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0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103 [2025/05/22 13:27] – ssio2 | a-103 [2025/06/01 11:13] (현재) – ssio2 | ||
---|---|---|---|
줄 3: | 줄 3: | ||
<typo ff:' | <typo ff:' | ||
\_錦溪先生行狀\\ | \_錦溪先生行狀\\ | ||
- | 星州牧黃公諱俊良字仲舉平海人高麗時有爲侍中者曰裕中其遠祖也侍中之孫曰 | + | 星州牧黃公諱俊良字仲擧平海人高麗時有爲侍中者曰裕中其遠祖也侍中之孫曰 |
瑾當恭愍朝爲左獻納與正言金續命上疏極論地震之變忤旨謫守沃川後官至寶文 | 瑾當恭愍朝爲左獻納與正言金續命上疏極論地震之變忤旨謫守沃川後官至寶文 | ||
閣提學生諱有定仕\_國朝初爲工曹典書生生員諱鋋是於公爲高祖自典書寓居于 | 閣提學生諱有定仕\_國朝初爲工曹典書生生員諱鋋是於公爲高祖自典書寓居于 | ||
줄 11: | 줄 11: | ||
列丁酉中生員已亥\_庭試直赴會試庚子登乙科第二人及第權知成均館學諭調星 | 列丁酉中生員已亥\_庭試直赴會試庚子登乙科第二人及第權知成均館學諭調星 | ||
州訓導壬寅入學諭癸卯陞學錄兼養賢庫奉事甲辰陞學正乙巳以承文院殿考出爲 | 州訓導壬寅入學諭癸卯陞學錄兼養賢庫奉事甲辰陞學正乙巳以承文院殿考出爲 | ||
- | 尚州敎丁未秋入爲博士其冬例陞典籍明年以工曹佐郞丁外艱庚戌服闋自典籍遷 | + | 尙州敎丁未秋入爲博士其冬例陞典籍明年以工曹佐郞丁外艱庚戌服闋自典籍遷 |
戶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預修\_中宗仁宗兩朝實錄冬轉兵曹佐郞進闢佛疏辛亥 | 戶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預修\_中宗仁宗兩朝實錄冬轉兵曹佐郞進闢佛疏辛亥 | ||
- | 二月命爲慶尚道監軍\_御史換差承文院檢校六月仍爲抽栍\_御史七月遷禮曹佐 | + | 二月命爲慶尙道監軍\_御史換差承文院檢校六月仍爲抽栍\_御史七月遷禮曹佐 |
郞不就九月拜司憲府持平時有姓韓人在言路嘗有求於公不應爲所中論遞公遂爲 | 郞不就九月拜司憲府持平時有姓韓人在言路嘗有求於公不應爲所中論遞公遂爲 | ||
親乞外得新寧縣監丙辰冬病解印歸明年秋\_朝廷以丹陽凋敞特選其任用公爲守 | 親乞外得新寧縣監丙辰冬病解印歸明年秋\_朝廷以丹陽凋敞特選其任用公爲守 | ||
줄 20: | 줄 20: | ||
有風標眉目如畫才調華膽將無施不可旣屈跡于州縣則又不以職務爲卑冗抑首文 | 有風標眉目如畫才調華膽將無施不可旣屈跡于州縣則又不以職務爲卑冗抑首文 | ||
- | 簿盡心民事其在新寧歲值不稔視民之飢若已飢之賑恤得宜民以蘇息前政逋負公 | + | 簿盡心民事其在新寧歲値不稔視民之飢若已飢之賑恤得宜民以蘇息前政逋負公 |
- | 能節縮補填數充則焚其券尤留意學校增新文廟力加勸導又就古縣剏學舍一區扁 | + | 能節縮補塡數充則焚其券尤留意學校增新文廟力加勸導又就古縣剏學舍一區扁 |
爲白鶴書院藏書置田士心興慕丹陽甫下車考視四境則僅餘數十戶盡尫悴顚連者 | 爲白鶴書院藏書置田士心興慕丹陽甫下車考視四境則僅餘數十戶盡尫悴顚連者 | ||
乃詢究積弊之由慨然曰官以民爲本此弊不除吾民無生何以官爲即上疏極言之其 | 乃詢究積弊之由慨然曰官以民爲本此弊不除吾民無生何以官爲即上疏極言之其 | ||
- | 綱一云云其目十云云\_御批獎諭曰無非愛君憂國予甚嘉焉特命限十年蠲貢二十 | + | 綱一云云其目十云云\_御批奬諭曰無非愛君憂國予甚嘉焉特命限十年蠲貢二十 |
餘條非公誠格于天何以得振古所無之\_恩典乎由是丹民鼓舞流亡四集鄕校瀕於 | 餘條非公誠格于天何以得振古所無之\_恩典乎由是丹民鼓舞流亡四集鄕校瀕於 | ||
山澗往往有侵齧之患公命之移建得地于郡治之東村良制美一邑改觀其不以財殫 | 山澗往往有侵齧之患公命之移建得地于郡治之東村良制美一邑改觀其不以財殫 | ||
줄 48: | 줄 48: | ||
爲一時諸公賞識可知矣而公則不汲汲加意於其所己能之技以取榮進之利顧乃回 | 爲一時諸公賞識可知矣而公則不汲汲加意於其所己能之技以取榮進之利顧乃回 | ||
頭轉腦求一世之所不求味衆人之所不味不知非笑之爲非笑禍福之爲禍福俛焉日 | 頭轉腦求一世之所不求味衆人之所不味不知非笑之爲非笑禍福之爲禍福俛焉日 | ||
- | 有孳孳死而後已玆其擇術之正嚮道之勤所以爲可尚也哉公篤於友愛凡有物必先 | + | 有孳孳死而後已玆其擇術之正嚮道之勤所以爲可尙也哉公篤於友愛凡有物必先 |
以奉慈堂分之姊妹弟侄而薄於自取其於鄕黨故舊調窮濟急如恐不及雖或以此得 | 以奉慈堂分之姊妹弟侄而薄於自取其於鄕黨故舊調窮濟急如恐不及雖或以此得 | ||
嫌謗於人不恤也至其身死之曰衾裯不具貸布以斂而衣不充棺然後人又知其淸貧 | 嫌謗於人不恤也至其身死之曰衾裯不具貸布以斂而衣不充棺然後人又知其淸貧 | ||
如此而不矯飾以自表於世也雅好佳山水凡所過所蒞有一名山韻水必招人共討或 | 如此而不矯飾以自表於世也雅好佳山水凡所過所蒞有一名山韻水必招人共討或 | ||
挺身獨往至則俳徊嘯咏竟夕忘歸若丹之島潭龜潭主之以李隱士之蕃恣意遨賞亦 | 挺身獨往至則俳徊嘯咏竟夕忘歸若丹之島潭龜潭主之以李隱士之蕃恣意遨賞亦 | ||
- | 頗尚奇好事尤喜爲氷江雪馬之遊嘗冬月江水正合自中原緣江取路騎雪馬令人前 | + | 頗尙奇好事尤喜爲氷江雪馬之遊嘗冬月江水正合自中原緣江取路騎雪馬令人前 |
繩滑轉以上過李君而達于郡自以爲快適無比其韻致率詣多類此公病久日澌神用 | 繩滑轉以上過李君而達于郡自以爲快適無比其韻致率詣多類此公病久日澌神用 | ||
不爽其將終前一日與滉書告訣辭意淸新與平日無異聞其臨死了了不亂亦如是云 | 不爽其將終前一日與滉書告訣辭意淸新與平日無異聞其臨死了了不亂亦如是云 | ||
娶禮安人察訪李文樑之女無子以弟秀良之子瑍爲嗣以明年甲子正月日葬于郡東 | 娶禮安人察訪李文樑之女無子以弟秀良之子瑍爲嗣以明年甲子正月日葬于郡東 | ||
- | 山内谷坎坐之原先塋之左察訪即聾巖先生之胤初識公於先生之門相與遊從最久 | + | 山內谷坎坐之原先塋之左察訪即聾巖先生之胤初識公於先生之門相與遊從最久 |
且密愚陋無聞得公警發者多公之退歸實有往來修舊之約而公常憂我老病難保豈 | 且密愚陋無聞得公警發者多公之退歸實有往來修舊之約而公常憂我老病難保豈 | ||
料今日老病者在世而反哭君於康彊之年也哉公之言行可記者鄭重而不敢盡獨撮 | 料今日老病者在世而反哭君於康彊之年也哉公之言行可記者鄭重而不敢盡獨撮 | ||
其大者如右庶或他日秉筆者有考而拙訥之文無所發明嗚呼悲夫公所著文集二卷 | 其大者如右庶或他日秉筆者有考而拙訥之文無所發明嗚呼悲夫公所著文集二卷 | ||
詩集二卷藏于家\\ | 詩集二卷藏于家\\ | ||
- | \_\_嘉靖四十二年癸亥十二月日真城李滉謹狀 | + | \_\_嘉靖四十二年癸亥十二月日眞城李滉謹狀 |
</ | </ | ||
</ | </ | ||
\\ | \\ | ||
\_금계선생행장\\ | \_금계선생행장\\ | ||
- | \_성주(星州) 목사(牧師) 황공(黃公)은 휘가 준량(俊良)이며 자(字)는 중거(仲舉)로서 | + | \_성주(星州) 목사(牧師) 황공(黃公)은 휘가 준량(俊良)이며 자(字)는 중거(仲擧)로서 |
평해인(平海人)이다.\\ | 평해인(平海人)이다.\\ | ||
\_고려때 시중(侍中) 벼슬을 한 유중(裕中)이란 이가 있었으니 그가 공의 먼 선조(先祖)가 | \_고려때 시중(侍中) 벼슬을 한 유중(裕中)이란 이가 있었으니 그가 공의 먼 선조(先祖)가 | ||
줄 93: | 줄 93: | ||
들어갔고 | 들어갔고 | ||
계묘년(1543(一五四三))에 학록(學錄)겸 양현고봉사(養賢庫奉事)로 승진하고 갑진년(1544(一五四四))에 | 계묘년(1543(一五四三))에 학록(學錄)겸 양현고봉사(養賢庫奉事)로 승진하고 갑진년(1544(一五四四))에 | ||
- | 학정(學正)으로 승진하고 을사년(1545(一五四五))에 승문원전고(承文院殿考)로 상주교(尚州敎)로 | + | 학정(學正)으로 승진하고 을사년(1545(一五四五))에 승문원전고(承文院殿考)로 상주교(尙州敎)로 |
나갔고, 정미년(1547(一五四七)) 가을에 내직으로 들어와 박사(博士)가 되었다. 그해 겨울에 관례에 | 나갔고, 정미년(1547(一五四七)) 가을에 내직으로 들어와 박사(博士)가 되었다. 그해 겨울에 관례에 | ||
따라 전적(典籍)에 오르고 그 이듬해 공조좌랑(工曹佐郞)으로 있을 때 부친상(父親喪)을 당하 | 따라 전적(典籍)에 오르고 그 이듬해 공조좌랑(工曹佐郞)으로 있을 때 부친상(父親喪)을 당하 | ||
줄 208: | 줄 208: | ||
\_들은 바로는 임종 때에도 정신이 똑똑하여 흐리지 않음이 이와 같았다고 한다.\\ | \_들은 바로는 임종 때에도 정신이 똑똑하여 흐리지 않음이 이와 같았다고 한다.\\ | ||
\_공은 예안인(禮安人) 찰방(察訪) 이문량(李文樑)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아들이 없어 | \_공은 예안인(禮安人) 찰방(察訪) 이문량(李文樑)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아들이 없어 | ||
- | 수량의 아들 지환(之瑍)으로 후사를 삼았다. 이듬해 갑자년(1564(一五六四)) 정월 어느날 고을의 동쪽산 내곡(内谷) 감좌(坎坐)의 언덕 선영(先塋)의 좌편에 장사지냈다. | + | 수량의 아들 지환(之瑍)으로 후사를 삼았다. 이듬해 갑자년(1564(一五六四)) 정월 어느날 고을의 동쪽산 내곡(內谷) 감좌(坎坐)의 언덕 선영(先塋)의 좌편에 장사지냈다. |
찰방은 즉 농암(聾巖)(이현보의 호)선생의 아들이다. 나 황(滉)이 공(公)을 농암선생의 | 찰방은 즉 농암(聾巖)(이현보의 호)선생의 아들이다. 나 황(滉)이 공(公)을 농암선생의 | ||
문하에서 처음으로 | 문하에서 처음으로 |
a-103.17478880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2 13:2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