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평해황씨대동보 문헌록
사용자 도구
등록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등록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추적:
c3-048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창은황진영행장(滄隱黃震英行狀)=== <WRAP 33em justify> <typo ff:'한양해서'> \_滄隱黃震英行狀\\ \_공(公)의 휘(諱)는 진영(震英)이요 자(字)는 성교(聖敎)요 호(號)는 창은(滄隱)이며 성(姓)은 평해황씨(平海黃氏)니, 고려(高麗) 충절공(忠節公) 휘(諱) 서(瑞)의 후손(後孫)이라. 이조(李朝)에 와서는 휘(諱) 옥숭(玉崇)이라는 어른이 계셔 한성판관(漢城判官)이며, 휘(諱) 보곤(輔坤)을 낳으시니 생원(生員)이요, 생원(生員)은 휘(諱) 우(瑀)를 낳으시니 목사(牧使)요, 목사(牧使)는 휘(諱) 응청(應淸)을 낳으시니 세상(世上)이 대해(大海) 선생(先生)이라 일컬으며 진사(進士)를 하셨고 효자(孝子)로 나라에서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表彰)을 했으며 또 유일(遺逸)로 천거(薦擧)되어 진보현감(眞寶縣監)에 제수(除授)되고 졸(卒) 후(後)에는 명계서원(明溪書院)에 향사(享祀)하니 이 어른이 곧 공(公)의 11대조(十一代祖)이시다. 휘(諱) 명계(明溪)는 나라에서 공조참의(工曹參議)로 증작(贈爵)을 받았고, 그 후(後) 4대(四代)를 지나서 휘(諱) 한창(漢昌) 호(號) 청부(聽夫)는 학행(學行)이 높아 방리(邦里)에서 큰 존경(尊敬)을 받았으며 그의 유명(有名)한 유교(遺橋)가 있다.\\ \_고조(高祖)의 휘(諱)는 재화(載華)요 증조(曾祖)의 휘(諱)는 배곤(配坤)이요, 조(祖)의 휘(諱)는 용구(龍九)요, 고(考)의 휘(諱)는 도(濤)이니, 양세(兩世) 모두 은덕(隱德)이 있었다. 비(妣)는 경주(慶州) 이씨(李氏)니 관변(觀變)의 여(女)로 부덕호절(婦德壺節)이 있었다.\\ \_철종(哲宗) 기유(已酉) 6월(六月) 18일(十八日) 공(公)이 정명리(正明里) 제(第)에서 나시니, 그 골상(骨相)이 기의(岐疑)하고 울음소리가 우렁차서 대인공(大人公)이 심(甚)히 기이(奇異)하게 여기더니, 점점(漸漸) 자라나서 처음으로 수학(受學)하게 되니 그 재사(才思)가 민활(敏闊)하여 번거롭게 가르치지 않아도 곧 또렷하게 해득(解得)하는 것이 빠르더라. 하루는 여러 아해(兒孩)들과 물가에 나가 놀다가 큰 뱀이 길 가운데 버젖이 있거늘, 공(公)이 꾸짖어 말하되 이 어떠한 요물(妖物)이 감히 장부(丈夫)의 앞에서 길을 막느냐? 내가 곧 때려 죽일 것이로되 너 또한 살기를 좋아하는 생물(生物)임에 차마 못 하겠노라 하고, 드디어 그 뱀을 쫓아 보내고 길을 걸어오는 것을, 한 마을에 사는 어떤 노인(老人)이 이 같은 경황(景況)을 보고 공(公)의 대인공(大人公)에게 아뢰니, 공(公)이 말하기를 이 아이의 지기(志氣)가 범상(凡常)치 않으며 또한 생물(生物)에 대(對)하여 사랑하는 마음이 있는 것으로 보아, 장래(將來) 많은 발전(發展)이 있을 것으로 믿으나 그 지기(志氣)가 너무 지나친 것을 근심치 않을 수 없어 적당(適當)한 편책(鞭策)으로서 교양(敎養)코져 하나 부자지간(父子之間)의 은의(恩義)가 혹(或) 상(傷)할 것을 염려(念慮)하여, 역자이교지(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易子而敎之): 다른 사람의 자식(子息)은 내가 가르치고 내 자식(子息)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付託)하여 가르친다는 말. ≪맹자(孟子)≫의 <이루(離婁)> 상편(上篇)에 나오는 말이다.))라는 옛 사람들의 말을 받아 사천(沙川) 남공(南公) 구한(九翰) 선생(先生)의 문하(門下)에 입학(入學)시켜 수학(修學)케 하였다. 남공(南公) 또한 가르치는 법(法)이 심(甚)히 엄(嚴)하여 매일(每日) 일정(一定)하게 연석(硏席)에서 훈회(訓晦)하니 그 기거동작(起居動作)과 언행심사(言行心思)가 예의(禮儀)에 맞지 않은 것이 없게 되고 또 인품(人品)이 고상(高尙)해지며 태도(態度)마저 의연해지니 보는 사람들이 그 원숙(圓熟)함에 놀라지 않는 이가 없더라. 또 그 비범(非凡)한 재조로 열심(熱心)히 공부(工夫)하게 되니 15~6세(十五六歲)에 경전(經傳)을 통달(達通)하고, 특(特)히 저술(著述)에 능란(能爛)하여 서당(書堂)에서 과거(科擧) 예습(豫習)으로 시험(試驗)을 보게 되면 노소(老少)를 막론(莫論)하고 많은 학도(學徒) 중(中)에 항상(恒常) 최우등(最優等)에 뽑히는 고로, 남공(南公)이 더욱 사랑하여 일시(一時)도 방과(放過)치 못하게 하니 점점(漸漸) 학문(學問)이 높아가며, 또 깨닫는 바 인생(人生)의 도(道)를 하나하나 실천(實踐)에 옮기는데 힘쓰니 원근(遠近) 많은 선비들의 중망(重望)이 되었다. 공(公)이 일찍이 말하기를, 우리 선조(先祖)께서 우리 후손(後孫)들에게 남긴 유산(遺産)은 근학신행(勤學愼行)이라는 문구를 문집(文集)에 실어 있거늘, 가훈(家訓)으로 전(傳)하고 대대(代代)로 지켜오는 것인데 지금인들 어찌 이 무념(無念)의 교훈(敎訓)을 저버릴 수 있겠는가 하였으며, 그때의 한 고을 사우(士友)로서는 명파(溟波) 이공(李公) 수권(壽權)과 봉남(峰南) 안공(安公) 택선(宅善)과 대하(臺下) 장공(張公) 병(柄)같은 분들도 모두 두려운 벗들이라, 춘추(春秋)로 경전(經典)을 서원(書院) 또는 향교(鄕校)에서 강의(講義)할 때나 서원(書院)과 향교(鄕校) 직임(職任)을 체임(遞任)할 때는, 반드시 공(公)을 초대(招待)해 모시고 거행(擧行)하였다.\\ \_경진년(庚辰年)에 대인공(大人公)의 거우(居憂)로 초상(初喪)과 제사(祭祀)에 가례(家禮)대로 따랐으며, 복(服)을 마치자 연달아 내간상(內艱喪)을 또 당(當)하니 치애진례(致哀盡禮)를 전상(前喪)과 꼭 같이하였다. 복(服)을 마친 후(後)에도 초중(初中)으로 한 달에 두 번씩 성묘(省墓)하고 매일(每日) 새벽에 일찍 일어나 관복(冠服)을 갖추고 사당(祠堂) 배알(拜謁)을 하였다.\\ \_병신년(丙申年)에는 왜적(倭敵)에게 국모(國母) 살해사건(殺害事件)이 생(生)하니 전국민(全國民)이 국모(國母)를 위(爲)하여 의거(義擧)가 일어남에, 공(公)도 향병(鄕兵)을 거느리고 이 사건(事件)에 응(應)하였더니 일을 성사(成事)치 못한 채 투옥(投獄)되었는지라. 공(公)이 옥리(獄吏)를 불러 종이와 붓을 가져오라 명(命)하여, 먼저 아전의 무리들의 간사한 것을 치고 다음에 임금의 살핌이 밝지 못한 것을 말하니, 옥리(獄吏)가 그 사실(事實)을 그 고을 원과 영장(營將)에게 고(告)하였더니, 양관(兩官)이 모두 탄식(歎息)하고 이는 세상에서 구(求)하기 어려운 인물(人物)이라 하고, 도리어 사례(謝禮)하며 돌려 보내니 이 후(後)로부터 공(公)의 성명(聲名)이 날로 더 하여, 멀고 가까운 문인호걸(文人豪傑)들이 다 추중(推重)하며 따르더라.\\ \_그리고 이 지방(地方)에 새로 오는 관장(官長)들은 반드시 부임(赴任)하면 그 문에 이르러 예(禮)를 드렸다. 정유년(丁酉年)에 향산(響山) 이(李) 선생(先生) 만도(晩燾)씨가 동해안(東海岸)에 여행(旅行)케 되어 먼저 공(公)을 찾아와서 3일간(三日間)을 유(留)하게 됨에, 공(公)과 학문(學問)과 세상사(世上事)를 토론(討論)하고 좌우(左右)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내가 조정(朝廷)에서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였으되 인품(人品)에 있어서나 학문(學問)에 있어서 공(公)과 같은 분은 많이 보지 못하였다. 공(公)이 만약(萬若) 이 해변(海邊) 벽지에 살지 않고 서울에 살아서 출세(出世)에 뜻을 두었다면 국가(國家)의 큰 동량(棟樑)이 되었을 것이 틀림없었을 것이라 하였다. 누세(累世) 종미(宗楣)로 봉선접빈(奉先接賓)하는 도(道)와 출입응수(出入應酬)하는 절차(節次)를 누가 흠앙하지 않으리요.\\ \_선세(先世) 묘도(墓道)의 현각(顯刻)하는 일에 있어서는 침식(寢食)을 잊고 성심(誠心)과 충정(哀情)으로 노력(努力)하였으며, 또 시조(始祖)의 선단(先壇)에 옛날부터 재우(齋宇)나 제전(祭田)이 없어 항상(恒常) 유감(遺憾)으로 생각(生覺)해 오던 바, 종인(宗人) 발과 기달(基達)로 더불어 그 규모(規模)와 계획(計劃)을 협의(協議)한 후에, 각도(各道) 각읍(各邑)을 두루 다니면서 비바람을 무릅쓰고 정성을 다하여 자원(資源)을 모아 완성(完成)하였더니, 나이 더 할수록 첨응(添應)이 더 심하여 끝을 맺지 못하고 세상(世上)을 버렸으니, 진실(眞實)로 통탄(痛歎)할 노릇이었다. 만약(萬若) 몇 해만 수명(壽命)을 더 빌었더라도 오늘날 진설(陳設)되는 간략(簡略)한 전수(奠需)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_무술년(戊戌年)에 통문(通文)을 발(發)하여 경향(京鄕)의 대보(大譜)를 청안(淸安)에서 닦을 때, 청안(淸安)은 곧 방선조(傍先祖) 양무공(襄武公)의 세거(世居) 종택(宗宅)이다. 공(公)이 이 일에 도총감사(都總監仕)의 책임(責任)을 지고 막중대사(莫重大事)를 돈독(敦篤)히 하여 유종(有終)의 미(美)를 거두었다. 그리고 제전(祭田)이 넉넉지 못한 것과 종택(宗宅)이 허물어진 것을, 일체(一切) 새롭게 넓히고 수리(修理)하였으며 또 논과 밭을 얼마쯤 마련하여 종가(宗家)로 하여금 군색(窘塞)를 면(免)케 하였다. 또 시조(始祖)의 단사(壇祀)에 전헌(奠獻)하는 것이 자주 개체(改遞)되는 것을 미안(未安)히 생각(生覺)하고 종중(宗中)의 공의(公議)로 일정(一定)한 절차(節次)를 정(定)하여 시행(施行)케 하였다.\\ \_경술년(庚戌年)에 나라 일이 크게 글러졌음에 공(公)이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이 빈 터가 된 것을 아프게 여겨 문을 굳게 닫고 자취를 감추고 남의 부름에도 참여(參與)하지 않고 날로 고상(高尙)한 풍월천석(風月泉石)의 시(詩)를 외우며 그 비분(悲憤)한 여생(餘生)을 보냈다. \\ \_무오년(戊午年) 4월(四月) 14일(十四日)에 침실(寢室)에서 고종(考終)하시니 향년(享年)이 70(七十)이라. 부음(訃音)이 나가자 사우(士友)들이 모두 슬퍼하며 말하기를 덕망(德望)이 높은 거사(巨士)가 사라졌다 하였다. 처음에 현산(峴山) 유좌지원(西坐之原)에 장사(葬事)하였다가 다시 호전(虎田) 선조내(先兆內) 좌록(左麓) 부건지원(負乾之原)에 이봉(移奉)하였다.\\ \_공(公)이 장중(莊重)한 자품(資稟)의 품성(品性)을 지니시고 고매(高邁)한 지기(志氣)를 가지시어 지난 날의 암락(岩落)한 기개(氣槪)는 큰 출세(出世)를 기대(期待)했으나, 때가 아님을 자각(自覺)하고 부운(浮雲)같은 세상(世上) 일에 허무(虛無)하게 좌왕우왕(左往右往)하느니보다, 차라리 가학(家學) 연원(淵源)의 아름다움에 침잠(沈潛)하여 옛 성현(聖賢)들이 訓誥하던 글을 탁마(琢磨)하고 힘써 부지런히 읽어 수기치인(修己治人)하는 도(道)를 실천(實踐)하는 것이 옳은 길이라 깨닫고, 나날이 선(善)하고 의(義)로운 일이면 적다하여 소홀(疏忽)히 하지않고, 행(行)하는데 노력(努力)하니 몸에 엄(嚴)하던 기운(氣運)이 점점(漸漸) 너그럽고 화평(和平)한대로 나아가고, 교만(嬌慢)하게 자랑하는 뜻은 점점(漸漸) 온순(溫順)하고 유화(柔和)한데로 기울어져 일언일행(一言一行)이 남에게 애이(厓異)함이 없어서, 모든 사람마다 머리가 수그러지고 듣는 사람마다 흠모(欽慕)하였으니 진실(眞實)로 학문(學問)의 공(功)이 아니었더면 어찌 이러한 인격(人格)의 소유자(所有者)가 되었으리요.\\ \_또 자기(自己)의 소견(所見)만을 옳다하지 않고 남의 의견(意見)을 그르다 하지않고 오직 좋은 일이며 의(義)로운 것이면 좋고 행(行)했으니, 깊은 사의(思誼)가 종족(宗族)에게 높은 신의(信義)가 향당(鄕黨)에 들어나 큰 종사(宗事)에 있어서나 병신년(丙申年) 국모의거사건(國母義擧事件) 같은 국사(國事)에 있어서도 향민(鄕民)들이 믿고 따라 나라에도 영광(榮光)되게 하였다. 이같이 그의 몸에 쌓인 것이 이미 후(厚)한 고(故)로 문사(文辭)로 발(發)하는 것도 또한 깊고 그윽하며 높고 굳세어 속된 선비들이 조박(粗粕)하고 재치있는 글과는 다른 문화적(文化的) 가치(價値)있는 저술(著述)이 적지 않았는데, 누차(累次)의 병화(兵火)로 소실(燒失)되고 다만 시문(詩文) 몇 편(篇)만 집에 간수해 있을 뿐이다.\\ \_배(配)는 순흥(順興) 안씨(安氏)니 호선(浩善) 여(女)이며, 공(公)보다 10년(十年) 먼저 졸(卒)하고 묘(墓)는 집 뒷산(山) 유좌지원(西坐之原)에 있다. 4남5녀(四男五女)를 두었는데, 장남(長男)은 호(暭)이요, 다음은 창(昶) 연(曣) 학([日學])이요. 여(女)는 순흥(順興) 안용식(安鎔軾), 울진(蔚珍) 장병옥(張秉玉), 평산(平山) 신유환(申裕煥), 김녕(金寧) 김순룡(金順龍), 정선(旌善) 전해룡(全海龍)에게 출가(出嫁)하였다.\\ \_호(暭)는 아들이 없어 종제(從弟) 엽(曄)의 자(子) 재우(載宇)로 사자(嗣子)를 삼고, 여(女)는 무안(務安) 박종한(朴鍾漢)에게 출가(出嫁)하였다. 창(昶)이 또한 아들이 없어 족제(族弟) 환(晥)의 아들 윤곤(允坤)으로 뒤를 이었고, 여(女)은 순흥(順興) 안승원(安承源), 순흥(順興) 안맹원(安孟源), 파평(坡平) 윤갑(尹鉀)에게 출가(出嫁)했다. 연(曣)이 1남1녀(一男一女)를 두었으니 남(男)은 재순(載舜)이요 여(女)는 순흥(順興) 안용발(安鎔浡)에게 출가(出嫁)하였다, 학([日學])이 2남(二男)을 두었는데 재린(載麟) 재봉(載鳳)이다. 재우(載宇)가 4남3녀(四男三女)를 두었으니, 장남(長男)은 덕진(德鎭)이요, 다음은 석진(碩鎭) 한진(漢鎭) 익진(翼鎭)이요, 여(女)는 신안(新安) 주재수(朱宰壽)에게 출가(出嫁)하고 나머지는 어려서 기록(記錄)하지 아니한다.\\ \_찬종(燦宗)이 이웃 고을에 살고 있어 공(公)의 훌륭한 풍채(風彩)와 뛰어난 거동(擧動)을 잘 듣고도 한번도 승배(承拜)치 못함을 한(恨)스럽게 여겼더니, 하루는 공(公)의 손(孫) 재우(載宇)가 공(公)의 유사(遺事)를 가지고 나에게 장덕지문(狀德之文)을 청(請)하거늘, 스스로 부족(不足)함을 느껴 감(敢)히 이런 일은 감당(堪當)치 못하나, 일찍이 들으니 인물평(人物評)이 산악(山岳)과 같은 기상(氣像)을 갖추었고 하해(河海)와 같은 도량(度量)을 품어 그 넓고 깊은 모양이 외형(外形)으로는 누구나 가까이 할 수 있도록 느끼게 하고 행실(行實)로는 가(可)히 천하(天下)가 본받을만한 모범(模範)이 된다 하였다. 또한 가장(家狀)에 기록(記錄)된 바가 소문(所聞)과 꼭 같으므로 드디어 그 대개(大慨)를 꿰매어 효간(孝懇)을 막음하고 또 평일(平日)에 앙모(仰慕)의 정성(精誠)에 붙여 이르노라.\\ \_\_세(歲) 기해(己亥) 모춘(暮春) 상완(上浣) 대흥(大興) 백찬종(白燦宗) 근찬(謹撰) </typo> </WRAP>
c3-048.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3 16:57 저자
ssio2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