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서
내 초여름부터 선영에 치석 역사가 있어 문산 병사(丙舍)에 머무른지 이미 월여가 넘은 어느날 황(黃)군 종흠(鍾欽)에게 전위해서 여중에 내방하여
대충 양가의 세의가 잇었던 말을 하고 한 책자와 그 족인인 발(墢)과 옥(玉) 양인의 서찰을 보이면서 우리집의
족보를 신편인 바 권두에 서문이 없을 수 없다하며 나에게 일언을 요청하는데
그 속탁이 매우 간절하고도 또 원로에 찾아온 성의가 사람을 감동케 하다.
돌아보건대 나의 학문이 적고 정신이 혼미한데 이런 처지로 글을 써
과연 높은 안목에
합용될 것인지 염려스러워 차라리 굳게 사양하고 말리라 생각했으나
세의가 있는 처지요, 또 나의 무졸한 말로는 그 청탁을 막을 수 없어
삼가 보첩을 상고해보니, 평해 황(黃)씨의 시조이신 휘 낙(洛)이라는 어른이
처음 동방에 오셔서 평해에 사시고,
후세에 형제 3인(人)이 각각 관향을 봉한 바 평해가 제1위라
그 후 잠조(簪組)가 상승, 관작이 계속 이어 졌는데 충경(忠敬)공 같은 분은
벼슬이 숭질 즉 일인지하에 만인지상인 최고 관직에 이르렀으며,
또 수세를 지나서 양무(襄武)공이 이(李) 태조 건국일에 추충 협찬의 공업이
뛰어나 작록을 더하여 받아 봉군의 영총이 있었으니, 아! 융성하도다.
또 감사공은 경학에 밝고 행의가 높았으며, 양한공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충의를 다함과, 충렬공의 순국대절이며, 팔경공은
나의 선조 우암 문하에서
학업을 닦아 성리서를 힘써 배움으로써 사우 간의 중망이 있었음은
더욱 가상할 것이다.
생각컨대 이같은 명문 벌족이
오늘 동방의 대족으로서 수보하는 거사가 어찌 중대치 않겠는가?
대저 씨족의 친소원근을 논할 것 없이 본관이 같으면
동보로 귀일하는 것이 인가의 떳떳한 규칙이기는 하나,
세대가 멀어질수록 후손이 더욱 더 많아져서 일보에 합동은
어려운 것은 사세가 그렇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오직 여기 황(黃)씨가
종회한지 한해에 한파의 보계를 고증하고 정정하여 충경공의
선대 세계 및 자손을 상심하여 유루함이 없고 상고하기 편리토록
편집하기를 수십번 하여 장차 인판에 붙이게 되었으니 가히 성력있는 바요,
또 보호종족의 성사임을 알만하다. 참으로 감탄하여 마지않는다.
충경공의 하계가 이미 누대에
이르러 파분 지열이 각처에 산거하니 왕왕 이름자나 안면을 모르고 행인처럼 지낸다면 어찌 조상의 뜻이겠는가? 이제
보책이 편집이 완료되었으니 책을 한번 펴보게 되면은
종족이 한자리에 모인 것 같고, 또 친애하는 마음이 자연히 그 가운데
흐를 것이다. 충경공의 후예되는 이는 각각 힘쓰기 바란다.
충경공의 백중양파도 각 수보를 한다는 말이 있다.
소양대연헌(=계해(癸亥) 1924) 11월 상순에 덕은 송술헌(宋述憲) 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