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황씨 초간 세보서
황씨가 우리나라에 나타난지 오래되었다. 신라(新羅)가 처음으로 여섯
성씨(姓氏)를 세운 후로 그 뿌리와 넝쿨과 잎이 퍼져서 세상에서 대대로
대성)大姓)이 되었다.
관향(貫鄕)을 나누어서 철원(鐵原), 창원(昌原), 장수(長水), 기성(平海) 황씨가
뚜렷이 나타난 것인데 그 중에도 평해황씨가 가장 멀고 또 오래되었다.
그러나 그 초기에 어떤 사람에서 시작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세속(世俗)에 전하기를 신라의 상고시대에 황장군이라는 사람이 있어
구(丘)장군이라는 사람과 더불어 동시에 들어 왔으니
곧 황(黃)은 월송 북쪽 기슭에 살았는데 이제까지도 황 장군 터가 있고
구씨는 구미(丘尾)의 북쪽 나루에 정박하였으니 이로 인해 이름을
구미진(丘尾津)이라고 하였다. 이는 모두 군지(郡誌)에 실려있다.
그러니 세대가 황폐해서 문적이 증거될 만한 것이 없으니 생각컨대
황씨가 여기에서 근원이 되는 것 같다. 그러나 확실하다고는 할 수 없겠다.
대개 창원, 장수 두 황씨는 평해를 거쳐서 소속이 갈리었으니
그 초기에는 한 조상이라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고려 초부터 역대로 융성이 나타나 현달하고 문무가 끊어지지 않아
명공과 큰 벼슬한 이들이 조선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또렷하게 볼만하였으니
선조(先祖)의 깊은 인자함과 어질고 두터운 은택이 북돋아 심어지고
점점 쌓여지지 않았다면 어찌 수 백년 동안 문벌이 전해지고
대대로 또 문벌을 지킨 그 업이 진실로 이어져 왔겠는가!
심은 것이 있으면 수확하는 것이 있게 되고 물길을 닦으면
물이 흐른다는 말을 믿을 수 있겠구나! 그 때 틀림없이 믿을만한 족보가
서로 전해지고 있었을 것이나 고려 말기 해적들이 밀려와서
죽령 이남이 모두 적의 소굴이 되었다. 그래서 여러 사람들이 모두 난을 피해
북으로 옮겨가고, 가지고 있던 세전 재물은 모두 병화에 타고 남은 것이 없었으니
애석한 일이다. 우리 성씨가 사방에 두루 퍼진 것은 역시 여기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 그 후 황상(黃象)1)이
문천군(文川郡)2)으로 돌아와서 묻혔다. 이로 인하여 번성하여 각 고을에 흩어져 이른 사람들이 매우 적었으나 그래도 단절되지 않았으니 다행이다.
그런데 족보를 잃어서 듣지 못하는 연고로 평해(箕城)에 사는 자손들이
양파(兩派)로 갈라져서 각각 그 조상이 실로 처음에 한 조상인지
어떤 사람인지 몰라서 서로 혼인을 하고도 편안히 여기고 부끄러워함이 없었으니
이는 어찌 크게 다행 중에 또 큰 불행이 아니겠는가.
황서(黃瑞)3)가 익대공신(翊戴功臣)이 됨으로 그 고을이 현(縣)에서 군(郡)으로 승격되었고 황현(黃鉉)4)이 경서에 밝고 행실이 닦아져서 세상에 칭송을 받았고 근대에 또 황서(黃瑞)5) 황준량(黃俊良) 등 박학다문한 이가 있었는데 또 그 조상이 하나라는 것 또한 종친이라는 것을 뚜렷이 나타낼 수가 없어서 드디어 우리 자손들에게 끝없이 통탄스러운 일이 되었다.
오호라! 우리 관향은 궁벽진 곳에 있는 고을이요, 우리들은 쇠잔한 자손이다.
궁벽한 고을에 거처하며 쇠잔한 자손이 되었으니 대대로 벼슬하던 우리 세족이 천민과 노예로 흘러 떨어지고 자손이 길가에서 만난 사람처럼 남보다도 더 멀어진 것을 눈으로 보게 되었으니 끝없이 통탄함이 여기에 이르렀다. 이를 또 어떻게 하겠는가?
임진년, 계사년의 난리가 고려 말기의 탕진한 것보다도 더 했으니 훗날에는 증거를 댈 수 없는 것이 오늘날의 형편보다 더 심할 것이고 천민이 되고 노예가 되고 길가에 지나가는 사람처럼 남으로 지내는 탄식이 또한 오늘날의 쇠잔한 자손보다 더 심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크게 두렵게 여겨서 수집(족보수단)을 하기로 뜻을 두었다. 그러나 질병이 서로 잇따르고 이목(耳目)이 넓지 못해서 우선 숙부 응청(應淸)이 평일에 직접 기록한 것을 근거로 하고 내가 교유(交遊)하여 듣고 본 바를 보충해 넣어서 한 집안에 사사로이 전해 가면서 볼거리로 삼노라.
그 사이에는 상세하게 된 것도 있고 혹은 소략하게 된 것과 혹은 없어져서 쓰지 못한 것도 있으니 다만 전에 있던 기록에 따른 것이다. 혹은 이름이 같은데도 파(派)가 다르기도 하고 혹은 함께 태어났는데도 항렬(行列)이 맞지 않은 것들이 있다.
그래서 의심나는 것은 의심나는 대로, 믿을 것은 믿는대로 전할 것을 함께 남겨두고 그것을 삭제하지 않았으니 이는 선대(先代)에 해놓은 것을 존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외손의 외파(外派) 구친(舅視)의 구족(舅族)은 하나의 글에 여러번 쓰는 것을 마지않았으니, 이는 사족(士族)을 밝히기 위해서 그런 것이고 천민이 되고 아전이 되고 서얼이 되고 또 천민이 된 것까지 역시 다 썼으니 이것은 같은 일가를 중히 여겼기 때문이다. 오호라 수백년 이전의 조상들이 여기에 힘입어서 후세에 전해지는 것을 어찌 알 것이며, 수 백년 뒤에 태어나는 자손이 이것을 계승할 줄 어찌 알리오만 더욱이 후손이 나온 바를 더욱 상세히 하여서 완전한 족보를 도모해 이루게 된다면 이는 가히 유감이 없게 될 것이다.
황명만력(皇明萬歷) 갑진(甲辰)(: 1604년) 상순(上旬)
후손 통훈대부 행(行) 예천군수 여일(汝一)은 삼가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