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통훈대부사복시정평해황공석평묘갈(贈通訓大夫司僕寺正平海黃公石平墓碣)=== \_**贈通訓大夫司僕寺正平海黃公石平墓碣**\\ 公諱石平字子安姓黃氏平海人自羅歷麗至于我\_朝代有聞人高祖諱瑀 星州牧使曾祖諱應澄判決事祖諱汝一吏祖參判號海月考諱中憲宣敎郞 妣宜人務安朴氏判書毅長子縣監瑜女公生于崇禎壬申卒于\_明陵癸酉 七月六日享年六十二後\_贈司僕寺正配\_贈淑人大興白氏經歷夢彪于 從任郞東良女先公一年卒合窆于銅幕戌坐原後用卜人言改葬于左麓項 艮原有二男一女塾\_贈左承旨號龜岩次出爲從弟石老後女生員權大 觀承旨有三男三女男世元\_贈戶曹參判次世享世貞參判次再從弟世恒 仲子受夏爲嗣大耊階同樞三世追榮以此世亨無嗣世貞有一女同樞一男 三女琛琛嗣子致泓女三人致泓一男三女男錫九公之德業行蹟記載於龜 岩公家狀不肖孫錫九始立石以表墓不敢疊架杜撰畧序世系如石\\ \_\_崇禎紀元後四壬辰仲春六代孫錫九謹書\\ \_\_癸巳九月\_日立 \\ \_**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사복시정(射僕寺正) 평해황공(平海黃公) 석평(石平) 묘갈명(墓碣銘)**\\ \_공(公)의 휘(諱)는 석평(石平)이요 자(字)는 자안(子安)이며 성(姓)은 황씨(黃氏)니 평해인(平海人)이라. 신라(新羅), 고려(高麗)를 걸쳐 아조(我朝)에 이르기까지 대대(代代)로 좋은 가문(家門)이라.\\ \_고조(高祖)의 휘(諱)는 우(瑀)이니 성주목사(星州牧使)이시다. 증조(曾祖)의 휘(諱)는 응징(應澄)이니 판결사(判決事)라. 조(祖)의 휘(諱)는 여일(汝一)이니 이조참판(吏曹參判)이며 호(號)는 해월(海月)이시다. 고(考)의 휘(諱)는 중헌(中憲)이니 선교랑(宣敎郞)이다. 비(妣)는 의인(宜人) 무안박씨(務安朴氏)니 판서(判書) 의(毅)의 장자(長子) 현감(縣監) 유(瑜)의 여(女)라. 공(公)은 숭정(崇禎) 임신(壬申)에 생(生)하시고 명릉(明陵) 계유(癸酉) 7월(七月) 6일(六日)에 졸(卒)하시니 향년(享年) 62(六十二)라. 후(後)에 증(贈) 사복시정(司僕寺正)이시다. 배(配)는 숙부인(淑夫人) 대흥백씨(大興白氏)니 경력(經歷) 몽표(夢彪)의 후손으로 종사랑(從仕郞) 동량(東良)의 여(女)니 공(公)의 1년전(一年前)에 졸(卒)하시다. 동막(銅幕) 술좌원(戌坐原)에 합폄(合窆)하셨다가 뒤에 복인(ㅏ人)의 말을 들어 좌록(左麓) 항간원(項艮原)에 개장(改葬)을 하였다. 2남2녀(二男二女)가 있으니 숙(塾)은 증(贈) 좌승지(左承旨) 호(號)는 구암(龜岩)이요, 차(次)는 옥([沃/土])으로 종제(從弟) 석로(石老)에게 출계(出系)하였고, 여(女)는 생원(生員) 권대관(權大觀)이다. 승지(承旨)공은 3남3녀(三男三女)가 있으니 남(男)에 세원(世元) 증(贈) 호조참판(戶曹參判)이고, 차(次)에 세형(世亨), 세정(世貞) 참판(參判)이요 차(次) 재종제(再從弟) 세백(世[忄百])의 중자(仲子) 수하(受夏)가 사(嗣)가 되어 대질계(大耊階)((대질계(大耊階): 수직으로 받은 벼슬)) 동추(同樞)로 3세(三世)가 추영(追榮)((추영(追榮): 종이품(從二品) 이상(以上)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曾祖)에게 벼슬을 주던 일.))이 되었다. 세형(世亨)은 무사(無嗣), 세정(世貞)은 1녀(一女), 동추(同樞)는 1남3녀(一男三女) 침(琛)이요 침(琛)의 사자(嗣子)는 치홍(致泓)이고 여(女)는 3인(三人)이고, 치홍(致泓)은 1남3녀(一男三女)니 남(男)은 석구(錫九)이다.\\ \_공(公)의 덕업행적(德業行蹟)이 구암공(龜岩公) 가장(家狀)에 기재(記載)되어 있다. 불성손(不省孫) 석구(錫九)는 첫번 입석(立石) 시(時)에 묘(墓)에 표(表)하노라 감(敢)히 첩(疊)으로 다할 수 없고 세계(世系)만 간략(簡略)히 우(右)와 같이 하노라.\\ \_\_숭정(崇禎) 기원후(紀元後) 4(四) 임진(壬辰) 중춘(仲春) 6세손(六世孫) 석구(錫九) 근서(謹書)\\ \_\_계사(癸巳) 9월(九月) 일(日) 입(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