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3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2-032 [2025/06/07 22:54] ssio2c32-032 [2025/06/08 20:21] (현재) ssio2
줄 8: 줄 8:
  
 \_중세(中世)에 와서 휘 온인(溫仁)은 태자검교(太子檢校)요 휘 우정(佑精)은  \_중세(中世)에 와서 휘 온인(溫仁)은 태자검교(太子檢校)요 휘 우정(佑精)은 
-소윤(少尹)이요 휘 유중(裕中)은 시중(侍中)이며 휘 용()은 관(官) +소윤(少尹)이요 휘 유중(裕中)은 시중(侍中)이며 휘 용(𤨭)은 관(官)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이며 시호는 충경공(忠敬公)이시다.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이며 시호는 충경공(忠敬公)이시다. 
 공이 휘 태백(太白)을 생하니 증 우의정(右議政)이요 휘 우(祐)를 생하니 증 좌의정(左議政)이요  공이 휘 태백(太白)을 생하니 증 우의정(右議政)이요 휘 우(祐)를 생하니 증 좌의정(左議政)이요 
줄 21: 줄 21:
  
 \_증조의 휘는 화진(華鎭)으로 호 미려(美麗)인데 증 통정(通政)이다. 조의 휘 부원(富源)인데  \_증조의 휘는 화진(華鎭)으로 호 미려(美麗)인데 증 통정(通政)이다. 조의 휘 부원(富源)인데 
-통덕랑(通德郞)이며 호 주전(田)이다. 고의 휘 종호(宗浩)인데 호 소암(素菴)이요 +통덕랑(通德郞)이며 호 주전(田)이다. 고의 휘 종호(宗浩)인데 호 소암(素菴)이요 
 참봉(參奉)이다. 비위(妣位)는 경주김씨(慶州金氏)요 호용(皓庸)의 딸이다.\\ 참봉(參奉)이다. 비위(妣位)는 경주김씨(慶州金氏)요 호용(皓庸)의 딸이다.\\
  
줄 30: 줄 30:
 칭송이 자자하였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경계하는 선비라고 일컬었다. 공이 하세한지  칭송이 자자하였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경계하는 선비라고 일컬었다. 공이 하세한지 
 수십년에 이르렀는데 다만 옛노인들의 입으로 전하는 말을 믿고 또한 공께서 모년(暮年)에  수십년에 이르렀는데 다만 옛노인들의 입으로 전하는 말을 믿고 또한 공께서 모년(暮年)에 
-이르러서 그 문장이 아름답고 청하게 빛나고 화려하였음에도 실제로 +이르러서 그 문장이 아름답고 청하게 빛나고 화려하였음에도 실제로 
-옮기기가 요원하여서 상세히 기록지 못함을 개탄할뿐이로.\\+옮기기가 요원하여서 상세히 기록지 못함을 개탄할뿐이로.\\
  
 \_어떤 사람이 세상의 풍진을 싫어하여 현묘(玄妙)한 가운데 숨어서 살았단 말인가. \_어떤 사람이 세상의 풍진을 싫어하여 현묘(玄妙)한 가운데 숨어서 살았단 말인가.
-산하(山下)에서 살면서 에 가서 나무도 하고 물가에 가서 고기도 잡으며 세월의+산하(山下)에서 살면서 에 가서 나무도 하고 물가에 가서 고기도 잡으며 세월의
 도도(滔滔)함을 알지 못하였도다. 진실로 그 뜻이 컷으며 누구와 더불어서 알 수가 도도(滔滔)함을 알지 못하였도다. 진실로 그 뜻이 컷으며 누구와 더불어서 알 수가
 있었던가. 5(五)월 20(二十)일에 천수를 다하였으니 묘(墓)는 목현리 삼봉산(三峰山)  있었던가. 5(五)월 20(二十)일에 천수를 다하였으니 묘(墓)는 목현리 삼봉산(三峰山) 
줄 41: 줄 41:
 \_1(一)남 四녀를 두었으니 남은 병희(昞晞)요 여는 권오주(權五疇), 김사문(金四文),  \_1(一)남 四녀를 두었으니 남은 병희(昞晞)요 여는 권오주(權五疇), 김사문(金四文), 
 안이모(安利模), 남중한(南重漢)이다. 병희(昞晞)는 4(四)남 1(一)녀를 두었으니 남은  안이모(安利模), 남중한(南重漢)이다. 병희(昞晞)는 4(四)남 1(一)녀를 두었으니 남은 
-중기(仲起), 용기(用起), 흥기(興起), 변기(變起)요 여는 이좌문(李佐文)이다. 기(仲起)의 +중기(仲起), 용기(用起), 흥기(興起), 변기(變起)요 여는 이좌문(李佐文)이다. 기(仲起)의 
-남은 광수(光洙)이다. 이하는 후 자손들이 많고 번성하여서 모두 다 기록하지 못하는도다.\\+남은 광수(光洙)이다. 이하는 자손들이 많고 번성하여서 모두 다 기록하지 못하는도다.\\
  
 \_공의 품성(禀性)이 넓고 굳세며 활달하였고 재조와 덕망을 갖추었으며 항시 그 재덕을  \_공의 품성(禀性)이 넓고 굳세며 활달하였고 재조와 덕망을 갖추었으며 항시 그 재덕을 
c32-032.174930446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2:5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