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2-026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2-026 [2025/06/07 16:45] – ssio2 | c32-026 [2025/06/08 17:30] (현재) – ssio2 | ||
---|---|---|---|
줄 7: | 줄 7: | ||
낙(洛)께서 평해(平海)에 거하심에 인하여 관(貫)으로 삼게 되었다. | 낙(洛)께서 평해(平海)에 거하심에 인하여 관(貫)으로 삼게 되었다. | ||
태자검교(太子檢校)의 휘는 온인(溫仁)이며, | 태자검교(太子檢校)의 휘는 온인(溫仁)이며, | ||
- | 휘 유중(裕中)은 시중(侍中), | + | 휘 유중(裕中)은 시중(侍中), |
증(贈) 우의정(右議政), | 증(贈) 우의정(右議政), | ||
호가 잠재(潛齋)며 자헌대부(資憲大夫)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지냈으며 7(七)세에 이른다.\\ | 호가 잠재(潛齋)며 자헌대부(資憲大夫)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지냈으며 7(七)세에 이른다.\\ | ||
줄 14: | 줄 14: | ||
귀성(貴成)과 의리가 매우 돈독하여 화목하고 즐겁게 지냈다. 휘 세림(世琳)은 | 귀성(貴成)과 의리가 매우 돈독하여 화목하고 즐겁게 지냈다. 휘 세림(世琳)은 | ||
진사(進士)며, | 진사(進士)며, | ||
- | 증 사복시정(司僕寺正), | + | 증 사복시정(司僕寺正), |
- | 호는 목소(鷺巢), 휘 구석(九錫)의 호는 학남(鶴南)이며 증 형조참판(刑曹參判), | + | 호는 목소(鶩巢), 휘 구석(九錫)의 호는 학남(鶴南)이며 증 형조참판(刑曹參判), |
휘 태진(泰鎭)의 호는 낙서(洛西), | 휘 태진(泰鎭)의 호는 낙서(洛西), | ||
고(考)의 휘는 종철(宗哲)이고 호는 서산재(西山齋)이며 참봉(參奉)이다.\\ | 고(考)의 휘는 종철(宗哲)이고 호는 서산재(西山齋)이며 참봉(參奉)이다.\\ | ||
줄 22: | 줄 22: | ||
21(二十一)일에 공을 목현(木峴)의 집에서 낳으니 타고난 자품(資稟)이 준수하였으며 | 21(二十一)일에 공을 목현(木峴)의 집에서 낳으니 타고난 자품(資稟)이 준수하였으며 | ||
기상(氣像)이 크고 어질었다. 자라서는 효우(孝友)가 갖추어졌으며 성실 근검하였고, | 기상(氣像)이 크고 어질었다. 자라서는 효우(孝友)가 갖추어졌으며 성실 근검하였고, | ||
- | 선조의 업적을 지켜 후손에게 전하는 하나의 규칙을 정하였으며 세상일에는 뜻을 두지 | + | 선조의 업적을 지켜 후손에게 전하는 하나의 규칙을 정하였으며 세상 일에는 뜻을 두지 |
않았다. 신사(1941(一九四一))년 정월 15(十五)일에 돌아가시니 수(壽) 87(八十七)이러라. | 않았다. 신사(1941(一九四一))년 정월 15(十五)일에 돌아가시니 수(壽) 87(八十七)이러라. | ||
목현(木峴) 후등산(後燈山) 자좌(子坐)의 둔덕에 장사지냈다.\\ | 목현(木峴) 후등산(後燈山) 자좌(子坐)의 둔덕에 장사지냈다.\\ | ||
- | \_4(四)남 2(二)녀를 두었으니 남은 병동(昞東)·병세(世)·병년(昞年)·병규(昞圭)며, | + | \_4(四)남 2(二)녀를 두었으니 남은 병동(昞東)·병세(昞世)·병년(昞年)·병규(昞圭)며, |
여는 강영지(姜永智)·김기동(金紀東)이다.\\ | 여는 강영지(姜永智)·김기동(金紀東)이다.\\ | ||
줄 39: | 줄 39: | ||
\_병규의 남은 영기(濘起)·명기(明起)·수기(守起)·온기(溫起)ㆍ성기(盛起)·부기(富起)·현기(顯起)·종기(鍾起)요, | \_병규의 남은 영기(濘起)·명기(明起)·수기(守起)·온기(溫起)ㆍ성기(盛起)·부기(富起)·현기(顯起)·종기(鍾起)요, | ||
- | 손은 석희(錫熙)·석주(錫柱)·계수(桂洙)·지수(智洙)·임수(林洙)·갑수(甲洙)·진수(鎮洙)·화수(華洙)·해수(海洙)·남수(南洙)·동수(東洙)·종수(鍾洙)·을수(乙洙)·용수(龍洙)·대수(大洙)·형수(亨洙)이다. 나머지는 기록하지 않는다.\\ | + | 손은 석희(錫熙)·석주(錫柱)·계수(桂洙)·지수(智洙)·임수(林洙)·갑수(甲洙)·진수(鎭洙)·화수(華洙)·해수(海洙)·남수(南洙)·동수(東洙)·종수(鍾洙)·을수(乙洙)·용수(龍洙)·대수(大洙)·형수(亨洙)이다. 나머지는 기록하지 않는다.\\ |
- | \_아! 공을 말하는 자들은 그 충후(忠厚)한 성품과 독실(篤實)한 뜻에 감탄하는 도다. | + | \_아! 공을 말하는 자들은 그 충후(忠厚)한 성품과 독실(篤實)한 뜻에 감탄하는도다. |
세상에 등용 될 만 하였으나 어찌 마땅하게 쓰이지 못하고 산수자연에서 늙었는가? | 세상에 등용 될 만 하였으나 어찌 마땅하게 쓰이지 못하고 산수자연에서 늙었는가? | ||
그러나 이는 다만 공을 사모함을 알고 공의 지켜온 바를 알지 못하겠다. | 그러나 이는 다만 공을 사모함을 알고 공의 지켜온 바를 알지 못하겠다. |
c32-026.174928232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16:4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