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9-00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9-003 [2025/05/17 10:11] ssio2c9-003 [2025/05/21 19:36] (현재) ssio2
줄 1: 줄 1:
 ===단양 군수(丹陽郡守) 황준량(黃俊良)이 상소를 올려 민폐 10조를 진달하기를,=== ===단양 군수(丹陽郡守) 황준량(黃俊良)이 상소를 올려 민폐 10조를 진달하기를,===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22권, 명종 12년 5월 7일 기미 2번째기사**\\+<WRAP 33em centeralign>**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22권, 명종 12년 5월 7일 기미 2번째기사**\\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WRAP 33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typo ff:'한양해서'>
-○丹陽郡守黃俊良, 上疏陳民弊十條曰:+○丹陽郡守黃俊良, 上疏陳民弊十條曰:\\
  
 伏以天下之事, 因其未弊而補之, 則庸夫易爲力, 至於已弊而起之, 則智者難爲功。 蓋席阜成之勢, 而修頹墮之政, 只煩守令之力, 而不過一規畫之間, 若其擁虛棄之器, 而收散亡之勢, 則非專守土之責, 而必待於恩典之懷綏也。 然則起弊之難, 非補弊之易, 而其措處方略, 決非守宰之所顓, 迂拙之所堪也審矣。 臣章句之腐儒, 經世無才, 濫叨郡寄, 責重蘇殘, 豈不欲殫精竭慮, 少副分憂之重乎? 顧以地連臣居, 曾熟其弊, 今此上任, 目擊懷慘。 欲投期應務, 則民散久矣; 欲安坐謝事, 則百役所萃。 可否狐疑, 進退狼狽。 向非聖上之靈, 明見千里之外, 則守株愚臣, 安敢措一手於其間乎? 臣謹按, 丹陽爲郡, 本原州之一小縣也。 殲賊有功, 特陞今號, 三面阻嶺, 一帶長江, 荒茅亂石之間, 名爲村店者, 皆剝樹代瓦, 編茨爲壁, 而田本嶢确, 水旱所先, 人皆漂寓, 一無恒産, 年登而半菽不厭, 遇歉則拾橡爲命。 《輿地》所謂土瘠水寒, 五穀不登者, 其風土然也。 今則凋弊已極, 生事日窄, 而供役疲氓, 戶不盈四十, 山野耕籍, 結不滿三百, 倉穀四千, 皆雜稊稗, 而逋負居半, 責償無憑。 催科索賦, 或重於大府, 誅求征稅, 倍蓰於他氓, 一家而支百戶之役, 單丁而當百夫之任, 貧者已困, 困者已病, 携持婦子, 散之四方。 噫! 巢南有禽, 首丘有獸, 懷土重遷, 最靈爲甚, 而蕩棄田里, 不知悔還者, 獨非人情乎? 剝膚推髓, 刑慘鞭撻, 少無片時之寧居, 卒致一邑之爲墟, 曾謂聖明之下, 民困虐政, 若是其甚乎? 然致此板蕩者, 得逭烹阿之誅, 則懲惡之典, 不已踈乎? 徒善, 不足以爲政; 仁心, 不能以自行。 必有非常之典, 可振垂絶之勢。 臣妄效一得, 濫陳三策, 伏惟聖覽焉。 夫十室之邑, 一敗塗地, 無一不弊, 而無一可爲, 據今之勢, 責古之貢, 雖有龔、召, 斷知其無能爲也。 今若除賦復役, 一掃名目, 期以十年, 樂生興事, 而俾之優游於耕鑿之安, 浸漬乎仁義之澤, 則遠邇流氓, 皆願受廛, 桑麻百里, 變爲樂土, 而根本成矣。 此策之上也。 議者以遠期十年爲迂, 此非知本者也。 古人休養生息之方, 必遲以十年之久, 若越 句踐之生聚, 諸葛亮之紏合可也。 臣謂得復十歲, 則可保百年, 止三五年, 則旋救旋弊, 而非經遠之得計也。 若謂任土之貢, 不可盡去, 調度之廣, 未寬十年, 則亦當革郡汰守, 降爲附縣, 使未散餘氓, 得齒於大邑之間, 而姑免乎慘毒之害, 抑其次也。 若謂弊邑, 無罪廢置, 亦大於斯, 二者不得其一, 則當出於下策乎! 然此則僅撮病民之大者, 而未袪一半之弊, 是乃救目前姑息之急, 而非起廢持久之政也。 其目有十。 其一曰, 材木之弊。 小大之材, 所納異司, 材椽至於四百, 散木幾於數萬, 已不勝其多矣。 以四十之戶, 而運巨萬之木, 越險跨壑, 塡阬墜谷, 男女力竭, 牛馬隨斃, 而闔境之家, 無數十之畜, 則生民之困極矣。 況塞江流筏, 不能徒納, 而三司之賈, 幾至百匹, 則二年未貢, 長被督責, 亦無足怪矣。 天使之供, 雖非恒貢, 而結棚大木, 凡干雜物, 支待之除, 宜在所先也。 伏願久蠲三司之貢, 幷除數年之賦, 勿定華使之費, 兼去雜物之弊, 則民生或於是而少蘇矣。 其二曰, 紙貢之弊。 造紙之難, 倍於他役, 貢紙之數, 獨優於此, 編戶之民, 病於難支久矣。 如豐儲、長興之納, 則皆用啓目, 責以會稽之品, 若禮曹、校書館、觀象監, 皆有所貢, 倂爲二百餘卷, 而公私俱竭, 取辦無地, 官益困矣。 一國之貢, 所乏者非紙也, 數百之紙, 宜何所惜也? 伏願久蠲其貢, 而竝除四年之賦, 則民生或於是而少蘇矣。 其三曰, 山行之弊。 封進之數, 曾有定式, 捕獵之夫, 各有其人, 今則(戈)〔弋〕 獵飛走, 專倚乎民。 負網操弧, 馳騖林莽, 而卽鹿無虞, 不獲一禽, 則傾甁石之儲, 而收數倍之價, 猶未免後時之罪, 而復有贖布之罰, 一方民生, 久已死矣。 謹按一年之貢, 獐用七十, 雉過二百。 伏願量減獐雉之數, 使遂樂利之安,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四曰, 冶匠之弊。 丙午年中, 初定二名, 皆以丐乞之徒, 苟充其額, 而不省厥終之弊, 額存人亡, 幷責民間, 而六朔之番, 二名之價, 已闕數年, 則貸息之在, 至於八十, 而坐受侵索。 其剜肉剝血之慘, 有不忍者矣。 伏願永除冶匠之弊, 幷除二年之闕,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五曰, 樂工之弊。 充選外官者, 未必習藝, 而驅使六朔, 苦於他役。 殘郡之貢, 至於四名, 則亦已濫矣。 今則奴婢之死徙略盡, 而樂工之枝梧尤難。 不能存活, 相繼而亡, 則微債之數, 均於冶匠, 而奴婢之生, 益蹙矣。 伏願姑減逋役之工, 而永除移定之數,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六曰, 步兵之弊。 弊郡之兵, 至於二十六名, 則亦非多也, 今則僅存十三, 而單無保率。 其十三則無一可代, 只掛空籍。 脫有警急之虞, 猝被整旅之擧, 則誰赴轅門之蛇鳥, 誰守竹嶺之關防乎? 況步兵之役, 例有價布, 而時存十三, 皆藉隣族之力, 其餘百餘之布, 無從准納, 而散定民間, 一經兵價, 闔境蕩悉, 家餘鼎鐺者, 亦無幾矣。 伏願量減虛額之兵, 或開移定之路, 使垂首喪氣之民, 得免律外橫布之征, 則亦蘇復之一條也。 其七曰, 其人之弊。 有吏五十, 乃定一名, 國之法也, 而郡則老羸之吏, 不滿二十, 其人之數一名有半, 則以十餘之吏, 供八十之役, 而代布之數, 過於百匹, 則貿貿殘吏, 無尺布之儲者, 將倚辦於何地耶? 傾貲不盈, 侵及隣族, 而吏胥居民, 俱以困矣。 全廢二年之貢, 而坐受代立之侵, 移文刑部, 每推官吏, 而害滋甚矣。 伏願量減一半, 少紓其急, 則亦蘇復之一事也。 其八曰, 皮物之弊。 兵營方物, 有小鹿、獐皮之納, 而竝定惟新, 又有大鹿、黃牛之價, 托名上供, 十分其選, 而小鹿則以鹿之中者, 獐皮則以鹿之小者。 他道皆然, 已爲弊習, 而雜色十餘, 皆定民間, 正木之出, 至於百餘, 而點退留難之費, 不與焉, 斯亦弊之巨者也。 且惟新一邑之大, 不必待弊邑之助, 則牛鹿之價四十之布, 專定於惟新, 勿責於敝邑, 諒亦扶弱之政也。 伏願量減兵營之皮物, 永除幷定之牛鹿, 使免皮盡毛無之弊, 則亦蘇復之一策也。 其九曰, "移定之弊。 本郡之貢, 尙不能堪, 他邑之賦, 又以移加, 如公州之寺奴婢也、海美之木炭也、延豐之材椽也、永春之蜂板也、黃澗之其人, 五也。 當初移定, 亦爲救弊之謀也, 今則三百之邑, 無此之弊, 遑恤我後乎? 奴婢之額, 雖載空簿, 而時役之數, 不能半百, 則名爲數外, 而奪此與彼者, 其亦未之思乎! 地當三道之衝, 官無百戶之聚, 使賓之(交)〔旁〕 午, 倭夷之織路, 供饋之需, 皆倚此輩, 卜物塡委, 皆令負戴, 而又失數十, 尙未還役, 再報該曹, 依例防啓, (止)〔此〕 猶奪原憲之(資)〔貧〕 , 而增季氏之富, 何其忍也? 以公州人民之夥, 豈須取是郡而足哉? 伏願奴婢之移公州者, 旋給本郡, 諸貢之移他官者, 卽還舊處, 則亦蘇復之一政也。 其十曰, 藥材之弊。 蠢蠢村氓, 不辨藥名, 而俾出童羖, 抱布以貿, 則哀我惸獨, 非所任矣。 其最難者, 熊膽、麝香也, 白芨、人蔘也, 茯苓、地黃也。 百匹之布, 未盡其材, 一草之貢, 皆有人情, 則力有所未及, 固也。 且幷定牛黃, 亦出民間, 則專委堤川, 惠此下民, 何不可之有? 伏願勿有棄捐之地, 特減難備之材, 使蒙一分之惠, 共躋仁壽之域, 則勿藥有喜, 召和穹壤, 而蘇復之一端也。 凡此十弊, 特其爲害之甚者, 而計以元數, 則僅十分之二也。 欲圖懷來之策, 宜蠲凡百之役, 而於十之二者, 一有阻難, 不能盡革, 則欲蘇之計, 亦已左矣。 取之未必利國, 而損之足以裕民者, 人主之所欲爲也, 則顧何有於十弊哉? 若夫淸蜜之貢, 過於二石, 而民小地荒, 未盈於厥數, 訥魚之醢, 過於百尾, 而水淸無大, 轉貿於遠地, 則亦云弊矣。 諸員一名, 業去已久, 而役債之苦, 無異於冶匠, 歲貢一人, 定以傭食, 而亡役之弊, 有同於樂工。 其餘二十各司, 皆有所貢, 朔膳、月令, 各有都會, 大小之弊, 無處無之, 然不敢毛擧, 以溷聖聰。 唯冀採擇而取舍之耳。 嗚呼! 嶺底黑痣之區, 氣息已奄, 一役一賦, 尙恐難備, 而里布、地征, 督出無窮, 苛令煩條, 侵索未已。 躱役之族, 荒田之隣, 分債出稅, 必取盈焉, 則十畝之耕, 何望其實腹而裹身乎? 是猶養魚於沸鼎, 栖鳥於焚林, 雖慈父而不能保子, 君安得而有其民乎? 廢棄已久, 而今始知之, 則其間愁痛之怨, 仁人之所宜想念而惻然者也。 臣之欲全復十年, 而永付相忘之域者, 此也; 欲降爲部曲, 而得庇巨邑之蔭者, 此也; 不得於二, 則又蠲所陳之弊, 而姑爲苟安之計者, 此也。 伏願斷自聖衷, 謀及大臣, 克盡安全之方, 得遂蘇息之望, 而又降旨于監司、兵使, 減去稽負之物, 兩盡調護之策, 尤勝萬幸。 若謂地賤言輕, 不可一聽從, 而例減不緊之物, 將復如前年之爲, 則雖有蠲除之名, 而實無蘇復之路。 朝廷洞知其實, 而敝邑猶不蒙恤, 則是亦天之所廢, 非守宰之罪也。 嗚呼! 匹夫匹婦, 不獲自盡, 民主罔與成厥功, 則一郡如此, 一國可知。 今之靡室流氓叫怨於窮谷之中者, 不知其幾何人也。 衆怨入骨, 鬱未上通, 游衍天監, 必有任其咎者矣。 方今國家之勢, 皆有土崩之形, 而毁自此始。 蟻穴之不救, 安知稽天之未防? 嗚呼! 茅茨卑宮之日, 安有材木之害; 土簋黎羹之時, 寧有獵獸之苦? 后夔典樂, 而神人以和, 則樂工有何勞也; 公倕若工, 而執藝以諫, 則冶匠無所事也。 殺靑事簡, 未有紙楮之弊; 敷文格頑, 何事兵革之多? 百草之嘗, 肇於岐伯, 而敎人伊始, 必無採貢之苦; 九州之大, 梁惟織皮, 則制貢已簡, 何有貿皮之怨? 斧斤時入, 而材不勝用, 則吏何虞於炭木; 出作入息, 而徒不出鄕, 則民何慮乎流亡? 此熙皞之治, 說以使民, 利之不庸, 而莫知其爲者也。 世道之變一降, 生民之害益甚, 色目如蝟, 莫知適從, 政令如虎, 不能堪命。 中澤之鴻雁哀鳴, 大東之杼軸其空, 谷䕌之賦, 萇楚之嘆, 已盈於田里, 而天災物怪, 疊出層現, 政散民流, 將無以爲國, 則爲人上者, 可不知其弊之所自乎? 其將拱手蔽目, 而莫爲之計乎? 由今之道, 無變今之俗, 雖聖君、良相, 亦將如之何哉? 身際唐、吳〔虞〕之朝, 目見叔季之政, 此臣所以仰天隕心, 歔欷而痛哭者也。 伏願殿下, 視一方而推諸路, 擧一物而通萬類, 愼爲君之不易, 念保民之惟艱, 施仁政以恤民隱, 薄賦歛以厚民生, 革侈汰以節民貨, 省(與)〔興〕 作以安民居, 量蠲乎租賦之重, 已責於逋負之氓, 痛掃蠧正賊民之敎, 盡講興利除害之策, 使國步安而無瓦解之患, 邦本固而有盤石之泰, 則豈徒一邑一國之慶? 實萬世宗主無疆之休也。 臣至愚極陋, 冒陳狂瞽, 罪當萬死, 然愛君憂國之誠, 不以踈遠而有間, 陳一郡之弊, 望三隅之反。 惟殿下, 憐其愚戇而恕其僭濫。 臣不勝隕越之至, 謹奉疏以聞。 伏以天下之事, 因其未弊而補之, 則庸夫易爲力, 至於已弊而起之, 則智者難爲功。 蓋席阜成之勢, 而修頹墮之政, 只煩守令之力, 而不過一規畫之間, 若其擁虛棄之器, 而收散亡之勢, 則非專守土之責, 而必待於恩典之懷綏也。 然則起弊之難, 非補弊之易, 而其措處方略, 決非守宰之所顓, 迂拙之所堪也審矣。 臣章句之腐儒, 經世無才, 濫叨郡寄, 責重蘇殘, 豈不欲殫精竭慮, 少副分憂之重乎? 顧以地連臣居, 曾熟其弊, 今此上任, 目擊懷慘。 欲投期應務, 則民散久矣; 欲安坐謝事, 則百役所萃。 可否狐疑, 進退狼狽。 向非聖上之靈, 明見千里之外, 則守株愚臣, 安敢措一手於其間乎? 臣謹按, 丹陽爲郡, 本原州之一小縣也。 殲賊有功, 特陞今號, 三面阻嶺, 一帶長江, 荒茅亂石之間, 名爲村店者, 皆剝樹代瓦, 編茨爲壁, 而田本嶢确, 水旱所先, 人皆漂寓, 一無恒産, 年登而半菽不厭, 遇歉則拾橡爲命。 《輿地》所謂土瘠水寒, 五穀不登者, 其風土然也。 今則凋弊已極, 生事日窄, 而供役疲氓, 戶不盈四十, 山野耕籍, 結不滿三百, 倉穀四千, 皆雜稊稗, 而逋負居半, 責償無憑。 催科索賦, 或重於大府, 誅求征稅, 倍蓰於他氓, 一家而支百戶之役, 單丁而當百夫之任, 貧者已困, 困者已病, 携持婦子, 散之四方。 噫! 巢南有禽, 首丘有獸, 懷土重遷, 最靈爲甚, 而蕩棄田里, 不知悔還者, 獨非人情乎? 剝膚推髓, 刑慘鞭撻, 少無片時之寧居, 卒致一邑之爲墟, 曾謂聖明之下, 民困虐政, 若是其甚乎? 然致此板蕩者, 得逭烹阿之誅, 則懲惡之典, 不已踈乎? 徒善, 不足以爲政; 仁心, 不能以自行。 必有非常之典, 可振垂絶之勢。 臣妄效一得, 濫陳三策, 伏惟聖覽焉。 夫十室之邑, 一敗塗地, 無一不弊, 而無一可爲, 據今之勢, 責古之貢, 雖有龔、召, 斷知其無能爲也。 今若除賦復役, 一掃名目, 期以十年, 樂生興事, 而俾之優游於耕鑿之安, 浸漬乎仁義之澤, 則遠邇流氓, 皆願受廛, 桑麻百里, 變爲樂土, 而根本成矣。 此策之上也。 議者以遠期十年爲迂, 此非知本者也。 古人休養生息之方, 必遲以十年之久, 若越 句踐之生聚, 諸葛亮之紏合可也。 臣謂得復十歲, 則可保百年, 止三五年, 則旋救旋弊, 而非經遠之得計也。 若謂任土之貢, 不可盡去, 調度之廣, 未寬十年, 則亦當革郡汰守, 降爲附縣, 使未散餘氓, 得齒於大邑之間, 而姑免乎慘毒之害, 抑其次也。 若謂弊邑, 無罪廢置, 亦大於斯, 二者不得其一, 則當出於下策乎! 然此則僅撮病民之大者, 而未袪一半之弊, 是乃救目前姑息之急, 而非起廢持久之政也。 其目有十。 其一曰, 材木之弊。 小大之材, 所納異司, 材椽至於四百, 散木幾於數萬, 已不勝其多矣。 以四十之戶, 而運巨萬之木, 越險跨壑, 塡阬墜谷, 男女力竭, 牛馬隨斃, 而闔境之家, 無數十之畜, 則生民之困極矣。 況塞江流筏, 不能徒納, 而三司之賈, 幾至百匹, 則二年未貢, 長被督責, 亦無足怪矣。 天使之供, 雖非恒貢, 而結棚大木, 凡干雜物, 支待之除, 宜在所先也。 伏願久蠲三司之貢, 幷除數年之賦, 勿定華使之費, 兼去雜物之弊, 則民生或於是而少蘇矣。 其二曰, 紙貢之弊。 造紙之難, 倍於他役, 貢紙之數, 獨優於此, 編戶之民, 病於難支久矣。 如豐儲、長興之納, 則皆用啓目, 責以會稽之品, 若禮曹、校書館、觀象監, 皆有所貢, 倂爲二百餘卷, 而公私俱竭, 取辦無地, 官益困矣。 一國之貢, 所乏者非紙也, 數百之紙, 宜何所惜也? 伏願久蠲其貢, 而竝除四年之賦, 則民生或於是而少蘇矣。 其三曰, 山行之弊。 封進之數, 曾有定式, 捕獵之夫, 各有其人, 今則(戈)〔弋〕 獵飛走, 專倚乎民。 負網操弧, 馳騖林莽, 而卽鹿無虞, 不獲一禽, 則傾甁石之儲, 而收數倍之價, 猶未免後時之罪, 而復有贖布之罰, 一方民生, 久已死矣。 謹按一年之貢, 獐用七十, 雉過二百。 伏願量減獐雉之數, 使遂樂利之安,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四曰, 冶匠之弊。 丙午年中, 初定二名, 皆以丐乞之徒, 苟充其額, 而不省厥終之弊, 額存人亡, 幷責民間, 而六朔之番, 二名之價, 已闕數年, 則貸息之在, 至於八十, 而坐受侵索。 其剜肉剝血之慘, 有不忍者矣。 伏願永除冶匠之弊, 幷除二年之闕,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五曰, 樂工之弊。 充選外官者, 未必習藝, 而驅使六朔, 苦於他役。 殘郡之貢, 至於四名, 則亦已濫矣。 今則奴婢之死徙略盡, 而樂工之枝梧尤難。 不能存活, 相繼而亡, 則微債之數, 均於冶匠, 而奴婢之生, 益蹙矣。 伏願姑減逋役之工, 而永除移定之數, 則餘氓或於是而少蘇矣。 其六曰, 步兵之弊。 弊郡之兵, 至於二十六名, 則亦非多也, 今則僅存十三, 而單無保率。 其十三則無一可代, 只掛空籍。 脫有警急之虞, 猝被整旅之擧, 則誰赴轅門之蛇鳥, 誰守竹嶺之關防乎? 況步兵之役, 例有價布, 而時存十三, 皆藉隣族之力, 其餘百餘之布, 無從准納, 而散定民間, 一經兵價, 闔境蕩悉, 家餘鼎鐺者, 亦無幾矣。 伏願量減虛額之兵, 或開移定之路, 使垂首喪氣之民, 得免律外橫布之征, 則亦蘇復之一條也。 其七曰, 其人之弊。 有吏五十, 乃定一名, 國之法也, 而郡則老羸之吏, 不滿二十, 其人之數一名有半, 則以十餘之吏, 供八十之役, 而代布之數, 過於百匹, 則貿貿殘吏, 無尺布之儲者, 將倚辦於何地耶? 傾貲不盈, 侵及隣族, 而吏胥居民, 俱以困矣。 全廢二年之貢, 而坐受代立之侵, 移文刑部, 每推官吏, 而害滋甚矣。 伏願量減一半, 少紓其急, 則亦蘇復之一事也。 其八曰, 皮物之弊。 兵營方物, 有小鹿、獐皮之納, 而竝定惟新, 又有大鹿、黃牛之價, 托名上供, 十分其選, 而小鹿則以鹿之中者, 獐皮則以鹿之小者。 他道皆然, 已爲弊習, 而雜色十餘, 皆定民間, 正木之出, 至於百餘, 而點退留難之費, 不與焉, 斯亦弊之巨者也。 且惟新一邑之大, 不必待弊邑之助, 則牛鹿之價四十之布, 專定於惟新, 勿責於敝邑, 諒亦扶弱之政也。 伏願量減兵營之皮物, 永除幷定之牛鹿, 使免皮盡毛無之弊, 則亦蘇復之一策也。 其九曰, "移定之弊。 本郡之貢, 尙不能堪, 他邑之賦, 又以移加, 如公州之寺奴婢也、海美之木炭也、延豐之材椽也、永春之蜂板也、黃澗之其人, 五也。 當初移定, 亦爲救弊之謀也, 今則三百之邑, 無此之弊, 遑恤我後乎? 奴婢之額, 雖載空簿, 而時役之數, 不能半百, 則名爲數外, 而奪此與彼者, 其亦未之思乎! 地當三道之衝, 官無百戶之聚, 使賓之(交)〔旁〕 午, 倭夷之織路, 供饋之需, 皆倚此輩, 卜物塡委, 皆令負戴, 而又失數十, 尙未還役, 再報該曹, 依例防啓, (止)〔此〕 猶奪原憲之(資)〔貧〕 , 而增季氏之富, 何其忍也? 以公州人民之夥, 豈須取是郡而足哉? 伏願奴婢之移公州者, 旋給本郡, 諸貢之移他官者, 卽還舊處, 則亦蘇復之一政也。 其十曰, 藥材之弊。 蠢蠢村氓, 不辨藥名, 而俾出童羖, 抱布以貿, 則哀我惸獨, 非所任矣。 其最難者, 熊膽、麝香也, 白芨、人蔘也, 茯苓、地黃也。 百匹之布, 未盡其材, 一草之貢, 皆有人情, 則力有所未及, 固也。 且幷定牛黃, 亦出民間, 則專委堤川, 惠此下民, 何不可之有? 伏願勿有棄捐之地, 特減難備之材, 使蒙一分之惠, 共躋仁壽之域, 則勿藥有喜, 召和穹壤, 而蘇復之一端也。 凡此十弊, 特其爲害之甚者, 而計以元數, 則僅十分之二也。 欲圖懷來之策, 宜蠲凡百之役, 而於十之二者, 一有阻難, 不能盡革, 則欲蘇之計, 亦已左矣。 取之未必利國, 而損之足以裕民者, 人主之所欲爲也, 則顧何有於十弊哉? 若夫淸蜜之貢, 過於二石, 而民小地荒, 未盈於厥數, 訥魚之醢, 過於百尾, 而水淸無大, 轉貿於遠地, 則亦云弊矣。 諸員一名, 業去已久, 而役債之苦, 無異於冶匠, 歲貢一人, 定以傭食, 而亡役之弊, 有同於樂工。 其餘二十各司, 皆有所貢, 朔膳、月令, 各有都會, 大小之弊, 無處無之, 然不敢毛擧, 以溷聖聰。 唯冀採擇而取舍之耳。 嗚呼! 嶺底黑痣之區, 氣息已奄, 一役一賦, 尙恐難備, 而里布、地征, 督出無窮, 苛令煩條, 侵索未已。 躱役之族, 荒田之隣, 分債出稅, 必取盈焉, 則十畝之耕, 何望其實腹而裹身乎? 是猶養魚於沸鼎, 栖鳥於焚林, 雖慈父而不能保子, 君安得而有其民乎? 廢棄已久, 而今始知之, 則其間愁痛之怨, 仁人之所宜想念而惻然者也。 臣之欲全復十年, 而永付相忘之域者, 此也; 欲降爲部曲, 而得庇巨邑之蔭者, 此也; 不得於二, 則又蠲所陳之弊, 而姑爲苟安之計者, 此也。 伏願斷自聖衷, 謀及大臣, 克盡安全之方, 得遂蘇息之望, 而又降旨于監司、兵使, 減去稽負之物, 兩盡調護之策, 尤勝萬幸。 若謂地賤言輕, 不可一聽從, 而例減不緊之物, 將復如前年之爲, 則雖有蠲除之名, 而實無蘇復之路。 朝廷洞知其實, 而敝邑猶不蒙恤, 則是亦天之所廢, 非守宰之罪也。 嗚呼! 匹夫匹婦, 不獲自盡, 民主罔與成厥功, 則一郡如此, 一國可知。 今之靡室流氓叫怨於窮谷之中者, 不知其幾何人也。 衆怨入骨, 鬱未上通, 游衍天監, 必有任其咎者矣。 方今國家之勢, 皆有土崩之形, 而毁自此始。 蟻穴之不救, 安知稽天之未防? 嗚呼! 茅茨卑宮之日, 安有材木之害; 土簋黎羹之時, 寧有獵獸之苦? 后夔典樂, 而神人以和, 則樂工有何勞也; 公倕若工, 而執藝以諫, 則冶匠無所事也。 殺靑事簡, 未有紙楮之弊; 敷文格頑, 何事兵革之多? 百草之嘗, 肇於岐伯, 而敎人伊始, 必無採貢之苦; 九州之大, 梁惟織皮, 則制貢已簡, 何有貿皮之怨? 斧斤時入, 而材不勝用, 則吏何虞於炭木; 出作入息, 而徒不出鄕, 則民何慮乎流亡? 此熙皞之治, 說以使民, 利之不庸, 而莫知其爲者也。 世道之變一降, 生民之害益甚, 色目如蝟, 莫知適從, 政令如虎, 不能堪命。 中澤之鴻雁哀鳴, 大東之杼軸其空, 谷䕌之賦, 萇楚之嘆, 已盈於田里, 而天災物怪, 疊出層現, 政散民流, 將無以爲國, 則爲人上者, 可不知其弊之所自乎? 其將拱手蔽目, 而莫爲之計乎? 由今之道, 無變今之俗, 雖聖君、良相, 亦將如之何哉? 身際唐、吳〔虞〕之朝, 目見叔季之政, 此臣所以仰天隕心, 歔欷而痛哭者也。 伏願殿下, 視一方而推諸路, 擧一物而通萬類, 愼爲君之不易, 念保民之惟艱, 施仁政以恤民隱, 薄賦歛以厚民生, 革侈汰以節民貨, 省(與)〔興〕 作以安民居, 量蠲乎租賦之重, 已責於逋負之氓, 痛掃蠧正賊民之敎, 盡講興利除害之策, 使國步安而無瓦解之患, 邦本固而有盤石之泰, 則豈徒一邑一國之慶? 實萬世宗主無疆之休也。 臣至愚極陋, 冒陳狂瞽, 罪當萬死, 然愛君憂國之誠, 不以踈遠而有間, 陳一郡之弊, 望三隅之反。 惟殿下, 憐其愚戇而恕其僭濫。 臣不勝隕越之至, 謹奉疏以聞。
줄 11: 줄 11:
 </typo> </typo>
 </hidden> </hidden>
 +\\
 단양 군수(丹陽郡守) 황준량(黃俊良)이 상소를 올려 민폐 10조를 진달하기를, 단양 군수(丹陽郡守) 황준량(黃俊良)이 상소를 올려 민폐 10조를 진달하기를,
  
줄 70: 줄 70:
 그리고 청밀(淸蜜)의 공납이 2석(石)이 넘는데, 백성은 적고 땅은 거칠어 그 숫자를 채울 수가 없습니다. 젓갈용으로 쓸 눌어(訥魚)의 배당도 1백 마리가 넘는데 물이 맑아서 큰 것이 없으므로 먼 지역에 가서 사가지고 오니 또한 폐단이라 하겠습니다. 제원(諸員) 1명이 이에 종사한 지가 이미 오래인데, 역사와 독책의 괴로움이 야장(冶匠)의 폐단과 다를 것이 없고 세공(歲貢)을 위해 한 사람을 배정하여 그것으로 먹고 살게 했으나 역사를 도망하는 폐단이 악공(樂工)과 같습니다. 그 나머지 20개의 각사(各司)에도 모두 공물이 있고 삭선(朔膳)·월령(月令)에 대해서도 각각 도회(都會)((도회(都會) : 공물을 판출하기 위한 계(契).))가 있는데 크고 작은 폐단이 없는 곳이 없습니다. 그러나 감히 낱낱이 거론하여 성총(聖聰)을 더럽히지 않겠습니다. 채택해서 취사하시기만을 바랍니다. 그리고 청밀(淸蜜)의 공납이 2석(石)이 넘는데, 백성은 적고 땅은 거칠어 그 숫자를 채울 수가 없습니다. 젓갈용으로 쓸 눌어(訥魚)의 배당도 1백 마리가 넘는데 물이 맑아서 큰 것이 없으므로 먼 지역에 가서 사가지고 오니 또한 폐단이라 하겠습니다. 제원(諸員) 1명이 이에 종사한 지가 이미 오래인데, 역사와 독책의 괴로움이 야장(冶匠)의 폐단과 다를 것이 없고 세공(歲貢)을 위해 한 사람을 배정하여 그것으로 먹고 살게 했으나 역사를 도망하는 폐단이 악공(樂工)과 같습니다. 그 나머지 20개의 각사(各司)에도 모두 공물이 있고 삭선(朔膳)·월령(月令)에 대해서도 각각 도회(都會)((도회(都會) : 공물을 판출하기 위한 계(契).))가 있는데 크고 작은 폐단이 없는 곳이 없습니다. 그러나 감히 낱낱이 거론하여 성총(聖聰)을 더럽히지 않겠습니다. 채택해서 취사하시기만을 바랍니다.
  
-아, 영동(嶺東)의 조그만한 고을이 기운이 이미 떨어진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한 역사와 한 부세도 오히려 갖추기 어려운데, 이포(里布)((이포(里布) : 벌포(罰布)))와 지정(地征)((지정(地征) : 농지세.))까지 끝없이 독책하고 까다로운 법령과 번거로운 조항으로 징색하여 마지않습니다. 그리하여 역사를 도망한 자의 일족과 묵은 밭의 이웃에게 책임을 분담시켜 부세를 징수하여 기필코 그 수를 채우려 하니, 10무(畝)의 농사로 어떻게 배를 채우고 몸을 감쌀 수가 있겠습니까. 이는 물고기를 끓는 솥에다 기르고 새를 불타는 숲에 깃들이게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으니, 아무리 자애로운 부모라도 자식을 보호하기 어려운데 임금이 어떻게 백성을 보유할 수 있겠습니까. 폐기된 지가 이미 오래인데 이제서야 알았으니, 그 사이의 시름과 고통으로 인한 원망에 대해 어진 사람이라면 마땅히 생각하여 안타깝게 여겨야 할 것입니다. 신이 약 10년 동안 완전히 면제해 주어 길이 고통을 잊게 해주자는 것은 이 때문이며, 강등하여 부곡(部曲)으로 만들어 큰 고을의 그늘에 비호되도록 하자는 것도 이 때문이며, 두 가지 다 할 수 없으면 진달한 바의 폐단만이라도 견감하여 우선 일시적이나마 편안하게 해주자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삼가 바라건대 성충(聖衷)으로 결단하고 대신에게도 상의해서 백성을 소생시키고자 하는 소망을 이루어 주고 또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에게도 유지를 내려서 포부(逋負)를 감면해 줌으로써 보호하는 계책을 양쪽 다 극진하게 하면 더욱 다행스럽기 그지없겠습니다.+아, 영동(嶺東)의 조그만한 고을이 기운이 이미 떨어진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한 역사와 한 부세도 오히려 갖추기 어려운데, 이포(里布)((이포(里布) : 벌포(罰布) ))와 지정(地征)((지정(地征) : 농지세.))까지 끝없이 독책하고 까다로운 법령과 번거로운 조항으로 징색하여 마지않습니다. 그리하여 역사를 도망한 자의 일족과 묵은 밭의 이웃에게 책임을 분담시켜 부세를 징수하여 기필코 그 수를 채우려 하니, 10무(畝)의 농사로 어떻게 배를 채우고 몸을 감쌀 수가 있겠습니까. 이는 물고기를 끓는 솥에다 기르고 새를 불타는 숲에 깃들이게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으니, 아무리 자애로운 부모라도 자식을 보호하기 어려운데 임금이 어떻게 백성을 보유할 수 있겠습니까. 폐기된 지가 이미 오래인데 이제서야 알았으니, 그 사이의 시름과 고통으로 인한 원망에 대해 어진 사람이라면 마땅히 생각하여 안타깝게 여겨야 할 것입니다. 신이 약 10년 동안 완전히 면제해 주어 길이 고통을 잊게 해주자는 것은 이 때문이며, 강등하여 부곡(部曲)으로 만들어 큰 고을의 그늘에 비호되도록 하자는 것도 이 때문이며, 두 가지 다 할 수 없으면 진달한 바의 폐단만이라도 견감하여 우선 일시적이나마 편안하게 해주자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삼가 바라건대 성충(聖衷)으로 결단하고 대신에게도 상의해서 백성을 소생시키고자 하는 소망을 이루어 주고 또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에게도 유지를 내려서 포부(逋負)를 감면해 줌으로써 보호하는 계책을 양쪽 다 극진하게 하면 더욱 다행스럽기 그지없겠습니다.
  
 만약 지위도 낮고 말도 경망하여 일일이 들어 줄 수 없다 하여 지난해처럼 관례대로 긴급하지 않은 공물이나 감면해 주고 만다면 비록 감면해 주었다는 말은 있어도 실상은 소생할 길이 없을 것입니다. 조정에서 그런 실정을 통찰하였는데도 본 고을이 은혜를 입지 못한다면, 이는 하늘이 버린 것이지 수령의 죄가 아닙니다. 아, 서민들이 즐겁게 살지 못한다면 임금이 함께 공업을 이룰 수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한 고을이 이와 같으면 한 나라도 미루어 알 수가 있습니다. 이제 집도 없이 떠도는 백성이 궁벽한 골짝에서 원망에 차서 울부짖는 자가 얼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뭇 사람들의 원망이 골수에 사무쳤는데도 위로 통할 수가 없으니 하늘의 감시를 소홀히 하면 반드시 그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질 자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지위도 낮고 말도 경망하여 일일이 들어 줄 수 없다 하여 지난해처럼 관례대로 긴급하지 않은 공물이나 감면해 주고 만다면 비록 감면해 주었다는 말은 있어도 실상은 소생할 길이 없을 것입니다. 조정에서 그런 실정을 통찰하였는데도 본 고을이 은혜를 입지 못한다면, 이는 하늘이 버린 것이지 수령의 죄가 아닙니다. 아, 서민들이 즐겁게 살지 못한다면 임금이 함께 공업을 이룰 수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한 고을이 이와 같으면 한 나라도 미루어 알 수가 있습니다. 이제 집도 없이 떠도는 백성이 궁벽한 골짝에서 원망에 차서 울부짖는 자가 얼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뭇 사람들의 원망이 골수에 사무쳤는데도 위로 통할 수가 없으니 하늘의 감시를 소홀히 하면 반드시 그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질 자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줄 89: 줄 89:
  
 하였다. 하였다.
 +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14책 22권 61장 B면【국편영인본】 20책 408면)
 +</WRAP>
 </WRAP> </WRAP>
c9-003.174744428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7 10:1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