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5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53 [2025/05/18 17:38] 121.166.63.129c3-053 [2025/05/26 10:53] (현재) 121.166.63.129
줄 8: 줄 8:
 봉분(封墳)이 있으니, 세상(世上)에서 봉분(封墳)이 있으니, 세상(世上)에서
 전(傳)하기를 공(公)의 분묘(墳墓)가 영주군(榮州郡) 동(東) 20리(二十里)  전(傳)하기를 공(公)의 분묘(墳墓)가 영주군(榮州郡) 동(東) 20리(二十里) 
-동(艾洞) 을좌원(乙坐原)에 있다 하고, 맏아들  +동(艾洞) 을좌원(乙坐原)에 있다 하고, 맏아들  
-지평공(持平公) 전(銓)의 묘(墓)가 그 위에 있다 하며, 동(艾洞)은 일명(一名)+지평공(持平公) 전(銓)의 묘(墓)가 그 위에 있다 하며, 동(艾洞)은 일명(一名)
 황분(黃墳) 고개라 하니 대개(大慨) 황공(黃公)의 분묘(墳墓)가 있음을 황분(黃墳) 고개라 하니 대개(大慨) 황공(黃公)의 분묘(墳墓)가 있음을
 속칭(俗稱)한 것이다.\\ 속칭(俗稱)한 것이다.\\
줄 28: 줄 28:
 예조형조전서(禮曹刑曹典書)를 역임(歷任)하셨다. 공(公)이 예조형조전서(禮曹刑曹典書)를 역임(歷任)하셨다. 공(公)이
 젊을 때부터 늙을 때까지 논어(論語)를 애독(愛讀)하니 세상(世上) 사람들이 젊을 때부터 늙을 때까지 논어(論語)를 애독(愛讀)하니 세상(世上) 사람들이
-미균(米)이라 호칭(呼稱)하였고, 또 시문(詩文)에 능(能)하여+미균(米)이라 호칭(呼稱)하였고, 또 시문(詩文)에 능(能)하여
 당인(唐人)의 시풍(詩風)이 있다 하였으며, 당인(唐人)의 시풍(詩風)이 있다 하였으며,
 공(公)의 족손(族孫) 해월공(海月公)이 전(傳)해 들은 것을 기록(記錄)한 공(公)의 족손(族孫) 해월공(海月公)이 전(傳)해 들은 것을 기록(記錄)한
줄 96: 줄 96:
 또한 봉분(封墳)을 징험(微驗)한 일과 축단(築壇)한 공의(公議)를 또한 봉분(封墳)을 징험(微驗)한 일과 축단(築壇)한 공의(公議)를
 들은 바 있으므로, 내가 어찌 못한다 하여 사양할 수 있겠는가. 들은 바 있으므로, 내가 어찌 못한다 하여 사양할 수 있겠는가.
-대략(大略) 전말(末)을 적어 이와 같이 이르노라.\\+대략(大略) 전말(末)을 적어 이와 같이 이르노라.\\
 \_\_외예손(外裔孫)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선성(宣城) 김약련(金若練) 근찬(謹撰) \_\_외예손(外裔孫)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선성(宣城) 김약련(金若練) 근찬(謹撰)
 </typo> </typo>
 </WRAP> </WRAP>
c3-053.174755748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8 17:38 저자 121.166.6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