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2-036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c32-036 [2025/06/08 08:29] – ssio2 | c32-036 [2025/06/08 20:31] (현재) – ssio2 | ||
---|---|---|---|
줄 4: | 줄 4: | ||
\_**지사(志士) 갈은(葛隱) 평해황공(平海黃公) 병윤(昞允) 지묘(之墓)**\\ | \_**지사(志士) 갈은(葛隱) 평해황공(平海黃公) 병윤(昞允) 지묘(之墓)**\\ | ||
\_여기 고상(古上) 능근곡(能根谷) 일우(一隅)에 지사(志士)가 잠드셨으니 곧 | \_여기 고상(古上) 능근곡(能根谷) 일우(一隅)에 지사(志士)가 잠드셨으니 곧 | ||
- | 평해인(平海人) 휘 병윤(昞允) 자 윤중(允中) 호 같은(葛隱)이다. 시조 휘 낙(洛) 중국(中國) | + | 평해인(平海人) 휘 병윤(昞允) 자 윤중(允中) 호 갈은(葛隱)이다. 시조 휘 낙(洛) 중국(中國) |
한조(漢朝) 학사공(學士公)이 평해(平海)에 표착(漂着)하였으며, | 한조(漢朝) 학사공(學士公)이 평해(平海)에 표착(漂着)하였으며, | ||
온인(溫仁) 고려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공이고, | 온인(溫仁) 고려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공이고, | ||
줄 11: | 줄 11: | ||
임진란시(壬辰亂時) 왜적(倭敵)을 대파(大破)한 선무공신(宣武功臣) 정략장군(定略將軍) | 임진란시(壬辰亂時) 왜적(倭敵)을 대파(大破)한 선무공신(宣武功臣) 정략장군(定略將軍) | ||
호 만휴당(晩休堂)이며, | 호 만휴당(晩休堂)이며, | ||
- | 사헌부집의공(司憲府執儀公)이고, 5(五)대조 휘 복하(復河) 증 통정승정원좌승지(通政承政院左承旨) | + | 사헌부집의(司憲府執儀)이고, |
- |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이며, | + |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이며, |
증조 휘 경주(景宙) 수승(壽陞) 통정(通政)공이고, | 증조 휘 경주(景宙) 수승(壽陞) 통정(通政)공이고, | ||
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정묵(正默) 여(女)이다.\\ | 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정묵(正默) 여(女)이다.\\ | ||
줄 18: | 줄 18: | ||
\_공은 광무(光武) 7(七)년 1903(一九〇三)년 계묘(癸卯) 5(五)월 25(二十五)일 백자봉(栢 | \_공은 광무(光武) 7(七)년 1903(一九〇三)년 계묘(癸卯) 5(五)월 25(二十五)일 백자봉(栢 | ||
子峯) 하흠실리(下欽室里) 제(第) 출신으로 성장시 부터 용모단정(容貌端正)하고 | 子峯) 하흠실리(下欽室里) 제(第) 출신으로 성장시 부터 용모단정(容貌端正)하고 | ||
- | 재기과인(才器過人)한데 일찍이 공주(公州) 이공(李公) 호익(浩翼) 문하생으로 경전차사(經傳子史)를 | + | 재기과인(才器過人)한데 일찍이 공주(公州) 이공(李公) 호익(浩翼) 문하생으로 경전자사(經傳子史)를 |
섭렵하고 향리 호남학원(湖南學院)에서 신문화(新文化)를 연학(硏學)하여 문사(文詞)에 | 섭렵하고 향리 호남학원(湖南學院)에서 신문화(新文化)를 연학(硏學)하여 문사(文詞)에 | ||
조예(造詣)가 깊고 서예(書藝)에 천명(擅名)하였다.\\ | 조예(造詣)가 깊고 서예(書藝)에 천명(擅名)하였다.\\ | ||
- | \_선세지훈(先世之訓)을 받아 봉선치효(奉先致孝)하고 | + | \_선세지훈(先世之訓)을 받아 봉선치효(奉先致孝)하고 |
한말(韓末) 국력이 약해지자 침략 일본은 을사조약(乙巳條約) 경술합방(庚戌合邦) | 한말(韓末) 국력이 약해지자 침략 일본은 을사조약(乙巳條約) 경술합방(庚戌合邦) | ||
등이 늑약(勒約)되어 아민족(我民族)은 왜적(倭賊)에게 유린(蹂躪)당하매 | 등이 늑약(勒約)되어 아민족(我民族)은 왜적(倭賊)에게 유린(蹂躪)당하매 | ||
줄 29: | 줄 29: | ||
김연한(金璉漢) 황세중(黃世中) 이회직(李會稙) 권병남(權丙南) 김명한(金命漢) | 김연한(金璉漢) 황세중(黃世中) 이회직(李會稙) 권병남(權丙南) 김명한(金命漢) | ||
황호중(黃浩中) 김조한(金朝漢) 김석동(金石東) 권오인(權五寅) 등 여러 인사와 더불어 | 황호중(黃浩中) 김조한(金朝漢) 김석동(金石東) 권오인(權五寅) 등 여러 인사와 더불어 | ||
- | 신간회안동지부(新幹會安東支部)를 결성하고 민족정기(民族正氣)를 고취(鼓吹)하다가 | + | 신간회(新幹會) |
1930(一九三〇)년 부터는 호남학우(湖南學友)들과 청년회(靑年會)를 조직하고 후진들에게 | 1930(一九三〇)년 부터는 호남학우(湖南學友)들과 청년회(靑年會)를 조직하고 후진들에게 | ||
민족문화(民族文化)와 자주독립정신(自主獨立精神)을 교도(敎導)하여 일경(日警)에게 무수한 | 민족문화(民族文化)와 자주독립정신(自主獨立精神)을 교도(敎導)하여 일경(日警)에게 무수한 | ||
줄 38: | 줄 38: | ||
여(女)는 윤합곤순지도(允合坤順之道)를 닦더니 1994(一九九四)년 음(陰) 2(二)월 24(二十四)일 | 여(女)는 윤합곤순지도(允合坤順之道)를 닦더니 1994(一九九四)년 음(陰) 2(二)월 24(二十四)일 | ||
영면(永眠)하니 묘(墓) 동원(同原) 쌍분(雙墳)이다. 정수(庭樹)는 2(二)남 1(一)녀인데 장남 | 영면(永眠)하니 묘(墓) 동원(同原) 쌍분(雙墳)이다. 정수(庭樹)는 2(二)남 1(一)녀인데 장남 | ||
- | 석기(錫起)는 재일교포권익보호지공(在日僑胞權益保護之功)으로 주일대사(駐日大使)와 | + | 석기(錫起)는 재일교포권익보호(在日僑胞權益保護)의 공(功)으로 주일대사(駐日大使)와 |
최규하(崔圭夏) 외무장관의 포상(褒賞)이 서수(敍受)되었고 차남 학기(鶴起)는 | 최규하(崔圭夏) 외무장관의 포상(褒賞)이 서수(敍受)되었고 차남 학기(鶴起)는 | ||
- | 위선사업(爲先事業)과 목족사교(睦族社交)에 돈독(敦篤)하여 정린지인(井勝之人)의 칭송(稱頌)이 | + | 위선사업(爲先事業)과 목족사교(睦族社交)에 돈독(敦篤)하여 정린지인(井隣之人)의 칭송(稱頌)이 |
- | 높으며 여는 달성서씨(達城徐氏) 진수(珍洙)이다. 석기(錫起)의 남은 현우(鉉旭)이고, | + | 높으며 여는 달성서씨(達城徐氏) 진수(珍洙)이다. 석기(錫起)의 남은 현욱(鉉旭)이고, |
현욱(鉉旭)의 남은 상경(相慶)이며 학기(鶴起)의 남은 현찬(鉉贊) 현익(鉉翼) | 현욱(鉉旭)의 남은 상경(相慶)이며 학기(鶴起)의 남은 현찬(鉉贊) 현익(鉉翼) | ||
현재(鉉載) 현부(鉉扶) 현우(鉉佑)이고 이하 다 기록하지 못한다.\\ | 현재(鉉載) 현부(鉉扶) 현우(鉉佑)이고 이하 다 기록하지 못한다.\\ |
c32-036.174933899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8 08:2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