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평해황씨대동보 문헌록
사용자 도구
등록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등록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추적:
c8-009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평해황씨신천공파보서(平海黃氏新川公派譜序)== <WRAP 37em justify><hidden \_한문 원문 보기>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平海黃氏新川公派譜序**\\ 程子曰修譜系立族法以管攝天下人心蘇氏曰觀吾譜者孝悌之心油然而生夫譜者所以繼其世代收其宗族者也上而祖先下而族屬無不盡載披譜按牒瞭然如會一堂追遠之感自發敦睦之誼益篤是所以孝悌之心油然而興者也蓋吾黃之為姓自海舟東渡學士公諱洛爲鼻祖歷羅麗而累經兵燹不知幾代失傳以箕城<fs:0.5em>平海舊號</fs>爲氏者鹹以高麗金吾公譯溫仁爲中祖起一世至四世檢校公評理公大國公三兄弟分派而大國公四世孫襄武公以我朝開國功臣崇祿大夫贊成事封平海君於新川公爲八代祖也吾族之有譜舊矣且重刊者數矣往在壬寅又繼修三派大同譜而距今五十六年況值叔季世級日下幻年漸長子姓繁衍莫辨秩序如是若過累代則但知同姓不知同祖故古人必世而一修譜俾無遺漏蓋為是也當此世亂大同合譜難於再行故今以吾入鄉祖諱禧男子新川公派譜以爲一家之私傳由是而溯考先源傍及諸派則吾姓之大同自在其中其餘無忝之訓各在其人之自明餘何必多其辭也議既定委餘敘其顚末不敢固辭概伸如右\\ \_\_歲丁西秀葽節裔孫學周謹序 </typo> </hidden> \\ <typo ff:'바탕'; fs:1em; lh:1.5em> \_**평해황씨신천공파보서**\\ \_옛날 중국(中國) 정자(程子) 즉, 명도선생(明道先生)의 말에 보계(譜系)를 닦고 족법(族法)을 세움으로서 천하인심(天下人心)을 수섭(收攝)할 수 있는 것이라 하였고, 소씨(蘇氏)는 우리 족보(族譜)를 보는 이는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하고 형제(兄弟)간 우애(友愛)하는 마음 유연(油然)히 나리라하다.\\ \_대저(大低) 족보(族譜)는 한 족속(族屬)의 세계(世系)를 적은 책이다. 상(上)으로 조선(祖先), 하(下)로 족속(族屬)을 빠짐없이 기재(記載)하여 분명(分明)히 일당(一堂)의 모임과 같아서 추모(追慕)의 마음 자발(自發)하고 목족(睦族)의 의리(誼理) 돈후(敦厚)하여지니, 이것이 효제(孝悌)의 마음이 유연(油然)히 나는 것이다. \\ \_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는 (서기 28년(二十八年) 추정(推定)) 중국 한(漢)나라로부터 바다를 건너(海舟)로 동도(東渡)하신 학사공(學士公) 휘(諱) 황낙(黃洛) 어른을 시조(始祖)로 삼았었다. 신라(新羅), 고려(高歷) 두 시대(時代)를 지나는 중(中) 누차병란(累次兵亂)으로 문적소실(文籍燒失)되어 기대(幾代)나 실전(失傳)되었는지 알지 못하고 다만 평해(平海)로 관(貫)을 삼는 것은 고려(高麗) 때 금오장군(金吾將軍)이신 휘(諱) 온인(溫仁) 어른을 중조(中祖)로 삼아 1세(一世)로 하고 4세(四世)에 이르러 검교공(檢校公), 평리공(評理公), 대광공(大匡公) 3형제(三兄弟) 분파(分派)로서 대광공(大匡公)의 4세손(四世孫)인 양무공(襄武公)은 이조(李朝) 개국공신(開國功臣) 숭록대부(崇祿大夫) 찬성사(贊成事) 봉(封) 평해군(平海君)하신 어른은 신천공(新川公)의 8대조(八代祖)되시는 분이다. \\ \_오족(吾族)이 족보(族譜)를 간직함도 오래되었으며, 중간(重刊)도 누차(累次)이다. 지난 임인년(壬寅年)(1902년) 풍기금양(豊基錦陽)에서 3파(三派) 대동보(大同譜)를 이어 닦은지도 거금(距今) 56년(五十六年)이다. 하물며 어수선한 근세를 맞아 풍조(風潮)는 나날이 변하(變下)하는 반면(反面) 유년(幼年)이 점점 성장(成長)하고 후손(後孫)이 번성(繁盛)하여 족내(族內)간 서차(序次)를 알지 못하고 이와 같이 대(代)를 지나면 다만 동성(同姓)인 줄만 알고 동조자손(同祖子孫)인줄 알지 못할 것이다. 고인(古人)은 1세(一世)(1세(一世)는 30년(三十年))마다 빠짐없이 수보(修譜)하는 것은 대게 이런 관계일 것이다. \\ \_지금은 난세(亂世)라 대동합보(大同合譜) 재수(再修)는 난사(難事)로 생각(生覺)되어서 우리 신천공파(新川公派) 보책(譜冊)을 간행(刊行)하여 우리 문중(門中)에 사전(私傳)(가승(家乘): 한 집안의 역사적 사실을 적은 책)으로 삼는다. 이로 인(因)하여 직계(直系) 및 방계(傍系) 근원(根源)을 고찰(考察)하면 우리 황씨(黃氏)의 대동(大同)이 그 가운데 있으리라 생각한다. 선대조상(先代祖上)의 유덕(遺德)을 욕되게 하지 말라는 훈계(訓戒)는 각각(各各) 그 사람의 명념(明念)할 것이오. \\ \_나로서 여러말 하지 않고 문의(門議)로 나에게 파보간행전말(派譜刊行顚末)을 위탁(委託)하기로 고사(固辭)치 못하여 이상과 같이 적어서 구서문(舊序文) 하(下)에 붙인다.\\ \_\_세(歲) 정유(丁西)(1957) 수요절(秀葽節)(4월(四月)) 예손(裔孫) 학주(學周) 근서(謹序) </typo> </WRAP>
c8-009.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5 08:10 저자
ssio2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