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황씨세보 총편
평해군
(동으로는 해안이 7리요, 남으로는 경북 영덕군계가 24리오,
서로는 경북 영양군계가 51리요, 북으로는 울진계가 38리요. 서울의 거리는 660리라)
본시는 고구려의 척을어현이었으며, 고려 초부터 지금의 이름 평해니라.
고려 현종왕 때에는 예주에 속하였다가, 명종왕 2년(1172)에
다시 현감을 두어 관장이었다. 충렬왕 때에 본고을
사람 황서(黃瑞)께서 왕을 모시고 원(元)나라를 수행함으로써, 그 공이 추대되어
평해현이 평해군으로 승격되니, 이(李)조에 와서도 인하여 관원을 군수로 하다.
〇군명의 변천이 척을어 기성 평해니라.
시조 황낙(黃洛)
옛 평해지를 상고한 즉 이르기를 신라 조에 황(黃)장군과 구(丘)장군이 있어,
동해로 부터 들어와 평해에 배를 대어 월송의 삼림을 조성하고, 굴산의 북쪽 언덕에
터를 다듬어 살았나니, 지금의 황(黃)가 성으로서 평해로 본관을 하는 이는
모두 이에 자손으로 이 어른을 시조라 이르니라.
또 서애 유(柳)문충공 기사를 상고함에 이르되, 한(漢)나라 광무 황제
건무 4년(28) 학사 황낙(黃洛)과 더불어 구(丘)장군 대림(大林)이
동국에 처음 살아, 후대에 이르러 갑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 3형제가 있어,
갑고(甲古)는 기성군을 하고, 을고(乙古)는 장수군을 하고, 병고(丙古)는
창원백을 하였다 이름이라.
또 응교 초곡공 황계옥(黃啓沃)의 집에 상고로부터 내려오는 가첩을 상고하니,
이르기를 당(唐)나라 고종 황제 용삭 8년, 즉 신라 문무왕(文武王) 8년(668) 무진(戊辰)에
공과 더불어 당장 이세적과 함께 동국에 들어왔으며, 즉 이세적의 사위니라.
공이 인하여 예국의 기 남해안에 살으셨으며, 국학진사였노라. (예는 즉 강릉이오,
기는 즉 기성현이라)
근세에 또 함경남도 이원의 강승우네 집에 소장된 만성보를 상고한 바,
황씨의 세계가 즉 학사공으로 부터 금오공에 이르기까지 중간 5대의
성휘 및 관직이 소상히 실려있으며, 동국에 들어온 연조 역시 초곡공의 집
세첩과 같으며, 모두 한(漢)나라에서는 학사(學士)라는 지칭이 없었으며,
당나라 조정에서 처음 시작됨이라. 또는 초곡공은 즉 자손의 집 세첩이오,
강씨(姜氏)네 집
만성보가 또한 부합됨이 당나라 때에 동국에 들어와 살았다는 사실이니,
이도 같이 믿을 수 있는 사적이다. 그러나 단
한가지, 중간의 대서가 즉 학사공의 동입이 신라 때 문무왕 8년(668)이면,
문절공이 고려 충렬왕조(1275)의 중신이어늘, 흡이 600여년인데 비해,
어찌하여 대수의 차가 9대 뿐일인가? 이는 아직 믿음에 의지할 바 못되나,
실려있음을 그대로써 기록이니 후일의 상고에 참고일지로다.
시조黃洛황락 | 子坤离곤이 | 子三磨삼마 | 子仁君인군 | 子守先수선 | 子甲古갑고 | 子溫仁온인 |
관학사 당고조용삭 8년시거 동국평해 현 배이씨당정 무공세적 여 | 학사 | 문하시랑 | 학사 | 문하시랑 | 기성군 | 태자검교 |
子乙古을고 장수군 | ||||||
子丙古병고 창원백 |
고려 말이래로 해구의 도적 떼에 밀려 시조공의 분영을 잃어
전하지 못하고, 연고로 평해의 월송 유허지에 단을 모으고,
해마다 10월 중정(中丁)일에는 지위나 신분 여하를 막론하고,
모든 후손들이 모여 제사를 드리니 그 상향 축문에 가로되,
中朝玉佩(중조옥패) 중조의 찬연한 옥패가
桴海而東(부해이동) 물 건너 해맞이 턱에서
克開克昌(극개극창) 활짝 피워 크게 퍼짐에,
萬世爲宗(만세위종) 만만세세 빛을 이으리
하오나, 상고로부터 제단에 위패비도 없었거니와
위토도 없었음에, 숭정 재 갑술(甲戌)(1694)년 10월에,
평해 풍기 청안의 모든 일가의 의논을 일으켜 비를
세우고 그후 기미(己未)년 봄에 다시 종중 의논으로,
재실을 세우고 위토를 장만하여 선단을 수호함에 오늘에 이름이라.
〇고래로 내려오는 단이나 재실이 헐고 기울어, 모든 후손들이 의견을 세워 재산을 모아,
정미(丁未)(1967)년에 재각을 증축하고, 을묘(乙卯)(1975)년에 구 재실을 수리하고,
당년 가을에 기성군 금오공 소윤공 시중공 연 4대위의 제단을 더
설치하였고 그 이듬해 봄에는 선단의 문을 새로이 세워 배향으로서
예로써 행사를 올림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