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1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2-014 [2025/06/07 22:59] ssio2c32-014 [2025/06/09 22:10] (현재) ssio2
줄 16: 줄 16:
 평해(平海)에 사셨으므로 관향을 평해로 삼고 시조가 되셨다.\\ 평해(平海)에 사셨으므로 관향을 평해로 삼고 시조가 되셨다.\\
  
-\_그 후 고려조에 와서 태자검교(太子檢校) 휘(諱) 온인(溫仁), 군기소윤((軍器少尹) 휘(諱)  +\_그 후 고려조에 와서 태자검교(太子檢校) 휘(諱) 온인(溫仁), 군기소윤(軍器少尹) 휘(諱)  
-우정(佑精), 문하시중(門下侍中) 휘(諱) 유중(裕中)의 3대를 지나서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  +우정(佑精), 문하시중(門下侍中) 휘(諱) 유중(裕中)의 3대를 지나서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  
-시(諡) 충경(忠敬) 휘(諱) 용(𤨭)이라는 분이 바로 공의 증조이시다.\\+시(諡) 충경(忠敬) 휘(諱) 용(𤨭)이라는 분이 바로 공의 증조이시다.\\
  
 \_조의 휘는 태백(太白)이니 형조전서(刑曹典書)요 이조(李朝)에서 증(贈)  \_조의 휘는 태백(太白)이니 형조전서(刑曹典書)요 이조(李朝)에서 증(贈) 
 우의정(右議政)이요, 고의 휘는 우(祐)이니 병조전서(兵曹典書)요 이조에서 증(贈)  우의정(右議政)이요, 고의 휘는 우(祐)이니 병조전서(兵曹典書)요 이조에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이라. 비위(妣位)는 실전되었으며 처음에 좌상공(左相公)이 사현자(四賢子)를 두셨는데 좌의정(左議政)이라. 비위(妣位)는 실전되었으며 처음에 좌상공(左相公)이 사현자(四賢子)를 두셨는데
-장(長)은 휘(諱) 천록(天祿)이니 판도판서(版圖判書)요 이조에서 증(贈) 영의정(領議政)이요  +장(長)은 휘(諱) 천록(天祿)이니 판도판서(版圖判書)요 이조에서 증(贈) 영의정(領議政)이요  
-차(次)는 휘(諱) 천상(天祥)이니 문하시중(門下侍中)이요 3(三)는 휘(諱) 천복(天福)이니+차(次)는 휘(諱) 천상(天祥)이니 문하시중(門下侍中)이요 3(三)는 휘(諱) 천복(天福)이니
  
 밀직부사(密直副使)이요. 공이 그 4(四)자로 공민왕조(恭愍王朝)에 등과하였으나 려조에 밀직부사(密直副使)이요. 공이 그 4(四)자로 공민왕조(恭愍王朝)에 등과하였으나 려조에
줄 47: 줄 47: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의 큰 덕의 저명한 것으로 소덕을 가히 추측할만하다.\\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의 큰 덕의 저명한 것으로 소덕을 가히 추측할만하다.\\
  
-\_배(配)는 정부인(貞夫人) 연안이씨(延安李氏) 찬성사(贊成事) 식(湜)의 소녀(女)요 +\_배(配)는 정부인(貞夫人) 연안이씨(延安李氏) 찬성사(贊成事) 식(湜)의 (女)요 
 묘는 공의 분영(墳塋)과 같은 곳에 쌍분이다. 1(一)남을 두었으니 희량(希亮)이며  묘는 공의 분영(墳塋)과 같은 곳에 쌍분이다. 1(一)남을 두었으니 희량(希亮)이며 
 공조판서(工曹判書)요 2(二)녀는 한성부윤(漢城判尹) 조익(趙翊)에게 출가하였다. 판서(判書)의 자  공조판서(工曹判書)요 2(二)녀는 한성부윤(漢城判尹) 조익(趙翊)에게 출가하였다. 판서(判書)의 자 
c32-014.174930476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2:5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