)나 생졸연월일(生卒年月日)이 녹어정단지미비(錄於呈單之未備)로 다유략(多有畧)하니 남자(覽者)는 서지(恕之)
   - 생년기(生年紀)를 녹어정단(錄於呈單)에 준(遵)하야 혹(或) 단기(檀紀) 혹(或) 서기(西紀) 혹(或) 간지(干支)로 미일치(未一致)니 남자(覽者)는 서지(恕之)   - 생년기(生年紀)를 녹어정단(錄於呈單)에 준(遵)하야 혹(或) 단기(檀紀) 혹(或) 서기(西紀) 혹(或) 간지(干支)로 미일치(未一致)니 남자(覽者)는 서지(恕之)
   - 세계분파도(世系分派圖)를 편어권수((編於卷首)하야 일람요연(一覽瞭然)케 하고 지각파지원어일조(知各派之源於一祖)하야 각수돈목(恪守敦睦)케 하다   - 세계분파도(世系分派圖)를 편어권수((編於卷首)하야 일람요연(一覽瞭然)케 하고 지각파지원어일조(知各派之源於一祖)하야 각수돈목(恪守敦睦)케 하다
   -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 단소도(壇所圖) 의정공(議政公) 산소도(山所圖) 양무공(襄武公) 묘소도(廟所圖) 부마공(駙馬公) 산소도(山所圖) 사직공(司直公) 산소도(山所圖) 시정공(寺正公) 산소도(山所圖)로 직계종통(直系宗統) 각모사(各模寫)만을 권수(卷首)에 부우게시(附于揭示)하다   -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 단소도(壇所圖) 의정공(議政公) 산소도(山所圖) 양무공(襄武公) 묘소도(廟所圖) 부마공(駙馬公) 산소도(山所圖) 사직공(司直公) 산소도(山所圖) 시정공(寺正公) 산소도(山所圖)로 직계종통(直系宗統) 각모사(各模寫)만을 권수(卷首)에 부우게시(附于揭示)하다
-  -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 단소(壇所) 급(及) 평해군(平海君) 묘각(廟閣) 사진(寫)을 권수(卷首)에 게시(揭示)하다 +  - 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 단소(壇所) 급(及) 평해군(平海君) 묘각(廟閣) 사진(寫)을 권수(卷首)에 게시(揭示)하다 
-  - 현세(現勢) 불통(格不通)으로 불참선계(不參先系)도 역세(亦世) 세보첩중(世譜牒中)의 기등재(登載) 25세한(二十五世限) 등서지(謄書之)는 후인(後人) 소계상고(昭系詳考)에 편의(便宜)를 도모(圖謀)하다 +  - 현세(現勢) 불통(格不通)으로 불참선계(不參先系)도 역세(亦世) 세보첩중(世譜牒中)의 기등재(登載) 25세한(二十五世限) 등서지(謄書之)는 후인(後人) 소계상고(昭系詳考)에 편의(便宜)를 도모(圖謀)하다 
-  - 금차(今次) 보책(譜)은 양장(洋裝) 5권1질(五卷一帙)로 편철(編綴) 미려(美麗)하고도 견고(堅固)를 기(企)했으며 권명(卷名)을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하다+  - 금차(今次) 보책(譜)은 양장(洋裝) 5권1질(五卷一帙)로 편철(編綴) 미려(美麗)하고도 견고(堅固)를 기(企)했으며 권명(卷名)을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하다 
 +</WRAP>
  
c-141.174610679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1 22:3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