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2-01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2-018 [2025/06/07 14:17] – ssio2 | c32-018 [2025/06/08 17:11] (현재) – ssio2 | ||
---|---|---|---|
줄 24: | 줄 24: | ||
\_삼가 살피건대 공의 휘는 한성(漢成)이요 초휘(初諱)는 한영(漢榮) 자는 | \_삼가 살피건대 공의 휘는 한성(漢成)이요 초휘(初諱)는 한영(漢榮) 자는 | ||
- | 치탁(致濯)이니 평해인(平海人)이라.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 휘(諱) 천계공(天繼公)의 | + | 치탁(致濯)이니 평해인(平海人)이라.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 휘(諱) 천계(天繼)공의 |
- | 세손이요 고조는 선교랑(宣敎郞) 휘(諱) 문수(文壽)요 증조는 진사(進士) | + | 8(八)세손이요 고조는 선교랑(宣敎郞) 휘(諱) 문수(文壽)요 증조는 진사(進士) |
장사랑(將仕郞) 휘(諱) 종사(從仕)이요 조는 생원(生員) 승의랑(承議郞) | 장사랑(將仕郞) 휘(諱) 종사(從仕)이요 조는 생원(生員) 승의랑(承議郞) | ||
휘(諱) 맹춘(孟春)이요 고는 통훈대부(通訓大夫) 휘(諱) 희손(熙孫)이요 | 휘(諱) 맹춘(孟春)이요 고는 통훈대부(通訓大夫) 휘(諱) 희손(熙孫)이요 | ||
줄 39: | 줄 39: | ||
여이니 공보다 5(五)년 후에 졸하고 묘는 공의 묘에 부봉(祔封)하였다. | 여이니 공보다 5(五)년 후에 졸하고 묘는 공의 묘에 부봉(祔封)하였다. | ||
1(一)남을 두었는데 세림(世淋)이니 진사(進士)이다. 문행이 저명하며 자(子)로 용서(龍瑞)를 생하니 | 1(一)남을 두었는데 세림(世淋)이니 진사(進士)이다. 문행이 저명하며 자(子)로 용서(龍瑞)를 생하니 | ||
- | 생원(生員)이요 생원이 | + | 생원(生員)이요 생원이 2(二)남을 두니 장은 유관(有觀)이요 차는 유직(有直)이라. |
이하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 이하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 ||
줄 47: | 줄 47: | ||
추상할 수 있도다. 이어서 명(銘)하노라.\\ | 추상할 수 있도다. 이어서 명(銘)하노라.\\ | ||
\\ | \\ | ||
- | 江山鍾毓(강산총육) 강산의 정기가 모여서 \\ | + | 江山鍾毓(강산종육) 강산의 정기가 모여서 \\ |
文武一庭(문무일정) 문무가 한 가정에 났도다.\\ | 文武一庭(문무일정) 문무가 한 가정에 났도다.\\ | ||
- | 世道榛棘(세도신극) 세태인심의 가시밭같이 험난하여\\ | + | 世道榛棘(세도신극) 세태인심의 가시밭 같이 험난하여\\ |
抱器潛靈(포기장령) 큰 포부를 품고도 영광(靈光)을 감추었네.\\ | 抱器潛靈(포기장령) 큰 포부를 품고도 영광(靈光)을 감추었네.\\ | ||
于堂于軒(우당우헌) 만휴당(晩休堂)과 취적헌(取適軒) 형제분\\ | 于堂于軒(우당우헌) 만휴당(晩休堂)과 취적헌(取適軒) 형제분\\ | ||
熒熒兩星(형형양성) 두 별이 크게 빛났으니.\\ | 熒熒兩星(형형양성) 두 별이 크게 빛났으니.\\ | ||
敦掩其光(수업기광) 누가 감히 빛을 가리우리 \\ | 敦掩其光(수업기광) 누가 감히 빛을 가리우리 \\ | ||
- | 有德必馨(유덕필향) 덕 있는 향기는 | + | 有德必馨(유덕필향) 덕 있는 향기는 |
高尚其事(고상기사) 고상한 그 유적이 \\ | 高尚其事(고상기사) 고상한 그 유적이 \\ | ||
- | 聳立亭亭(옹립정정) 높이높이 솟아있어.\\ | + | 聳立亭亭(용립정정) 높이높이 솟아있어.\\ |
- | 鬱攸何傷(을유하상) 문헌이 소실되었은들 어떠하리\\ | + | 鬱攸何傷(울유하상) 문헌이 소실되었은들 어떠하리\\ |
彤筆愈青(동필유청) 무공과 문학이 청사(靑史)에 빛났으니.\\ | 彤筆愈青(동필유청) 무공과 문학이 청사(靑史)에 빛났으니.\\ | ||
後人必式(후인필식) 후인에게 법식이 되어 \\ | 後人必式(후인필식) 후인에게 법식이 되어 \\ |
c32-018.174927344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14:1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