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29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2-029 [2025/06/07 23:01] ssio2c32-029 [2025/06/08 20:17] (현재) ssio2
줄 5: 줄 5:
 \_지금부터 3천(三千)여년전 중국 고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황제(黃帝) 후손 휘  \_지금부터 3천(三千)여년전 중국 고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황제(黃帝) 후손 휘 
 육종(陸終) 후세 삼형제 중 둘째 휘 낙(洛) 할아버지(동국(東國) 황씨(黃氏) 시조(始祖))께옵서 서기 28(二十八)년 육종(陸終) 후세 삼형제 중 둘째 휘 낙(洛) 할아버지(동국(東國) 황씨(黃氏) 시조(始祖))께옵서 서기 28(二十八)년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5(五)년 무자(戊子)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북록(越松北麓)에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5(五)년 무자(戊子)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越松) 북록(北麓)에  
-표착(漂着)하여 후세에 기성군(箕城君) 갑고(甲古)의 후손 선조 1(一)세  +표착(漂着)하여 후세에 기성군(箕城君) 갑고(甲古)의 후손선조 1(一)세  
-태자넘고(太子檢校) 금오공(金吾公) 휘 온인(溫仁) 4(四)세 충경공(忠敬公) 휘 용(𤨭), +태자넘고(太子檢校) 금오공(金吾公) 휘 온인(溫仁)4(四)세 충경공(忠敬公) 휘 용(𤨭), 
 7(七)세 휘 천계(天繼), 15(十五)세 휘 한성(漢成) 후예이신 평해황씨(平海黃氏) 28(二十八)세  7(七)세 휘 천계(天繼), 15(十五)세 휘 한성(漢成) 후예이신 평해황씨(平海黃氏) 28(二十八)세 
 휘 영구(英九) 증조할아버지는 휘 영구(英九) 증조할아버지는
줄 20: 줄 20:
 잊지 않고 지내온 사람들의 전함이 무척이나 많았습니다.\\ 잊지 않고 지내온 사람들의 전함이 무척이나 많았습니다.\\
  
-\_아주신씨(鵝州申氏) 증조할머니[부 통정(通政) 갑협(甲協), 조 가선(嘉善) 면승(冕昇), +\_아주신씨(鵝州申氏) 증조할머니<fs:0.8em>[부 통정(通政) 갑협(甲協), 조 가선(嘉善) 면승(冕昇), 
 증조 진사(進士) 태교(泰敎). 경오(庚午)생 기(忌) 2(二)월 16(十六)일. 묘(墓) 목현 웃고개  증조 진사(進士) 태교(泰敎). 경오(庚午)생 기(忌) 2(二)월 16(十六)일. 묘(墓) 목현 웃고개 
-해좌(亥坐)]와 결혼하시어 득남아(得男兒)가 늦어서 계자 휘 병성(昞星) 할아버지를 +해좌(亥坐)]</fs>와 결혼하시어 득남아(得男兒)가 늦어서 계자 휘 병성(昞星) 할아버지를 
 입양하고 세 여아(女兒)를 키우시니  입양하고 세 여아(女兒)를 키우시니 
-맏녀 우재봉(禹載鳳)[단양인(丹陽人), 부 대원(大源), 자 사준역동탁후(士俊易東車后)],  +맏녀 우재봉(禹載鳳)<fs:0.8em>[단양인(丹陽人), 부 대원(大源), 자 사준(士俊) 역동(易東) 탁(卓) 후손]</fs>,  
-이녀 조응용(趙應容)[한양인(漢陽人), 부 병근(秉根), 자 현기 양경공연후(顯基良敬公涓)],  +이녀 조응용(趙應容)<fs:0.8em>[한양인(漢陽人), 부 병근(秉根), 자 현기(顯基) 양경공(良敬公) 연(涓) 후손]</fs>,  
-삼녀 임맹원(林孟源)[예천인(醴泉人), 부 석태(錫泰), 자 상학(相鶴)]과 혼인 시켰으며 증조할머님이 먼저 세상을 떠나심에 밀 +삼녀 임맹원(林孟源)<fs:0.8em>[예천인(醴泉人), 부 석태(錫泰), 자 상학(相鶴)]</fs>과 혼인 시켰으며 증조할머님이 먼저 세상을 떠나심에 밀 
-양박씨(密陽朴氏)[부 통정(通政) 기환(基煥), 조 교리(校理) 맹득(孟得), 계사(癸巳)생, 기(忌) 12(十二)월 4(四)일. 묘(墓) 수동골 축좌(丑座)〕계(繼) 증조할머니를 맞아들여 자 병민(昞旼)(: 항명(行名) 응규(應圭))를 얻었습니다.+양박씨(密陽朴氏)<fs:0.8em>[부 통정(通政) 기환(基煥), 조 교리(校理) 맹득(孟得), 계사(癸巳)생, 기(忌) 12(十二)월 4(四)일. 묘(墓) 수동골 축좌(丑座)〕</fs> 계(繼) 증조할머니를 맞아들여 자 병민(昞旼)(: 항명(行名) 응규(應圭))를 얻었습니다.
 손(孫)에는 세기(世起), 응기(應起), 만기(萬起)를 얻으셨으며 증손 이후는 생략하겠습니다.\\ 손(孫)에는 세기(世起), 응기(應起), 만기(萬起)를 얻으셨으며 증손 이후는 생략하겠습니다.\\
  
줄 34: 줄 34:
 「부부자자(父父子子) 형형제제(兄兄弟弟) 부부부부(夫夫婦婦) 이가도정(而家道正), 「부부자자(父父子子) 형형제제(兄兄弟弟) 부부부부(夫夫婦婦) 이가도정(而家道正),
 정가이(正家而) 천하정의(天下定矣)」를 늘 강조하심과 현공산(玄空山) 약수 정자(亭子)에서 정가이(正家而) 천하정의(天下定矣)」를 늘 강조하심과 현공산(玄空山) 약수 정자(亭子)에서
-「대쵸블 블근 골에 밤은 어이 ㅂ듯드르며 벼 뵌 그루혜 게ㄴ.ㄴ 어이 ㄴ.리ㄴ.ㄴ는고 술 닉쟈+「대쵸불 불근 골에 밤은 어이 ㅂ듯드르며 벼 뵌 그루혜 게ㄴ.ㄴ 어이 ㄴ.리ㄴ.ㄴ는고 술 닉쟈
 체 쟝ㅅ. 도라가니 아니먹고 어이리」 고시조(古時調)를 음미(吟味)하시는 전원생활, 체 쟝ㅅ. 도라가니 아니먹고 어이리」 고시조(古時調)를 음미(吟味)하시는 전원생활,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 불감훼상효지시야(不敢毀傷孝之始也)」라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 불감훼상효지시야(不敢毀傷孝之始也)」라 
줄 41: 줄 41:
  
 \_이 조그마한 정성을 받아주시고 고이 명복(冥福)하소서.\\ \_이 조그마한 정성을 받아주시고 고이 명복(冥福)하소서.\\
-\_\_1999(一九九九)년 8(八)월 10(十)일+\_\_1999(一九九九)년 8(八)월 10(十)일\\
 \_\_증손 이학석사(理學碩士) 현수(鉉洙) 삼가 글을 지음. \_\_증손 이학석사(理學碩士) 현수(鉉洙) 삼가 글을 지음.
 </typo> </typo>
 </WRAP> </WRAP>
c32-029.174930486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3:0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