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04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048 [2025/05/17 11:44] – ssio2 | c3-048 [2025/06/03 16:57] (현재) – ssio2 | ||
---|---|---|---|
줄 64: | 줄 64: | ||
많은 선비들의 중망(重望)이 되었다. 공(公)이 일찍이 | 많은 선비들의 중망(重望)이 되었다. 공(公)이 일찍이 | ||
말하기를, | 말하기를, | ||
- | 유산(遺產)은 근학신행(勤學愼行)이라는 문구를 문집(文集)에 | + | 유산(遺産)은 근학신행(勤學愼行)이라는 문구를 문집(文集)에 |
실어 있거늘, 가훈(家訓)으로 전(傳)하고 대대(代代)로 지켜오는 것인데 | 실어 있거늘, 가훈(家訓)으로 전(傳)하고 대대(代代)로 지켜오는 것인데 | ||
지금인들 어찌 이 무념(無念)의 교훈(敎訓)을 저버릴 수 | 지금인들 어찌 이 무념(無念)의 교훈(敎訓)을 저버릴 수 | ||
줄 85: | 줄 85: | ||
\_병신년(丙申年)에는 왜적(倭敵)에게 국모(國母) 살해사건(殺害事件)이 | \_병신년(丙申年)에는 왜적(倭敵)에게 국모(國母) 살해사건(殺害事件)이 | ||
생(生)하니 전국민(全國民)이 국모(國母)를 위(爲)하여 의거(義擧)가 | 생(生)하니 전국민(全國民)이 국모(國母)를 위(爲)하여 의거(義擧)가 | ||
- | 일어남에, | + | 일어남에, |
응(應)하였더니 일을 성사(成事)치 못한 채 투옥(投獄)되었는지라. | 응(應)하였더니 일을 성사(成事)치 못한 채 투옥(投獄)되었는지라. | ||
공(公)이 옥리(獄吏)를 불러 종이와 붓을 가져오라 명(命)하여, | 공(公)이 옥리(獄吏)를 불러 종이와 붓을 가져오라 명(命)하여, | ||
줄 92: | 줄 92: | ||
영장(營將)에게 고(告)하였더니, | 영장(營將)에게 고(告)하였더니, | ||
탄식(歎息)하고 이는 세상에서 구(求)하기 어려운 인물(人物)이라 | 탄식(歎息)하고 이는 세상에서 구(求)하기 어려운 인물(人物)이라 | ||
- | 하고, 도리어 사례(謝禮)하며 돌려 보내니 이 후(後)로 부터 | + | 하고, 도리어 사례(謝禮)하며 돌려 보내니 이 후(後)로부터 |
공(公)의 성명(聲名)이 날로 더 하여, 멀고 가까운 | 공(公)의 성명(聲名)이 날로 더 하여, 멀고 가까운 | ||
문인호걸(文人豪傑)들이 다 추중(推重)하며 따르더라.\\ | 문인호걸(文人豪傑)들이 다 추중(推重)하며 따르더라.\\ | ||
줄 124: | 줄 124: | ||
전수(奠需)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 전수(奠需)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 ||
- | \_무술년(戊戌年)에 통문(通文)을 발(發)하여 경향(京鄉)의 | + | \_무술년(戊戌年)에 통문(通文)을 발(發)하여 경향(京鄕)의 |
대보(大譜)를 청안(淸安)에서 닦을 때, 청안(淸安)은 곧 | 대보(大譜)를 청안(淸安)에서 닦을 때, 청안(淸安)은 곧 | ||
방선조(傍先祖) 양무공(襄武公)의 세거(世居) 종택(宗宅)이다. | 방선조(傍先祖) 양무공(襄武公)의 세거(世居) 종택(宗宅)이다. | ||
줄 154: | 줄 154: | ||
\_공(公)이 장중(莊重)한 자품(資稟)의 품성(品性)을 지니시고 | \_공(公)이 장중(莊重)한 자품(資稟)의 품성(品性)을 지니시고 | ||
고매(高邁)한 지기(志氣)를 가지시어 지난 날의 암락(岩落)한 | 고매(高邁)한 지기(志氣)를 가지시어 지난 날의 암락(岩落)한 | ||
- | 기개(氣概)는 큰 출세(出世)를 기대(期待)했으나, | + | 기개(氣槪)는 큰 출세(出世)를 기대(期待)했으나, |
자각(自覺)하고 부운(浮雲)같은 세상(世上) 일에 허무(虛無)하게 | 자각(自覺)하고 부운(浮雲)같은 세상(世上) 일에 허무(虛無)하게 | ||
좌왕우왕(左往右往)하느니보다, | 좌왕우왕(左往右往)하느니보다, | ||
줄 172: | 줄 172: | ||
그르다 하지않고 오직 좋은 일이며 의(義)로운 것이면 좋고 | 그르다 하지않고 오직 좋은 일이며 의(義)로운 것이면 좋고 | ||
행(行)했으니, | 행(行)했으니, | ||
- | 향당(鄉黨)에 들어나 큰 종사(宗事)에 있어서나 병신년(丙申年) | + | 향당(鄕黨)에 들어나 큰 종사(宗事)에 있어서나 병신년(丙申年) |
국모의거사건(國母義擧事件) 같은 국사(國事)에 있어서도 | 국모의거사건(國母義擧事件) 같은 국사(國事)에 있어서도 | ||
- | 향민(鄉民)들이 믿고 따라 나라에도 영광(榮光)되게 하였다. | + | 향민(鄕民)들이 믿고 따라 나라에도 영광(榮光)되게 하였다. |
이같이 그의 몸에 쌓인 것이 이미 후(厚)한 고(故)로 문사(文辭)로 | 이같이 그의 몸에 쌓인 것이 이미 후(厚)한 고(故)로 문사(文辭)로 | ||
발(發)하는 것도 또한 깊고 그윽하며 높고 굳세어 속된 선비들이 | 발(發)하는 것도 또한 깊고 그윽하며 높고 굳세어 속된 선비들이 | ||
- | 조박(粗粕)하고 재치있는 글과는 다른 문화적(文化的) 가치(價值)있는 | + | 조박(粗粕)하고 재치있는 글과는 다른 문화적(文化的) 가치(價値)있는 |
저술(著述)이 적지 않았는데, | 저술(著述)이 적지 않았는데, | ||
소실(燒失)되고 다만 시문(詩文) 몇 편(篇)만 집에 간수해 있을 뿐이다.\\ | 소실(燒失)되고 다만 시문(詩文) 몇 편(篇)만 집에 간수해 있을 뿐이다.\\ | ||
줄 198: | 줄 198: | ||
여(女)는 순흥(順興) 안용발(安鎔浡)에게 출가(出嫁)하였다, | 여(女)는 순흥(順興) 안용발(安鎔浡)에게 출가(出嫁)하였다, | ||
학([日學])이 2남(二男)을 두었는데 재린(載麟) 재봉(載鳳)이다. | 학([日學])이 2남(二男)을 두었는데 재린(載麟) 재봉(載鳳)이다. | ||
- | 재우(載宇)가 4남3녀(四男三女)를 두었으니, | + | 재우(載宇)가 4남3녀(四男三女)를 두었으니, |
- | 다음은 석진(碩鎮) 한진(漢鎮) 익진(翼鎮)이요, | + | 다음은 석진(碩鎭) 한진(漢鎭) 익진(翼鎭)이요, |
여(女)는 신안(新安) 주재수(朱宰壽)에게 출가(出嫁)하고 | 여(女)는 신안(新安) 주재수(朱宰壽)에게 출가(出嫁)하고 | ||
나머지는 어려서 기록(記錄)하지 아니한다.\\ | 나머지는 어려서 기록(記錄)하지 아니한다.\\ |
c3-048.174744989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7 11:4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