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2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122 [2025/05/24 08:04] – ssio2 | a-122 [2025/06/27 11:33] (현재) – ssio2 | ||
---|---|---|---|
줄 20: | 줄 20: | ||
</ | </ | ||
- | |始祖黃洛|子 坤离|子 三麻|子 仁君|子 守先|子 甲古|子 溫仁|\\ | + | |始祖黃洛|子 坤离|子 三磨|子 仁君|子 守先|子 甲古|子 溫仁|\\ |
|< | |< | ||
|::: | |::: | ||
줄 36: | 줄 36: | ||
<typo ff:' | <typo ff:' | ||
\_세보 총편(世譜總編)\\ | \_세보 총편(世譜總編)\\ | ||
+ | \\ | ||
**평해군(平海郡)**< | **평해군(平海郡)**< | ||
- | 동쪽으로 영해까지 7(七)리 남쪽으로 경북 영덕군 경계까지 24(二四)리.서쪽으로 경북 영양군 | + | 동쪽으로 영해까지 7(七)리 남쪽으로 경북 영덕군 경계까지 24(二四)리. 서쪽으로 경북 영양군 |
경계까지 51(五一)리 북쪽으로 울진 경계까지 38(三八)리요. 서울과 6백60(六백六○)리 떨어져 있음.</ | 경계까지 51(五一)리 북쪽으로 울진 경계까지 38(三八)리요. 서울과 6백60(六백六○)리 떨어져 있음.</ | ||
- | \_본래 고구려 척을어현(斥乙於縣)인데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평해)으로 바뀌었다. | + | \_본래 고구려 척을어현(斥乙於縣)인데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평해)으로 바뀌었다.\\ |
- | 현종(顯宗) 때에는 예주(禮州)에 속하였고 명종(明宗 2(二)년(서기(西紀) 1172(一一七二))년에는 감무(監務)를 | + | \_현종(顯宗) 때에는 예주(禮州)에 속하였고 명종(明宗) 2(二)년(서기(西紀) 1172(一一七二))년에는 감무(監務)를 |
설치했고 충열왕 때는 이 고을 사람 황서(黃瑞)가 왕(王)을 따라 원(元)나라에 들어간 | 설치했고 충열왕 때는 이 고을 사람 황서(黃瑞)가 왕(王)을 따라 원(元)나라에 들어간 | ||
- | 것으로 인하여 익대공신(翊戴功臣)이 되었으므로 이 현(縣)이 군(郡)으로 승격되었다. | + | 것으로 인하여 익대공신(翊戴功臣)이 되었으므로 이 현(縣)이 군(郡)으로 승격되었다.\\ |
- | 조선조에서 이로 인해 책임 관료 이름을 군수(郡守)로 칭하게 되었다. 군(郡) 이름을 척을 | + | \_조선조에서 이로 인해 책임 관료 이름을 군수(郡守)로 칭하게 되었다. 군(郡) 이름을 척을 |
어(斥乙於)하였으며 또 군 이름을 기성(箕城)이라 하였다.\\ | 어(斥乙於)하였으며 또 군 이름을 기성(箕城)이라 하였다.\\ | ||
\\ | \\ | ||
줄 59: | 줄 60: | ||
되었다. 근세에 와서 함남(咸南)의 이원(利原) 땅 강성우(姜聖宇) 집에 있는 만성보(萬姓譜)를 | 되었다. 근세에 와서 함남(咸南)의 이원(利原) 땅 강성우(姜聖宇) 집에 있는 만성보(萬姓譜)를 | ||
살펴보면 황씨 세계(世系)는 학사공으로부터 금오공(金吾公)(: | 살펴보면 황씨 세계(世系)는 학사공으로부터 금오공(金吾公)(: | ||
- | 성(姓)과 이름(諱)과 관직(官職)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고, 그리고 동쪽으로 배를 타고는 | + | 성(姓)과 이름(諱)과 관직(官職)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고, 그리고 동쪽으로 배를 타고 |
연호 역시 초곡 가첩의 것과 동일하게 적어 놓고 있다.\\ | 연호 역시 초곡 가첩의 것과 동일하게 적어 놓고 있다.\\ | ||
\_대개 한나라에는 학사(學士)라는 칭호는 없고 당나라 조정에서 비로소 있으니 초곡의 | \_대개 한나라에는 학사(學士)라는 칭호는 없고 당나라 조정에서 비로소 있으니 초곡의 | ||
자손 집에 가지고 있는 세첩(世牒)은 강씨 집에 있는 연대(年代)와 또한 서로 일치된다.\\ | 자손 집에 가지고 있는 세첩(世牒)은 강씨 집에 있는 연대(年代)와 또한 서로 일치된다.\\ | ||
\_당나라 조정 때 동국에 살았다는 것은 믿을 만한 사적인 것 같다. | \_당나라 조정 때 동국에 살았다는 것은 믿을 만한 사적인 것 같다. | ||
- | 그러나 중간 세대의 차서(次序)는 즉 학사공(學士公)이 동쪽으로 배를 타고 건너온 때인 | + | 그러나 중간 세대의 차서(次序)는 즉 학사공(學士公)이 동쪽으로 배를 타고 건너 온 때인 |
신라 문무왕 8(八)년부터 문절공(文節公) 고려 충열왕 때까지가 600(六○○)여년이 되니 연대의 | 신라 문무왕 8(八)년부터 문절공(文節公) 고려 충열왕 때까지가 600(六○○)여년이 되니 연대의 | ||
차가 어찌 9세(九世)에 그치고 있겠는가! (9세(九世)면 약 270(二七○)년 인데) 이는 대충 생각해도 신빙성이 없다. 잠시 세대(世代)의 차서(次序)를 기록하여 뒷날 고증의 근거를 삼아보자.\\ | 차가 어찌 9세(九世)에 그치고 있겠는가! (9세(九世)면 약 270(二七○)년 인데) 이는 대충 생각해도 신빙성이 없다. 잠시 세대(世代)의 차서(次序)를 기록하여 뒷날 고증의 근거를 삼아보자.\\ | ||
줄 74: | 줄 75: | ||
\_사세(4세(四世)) 인구(仁君) : 학사\\ | \_사세(4세(四世)) 인구(仁君) : 학사\\ | ||
\_오세(5세(五世)) 수선(守先) : 문하시랑\\ | \_오세(5세(五世)) 수선(守先) : 문하시랑\\ | ||
- | \_육세(6세(六世)) 갑고(甲古)(: | + | \_육세(6세(六世)) 갑고(甲古)(: |
\_칠세(7세(七世)) 온인(溫仁) : 태자검교\\ | \_칠세(7세(七世)) 온인(溫仁) : 태자검교\\ | ||
- | \_고려 말 이래로 바다 도적들이 몰려와서 묘소 (衣履之臧) 역시 잃게 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 + | \_고려 말 이래로 바다 도적들이 몰려와서 묘소(의리지장(衣履之藏)((의리지장(衣履之藏): |
- | \_그런고로 월송(月松) 또는 월송(越松)의 옛터에 단(壇)을 건축하고 매년 10(一〇)월 중순에 여러 자손들이 | + | \_그런고로 월송(月松)(또는 월송(越松))의 옛터에 단(壇)을 건축하고 매년 10(一〇)월 중순에 여러 자손들이 |
- | 함께 모여 제사를 지내고 늘 상향(尚饗)을 한다.\\ | + | 함께 모여 제사를 지내고 늘 상향(尙饗)을 한다.\\ |
\_그때 축문(祝文)에는 「중국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바다에 뗏목을 타고 동으로 와서 능히 | \_그때 축문(祝文)에는 「중국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바다에 뗏목을 타고 동으로 와서 능히 | ||
번창하게 하였으니 만세에 조종(祖宗)이 됨이로세」라고 되어 있다.\\ | 번창하게 하였으니 만세에 조종(祖宗)이 됨이로세」라고 되어 있다.\\ | ||
\_옛날이라 비갈도 없고 재사(齋舍) 전답(祭田)도 없어서 숭정(崇禎) 연호 후 두 번째 | \_옛날이라 비갈도 없고 재사(齋舍) 전답(祭田)도 없어서 숭정(崇禎) 연호 후 두 번째 | ||
갑술년에 청안(淸安)(: | 갑술년에 청안(淸安)(: | ||
- | 후 기미년 봄에 다시 종회(宗會)에서 의논하여 재사(齋舍)를 건립하고 제전(祭田)을 장만 | + | 후 기미년 봄에 다시 종회(宗會)에서 의논하여 재사(齋舍)를 건립하고 제전(祭田)을 |
- | 하여 선조의 단(壇)을 수호하기로 했다.\\ | + | 장만하여 선조의 단(壇)을 수호하기로 했다.\\ |
\_고래(古來)의 단재(壇齋)가 쇠락해져 여러 자손들이 건의하고 성금을 모아 정미년에 재각 | \_고래(古來)의 단재(壇齋)가 쇠락해져 여러 자손들이 건의하고 성금을 모아 정미년에 재각 | ||
(齋閣)을 증축하고 을묘년에 옛날 재사(齋舍)를 다시 수리하였다.\\ | (齋閣)을 증축하고 을묘년에 옛날 재사(齋舍)를 다시 수리하였다.\\ |
a-122.17480414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4 08:0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