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부마공묘갈시기사(駙馬公墓碣時記事)
부마공묘갈시기사
공은 즉 태종(太宗)의 신숙옹주 부마였으며 병조판서로 증 영의정
휘 상(象)이오 성은 황(黃)이니 당(唐)나라 학사 휘 낙(洛)의 후손이라,
부의 휘는 희석(希碩) 개국원훈으로 봉 평해군하고 증 우의정
시호 양무요, 조의 휘는 천록(天祿)이니 밀직부사판도판서증영의정이요,
비위는 삼척 박(朴)씨 부정 원우(源祐)의 여로써 봉 신혜택주이며
계비는 정경부인 연안 이(李)씨 형조전서 기형(琪亨)의 여라.
신숙옹주 조세하심에 전주 이(李)씨로 재취니, 인하야 파위(罷尉)되어
선원보에 부재라, 후에 벼슬이 병조판서니라. 태종 9년 문무중시에 사영연을
베품에 공이 본관으로 연석하였음의 기사가 야승에 보이도다.
태조(太祖)께서 함흥에 수유 중 배환으로 갔던 많은 사신이 돌아오지
못함으로 태종(太宗)이 크게 근심하사 태조(太祖)께서 상시 유달리
총애하던 공을 성절진하사로 명하야, 국왕이 친히 백관을 거느리고
혜화문 밖까지 전송해 보내다. 태조(太祖)에게 진하사를 주상함에 인하야
부자자효의 도리와 종묘사직의 안위가 소관되는 일임을
고두출혈로 간절히 간언하니, 태조(太祖)가 또한 손을 잡고
낙누희심하여 환도하기를 결심하고 중외에 선포러니.
함흥에 함께하는 제신들이 간언키를 황(黃)공이 방번(芳蕃) 죽일 것을
선창한 자라 생환시킴이 불가라고 함이나, 태조(太祖)가 양무공과
초매시에 심기상합하야 나라를 세운 친교로 차마 형을 가할 수 없다하야
특별히 문천군수로 봉하였드니 얼마되지 않아 울분으로
관아에서 생을 마치시니 태조(太祖)가 심히 후회하야 영의정을 추증하고
나라의 지관으로 묘지를 가려서 예장으로 특명함이
같은 군 초한사 남면 언덕에 정하다. 그리하여 고을 사람들이 그곳을
황(黃)정승묘골이라 이르다. 까닭에 해월(海月) 선생의
초보서 중 황상(黃象)의 귀폄우 문천하다 함이라.
그후 숙릉(淑陵)을
천봉할 때 공의 묘소가 너무 가까운 고로 국조법도에 따라
천봉 양주코저 남과 오리허에서 돌연 관구가 무거워 움직일 수 없는 고로,
모두 크게 놀라 영전에 위령제를 올리고 이어 지연을
만들어 띄우니 떨어진 곳이 곧 지금의 당우리 갑(甲)좌원으로 안장 봉영하다.
그후 공의 영험이 누차 음현하야 묘하의 최(崔)가 성이 암장한 일이며
또는 방손이 입장한 것을 현몽하야 호되게 꾸짖어 천굴하였으며
또 산하 가까이에 서당을 지었더니
항시로 존영이 격노하사 불일내 철거하였으며
용호대로 지변에 말과 소를 타고 다니는 자가
왕왕 떨어져 상하는 일이 있음에 세상 사람들이 모두 두려워하고
겁이 나서 소나 말을 타고 지나지 못했다는 전설이 지금에도 전하고 있다.
자손이 산거 양주 청안 등지라, 무릇 5세손인 의산(義山)・좌산(佐山)
또는 이거 관북. 관북의 황(黃)씨 또한 그 윗 조상은 공이시며
자손이 번연 산재일극하니, 거리야 멀고 가까움은 고사하고 널리 분포됨이
감회가 무궁함이라. 숙종 경신(庚申)에 7세손이신 패(壩)께서 방어사로
홍원에 재임 3년 중 임술(壬戌)에 비를 개수하였고,
또 그후 27년 부사직 진성(震聖)께서 봉사초 개갈하고, 철종 신유에 후손
경섭(敬燮)과 더불어 청안 제손이 판치 제전하고 재실을 중수니라。
후예손 사흠(思欽) 근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