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임술검교공파보(壬戌檢校公派譜)
壬戌檢校公派譜
족보(族譜)라는 것은 일가(一家)의 역사(歷史)이다. 그 기재(記載)가 불비(不備)하면 문헌(文獻)으로
고증(考證)할 수 없고, 근원(根源)과 분파(分派)가 밝지 못하면 인륜(人倫)의 차서(次序)를 펼칠 수 없는
고로, 무릇 세간(世間)에 성씨(姓氏)와 족속(族屬)이 있는 이는 족보(族譜)를 두지 않는 이가 없고,
효제(孝悌)하는 도리(道理)와 돈목(敦睦)하는 정의(情誼)가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그 옛날에도 오히려 이러하였거늘 하물며 형제장유(兄弟長幼)의 질서(秩序)가
흐려진 이 세대(世代)에는 더욱 중(重)하지 아니하랴.
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의 족보(族譜)는 처음 시작(始作)하기를 금계(錦溪) 선조(先祖)로 부터 비롯하고,
선고(先考)의 만년(晩年) 임인년(壬寅年)에 이루어졌으며,
중간(中間)에 속간(續刊)과 중간(重刊)이 여러 번 있었다.
그러나 평해(平海)로 관향(貫鄕)을 쓰는 자가 전국(全國)에 퍼져 살되, 세대(世代)가 막히고
멀어져서 서로 한낱 길가는 사람처럼 되어 버렸으며, 당시(當時)의
소위(所謂) 대동보(大同譜)라 하나 이 역시 평리공(評理公) 대광공(大匡公) 양파(兩派)에 그치고 말았으며
보사(譜事)가 완비(完備)되지 않았음을 이로 미루어 알 수 있거늘, 지금에도
30년(三十年)의 오랜 세월(歲月)이 지났고, 세태(世態)가 변천(變遷)하고 인물(人物)의 쇠잔하여 없어짐으로
분리(分離)되고 떨어진 이들은 근본(根本)으로라도 올 희망(希望)이 박약하며, 지파(支派) 사람은
먼 조상(祖上)의 근원(根源)을 찾으려 하지 아니하니, 일족(一族)을 합(合)하고 서열(序列)을
분별(分別)하게 함이 대단(大端)히 급(急)하게 되었다. 이런데도 불구(不拘)하고
유여변모(有如弁髦)1)2)
즉 유능(有能)한 사람이나 무능(無能)한 사람이 다 같이 서로 바라보기만 하고
남에게 미루기만 하다가, 장차 몇 사람이 또 몇 가문(家門)이 부지부식(不知不識) 간(間)에
타성(他姓)과 같이 되어 버릴지 모를 일이라. 영래(永來)는 이를 두려워하는 바임으로
근친(近親)들과 묻고 의논(議論)하여 원근(遠近) 각읍(各邑)에서 수단(收單)하도록 하고, 검교공(檢校公) 이하(以下)부터
보계(譜系)를 다루어 일가(一家)의 보첩(譜牒)을 꾸민 것은, 구보(舊譜) 중(中)에 있는 타파(他派)와
소원(疏遠)해져서가 아니라 소식(消息)이 멀고 끊기고 또 대동보사(大同譜事) 일이
막중(莫重)하고 거창함으로 완성(完成)이 쉽지 않음을 두려워함이다.
다음에 내 집 일을 말하고자 하노라. 나의 본 생조(生祖)이신
금간(錦澗)3) 할아버지께서는 불행(不幸)하게
손자(孫子) 대(代)에서 종사(宗嗣)가 끊겨 지금까지 춘추향사(春秋享祀)를 받드는 자가 혈족(血族) 아닌
사람은 없어서 가승(家乘)과 보첩(譜牒)에 올라있는 자가 모두 방계(傍孫)의 항열에 있어서
본가(本家)에서 누대(累代)로 유감으로 여겨오던 중 문경(聞慶) 일가 집에 소목(昭睦)이 미치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의 9세(九世) 이하(以下)를 옮겨서 종손(宗孫)으로 삼았으니
이번 보사를 닦은 의의(意義)가 진실로 여기에 있다 하겠으며 더욱이
예천(醴泉) 상주(尙州) 함창(咸昌) 경산(慶山) 등지(等地)에 산거(散居)하는 종족(宗族)이 많고 가승(家乘)과 문적(文籍)의
고증(考證)과 기록(記錄)의 내력(來歷)이 분명(分明)하여 전자(前者)에 혹 붙었거나 혹 누락된
줄거리가 있으며 또 구보(舊譜) 서문(序文)에 후일을 기다려서 처리(處理)한다는 말이
있는 사람은 곧 합단(合單)하고 붙여서 보계(譜系)를 막았으니 이는 곧
범문정공(范文正公)4)의
말한 바와 같이 내게서 보면 친소(親疏)의 차별(差別)이 있으나 조상(祖上)이 볼 때는
같은 자손(子孫)이라 어찌
또 주저하겠는가? 그러나 10세(十世) 동안을 결정(決定)치 못하고 백년간(百年間)을 신중(慎重)히
다루던 일을 감(敢)히 경솔(輕率)하게 보첩(譜牒)에 편입(編入)한 것은
후일(後日) 지하(地下)에서 조상(祖上)에 대(對)하여 할 말은 있다하더라도 참람하다는
꾸지람을 어찌 면(免)하겠는가?
오호(嗚呼)라! 사람이 누가 성씨(姓氏)와 종족(宗族)이 없으리요마는 족속(族屬)을 모으고
보첩(譜牒)에 올리는 것이 돈목(敦睦)하는 근본(根本)이요, 사람이 누가 친소(親疏)가
없으리요마는 친(親)함을 미루어 소원(疎遠)함에 비치는 것이 윤강(倫綱)을 두텁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니, 우리 종인(宗人)들은 마땅히 조심하고
힘써서 선세(先世)의 남긴 은덕(隱德)이 있음을 생각하고 후세(後世) 자손(子孫)에게 조상(祖上)을
욕되게 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도모하면 나무가지가 번성(繁盛)하여
문호(門戶)가 더욱 융성(隆盛)할 날을 가(可)히 약속(約束)할지니라.
대략(大略) 보사(譜事)가 이루어진 전말(顛末)을 서술(敍述)하여 책(冊)머리에 쓰노니, 후일(後日)에 다시
보첩(譜牒)을 닦는 이가 있으면 내 말에 느낌이 있으리라.
세(歲) 현묵(玄黓) 엄무(閹茂)(=壬戌) 중려월(仲呂月)(=4월) 상한(上澣) 후예손(後裔孫) 영래(永來) 근서(謹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