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5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58 [2025/06/14 17:39] ssio2c3-058 [2025/06/16 20:27] (현재) ssio2
줄 2: 줄 2:
 <WRAP 37em centeralign> <WRAP 37em centeralign>
  
-**東萊府使平海黃公諱鵠之墓\\+{{img-c3-058.jpg?200  }}**東萊府使平海黃公諱鵠之墓\\
 동래부사평해황공휘곡지묘\\ 동래부사평해황공휘곡지묘\\
 配淑夫人礪山宋氏合兆\\ 配淑夫人礪山宋氏合兆\\
줄 11: 줄 11:
 성(姓)은 황씨(黃氏)요 본(本)은 평해(平海)며 관(官)은 동래부사(東萊府使)시다. \\ 성(姓)은 황씨(黃氏)요 본(本)은 평해(平海)며 관(官)은 동래부사(東萊府使)시다. \\
 \_고려(高麗)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 \_고려(高麗)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
-휘(諱) 온인(溫仁)이 위(爲) 1세(一世)이며, 2전(二傳) 지(至) 4세(四世) 휘(諱)는 용()이며 +휘(諱) 온인(溫仁)이 위(爲) 1세(一世)이며, 2전(二傳) 지(至) 4세(四世) 휘(諱)는 용(𤨭)이며 
 고려(高麗)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이요 시호(諡號)는 충경(忠敬)이며, 고려(高麗)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이요 시호(諡號)는 충경(忠敬)이며,
 고조(高祖) 휘(諱)는 태백(太白)이요 고려(高麗) 자헌대부(資憲大夫) 형조전서(刑曹典書)하고 고조(高祖) 휘(諱)는 태백(太白)이요 고려(高麗) 자헌대부(資憲大夫) 형조전서(刑曹典書)하고
줄 19: 줄 19:
 태조조(太祖朝)서 증(贈) 영의정(領議政)하고, 고(考) 휘(諱)는 희석(希碩)이요 호(號)는 괴헌(槐軒)이며 태조조(太祖朝)서 증(贈) 영의정(領議政)하고, 고(考) 휘(諱)는 희석(希碩)이요 호(號)는 괴헌(槐軒)이며
 태조(太祖) 개국공신(朝開國功臣) 숭록대부(崇祿大夫) 찬성사(贊成事)하고 봉(封) 평해군(平海君)하고 태조(太祖) 개국공신(朝開國功臣) 숭록대부(崇祿大夫) 찬성사(贊成事)하고 봉(封) 평해군(平海君)하고
- 
 증(贈) 우의정(右議政)이며 시(諡) 양무(襄武)시다. 비(妣) 신혜택주(慎惠宅主) 삼척박씨(三陟朴氏)는 증(贈) 우의정(右議政)이며 시(諡) 양무(襄武)시다. 비(妣) 신혜택주(慎惠宅主) 삼척박씨(三陟朴氏)는
 부정(副正) 원우(源祐) 여(女)시다.\\ 부정(副正) 원우(源祐) 여(女)시다.\\
- 
 \_공(公)은 홍무(洪武) 을축(乙丑) 1385년(一三八五年) \_공(公)은 홍무(洪武) 을축(乙丑) 1385년(一三八五年)
 태어나시어 정해(丁亥) 1407년(一四〇七年) 4월(四月) 9일(九日)에 돌아가시니 향년(享年) 23세(二十三歲)라. 태어나시어 정해(丁亥) 1407년(一四〇七年) 4월(四月) 9일(九日)에 돌아가시니 향년(享年) 23세(二十三歲)라.
줄 28: 줄 26:
 여산송씨(礪山宋氏)와 합조(合兆)하고 청송군(靑松郡) 청송읍(靑松邑) 송생리(松生里) 세덕사(世德祠)에 여산송씨(礪山宋氏)와 합조(合兆)하고 청송군(靑松郡) 청송읍(靑松邑) 송생리(松生里) 세덕사(世德祠)에
 배향(配享)되어 매년 청명일(淸明日)에 봉제사(奉祭祀)함이라.\\ 배향(配享)되어 매년 청명일(淸明日)에 봉제사(奉祭祀)함이라.\\
- 
 \_공(公)이 동래부사(東萊府使) 재임시에 졸지에 난세(亂世)를 당하여 부민(府民)이 도탄(塗炭)에  \_공(公)이 동래부사(東萊府使) 재임시에 졸지에 난세(亂世)를 당하여 부민(府民)이 도탄(塗炭)에 
 빠짐이라. 공(公)은 관군(官軍)을지휘하여 적도(賊徒)들을 물리치고 난세(亂世)를 평정(平定)하여 빠짐이라. 공(公)은 관군(官軍)을지휘하여 적도(賊徒)들을 물리치고 난세(亂世)를 평정(平定)하여
 난민(難民)을 구휼(求恤)하고 치산치수(治山治水)로 토지를 윤택(潤澤)하게 하여 칭송(稱頌)을 난민(難民)을 구휼(求恤)하고 치산치수(治山治水)로 토지를 윤택(潤澤)하게 하여 칭송(稱頌)을
 받았으나 천수(天壽)를 다하지 못하니 부민(府民)이 통곡하며 매우 애통해 하였음이라. \\ 받았으나 천수(天壽)를 다하지 못하니 부민(府民)이 통곡하며 매우 애통해 하였음이라. \\
- 
 \_공(公) 유3자(有三子)하니 장(長) 의조(義祖)는 \_공(公) 유3자(有三子)하니 장(長) 의조(義祖)는
 종사랑(從仕郞)이요, 차(次) 익진(翼軫)이며, 차(次) 득천(得天)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이며, 종사랑(從仕郞)이요, 차(次) 익진(翼軫)이며, 차(次) 득천(得天)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이며,
줄 47: 줄 43:
 선조(宣祖) 계유(癸酉) 1573년(一五七三年) 동생 덕진(德眞)과 함께 청송(靑松)에 입향한  선조(宣祖) 계유(癸酉) 1573년(一五七三年) 동생 덕진(德眞)과 함께 청송(靑松)에 입향한 
 공(公)의 6세손(六世孫)이며, 이하는 불록(不錄)이라.\\ 공(公)의 6세손(六世孫)이며, 이하는 불록(不錄)이라.\\
- 
 \_어느날 공(公)의 17세손(十七世孫) 수도(壽道) 보(甫)가 나를 방문(訪問)하고 공(公)의 \_어느날 공(公)의 17세손(十七世孫) 수도(壽道) 보(甫)가 나를 방문(訪問)하고 공(公)의
 갈문(碣文)을 청(請)하는지라. 나는 학문(學問)이 깊지 않아 거듭사양(辭讓)하다가 갈문(碣文)을 청(請)하는지라. 나는 학문(學問)이 깊지 않아 거듭사양(辭讓)하다가
 삼가 가장(家狀)을 살펴 대략 위와 같이 서술(敍述)함이라.\\ 삼가 가장(家狀)을 살펴 대략 위와 같이 서술(敍述)함이라.\\
- +\\ 
-평해군(平海君) 아들의 충효(忠孝)가 하늘에 닿았도다. +평해군(平海君) 아들의 충효(忠孝)가 하늘에 닿았도다. \\ 
-홍안(紅顏)의 부사(府使)가 문무(文武)를 겸비(兼備)하여 +홍안(紅顏)의 부사(府使)가 문무(文武)를 겸비(兼備)하여\\ 
-민정(民政)을 순시(巡視)하고 덕(德)을 행(行)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어도 +민정(民政)을 순시(巡視)하고 덕(德)을 행(行)하여 \\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였으니 +선정(善政)을 베풀어도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였으니\\ 
-공(公)의 영혼(靈魂)은 하늘에 있으나 대대(代代)로 자손(子孫)들에게 +공(公)의 영혼(靈魂)은 하늘에 있으나 \\ 
-전(傳)하기 위하여 비석(碑石))에 새겨 영세(永世)토록 기억(記憶)하게 하리라.\\+대대(代代)로 자손(子孫)들에게 전(傳)하기 위하여 \\ 
 +비석(碑石))에 새겨 \\ 
 +영세(永世)토록 기억(記憶)하게 하리라.\\
 \\ \\
 \_\_2016년(二〇一六年) 병신(丙申) 천중지일(天中之日) \\ \_\_2016년(二〇一六年) 병신(丙申) 천중지일(天中之日) \\
-\_\_\_\_靑松 沈明澤 謹撰\\+\_\_\_\_청송(靑松) 심명택(沈明澤) 근찬(謹撰)\\
 \_\_2016년(二〇一六年) 병신(丙申) 11월(十一月) 17일(十七日) \\ \_\_2016년(二〇一六年) 병신(丙申) 11월(十一月) 17일(十七日) \\
 \_\_\_\_21세(二十一世) 주손(胄孫) 병량(昞樑) 근수(謹竪) \_\_\_\_21세(二十一世) 주손(胄孫) 병량(昞樑) 근수(謹竪)
 </WRAP> </WRAP>
 +<WRAP 37em rightalign> 
 +원문에 뛰어쓰기 및 한글 병기를 하였슴.\\ 
 +위치: 경북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343-1\\ 
 +좌표: 36.383292, 129.076202 {{https://maps.app.goo.gl/LNygxKGmVT6kmksm7|지도}} 
 +</WRAP>
c3-058.174989037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14 17:3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