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12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123 [2025/05/24 08:29] ssio2a-123 [2025/05/28 07:24] (현재) ssio2
줄 10: 줄 10:
 \_南北往來稀云云則公之子似若七只弟而譜記兄著六昆季恐一人落書分明也或\\ \_南北往來稀云云則公之子似若七只弟而譜記兄著六昆季恐一人落書分明也或\\
 \_曰琄璥以鄕音語訛混稱不分仍以爲一人無乃琄璥各有其人耶然則七人皆在而\\ \_曰琄璥以鄕音語訛混稱不分仍以爲一人無乃琄璥各有其人耶然則七人皆在而\\
-\_但璥之子孫無見處有後無後亦未可據今姑闕疑亦恐厚老之詩泛言侁侁而其\\+\_但璥之子孫無見處有後無後亦未可據今姑闕疑亦恐厚老之詩泛言侁侁而其\\
 \_未易相見之情也耶皆未可知也\\ \_未易相見之情也耶皆未可知也\\
 **黃瑾**\_麗朝登第官至成均館司藝藝文館知製敎○謹按恭愍王朝公爲左獻納與正\\ **黃瑾**\_麗朝登第官至成均館司藝藝文館知製敎○謹按恭愍王朝公爲左獻納與正\\
줄 47: 줄 47:
 \_應敎居榮川有草谷集行於世奉使咸鏡道卒於居山館葬龍仁處仁之林川\\ \_應敎居榮川有草谷集行於世奉使咸鏡道卒於居山館葬龍仁處仁之林川\\
 **黃玎**\_成宗五年甲午式崔灌榜丙科十四人丙午正言退而不仕淸白吏\\ **黃玎**\_成宗五年甲午式崔灌榜丙科十四人丙午正言退而不仕淸白吏\\
-**黃俊良**\_仲擧登 中宗三十五年庚子式金胤鼎榜乙科第二人丹陽郡守星州牧使\\ +**黃俊良**\_仲擧登\_中宗三十五年庚子式金胤鼎榜乙科第二人丹陽郡守星州牧使\\ 
-\_錦溪集行於世<fs:0.75em>補遺書族譜尾詩曰祖先種德毓餘慶名動儒林世有人莫墜傳家詩禮敎篤生江夏踵芳塵</fs>\\+\_錦溪集行於世<fs:0.75em>補遺書族譜尾詩曰祖先種德毓餘慶名動儒林世有人莫墜傳家詩禮敎篤生江夏踵芳塵</fs>((임인검교공파보 편집오류로 추정되어, 대체함))\\
 </fs> </fs>
 </typo> </typo>
 </hidden> </hidden>
 \\ \\
-\_고증\\ +<typo fs:0.8em> 
 +\_**고증**\\ 
 +\\
 **황온인(黃溫仁)**\\ **황온인(黃溫仁)**\\
 \_고려(高麗) 때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를 지냄. 묘(墓)는 전해지지 않음. \_고려(高麗) 때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를 지냄. 묘(墓)는 전해지지 않음.
줄 60: 줄 61:
 모두 온인(溫仁)으로 적혀 있다.\\ 모두 온인(溫仁)으로 적혀 있다.\\
 \_평해군지(平海郡誌)에 역시 溫仁(온인)으로 적어 놓고 있다.\\ \_평해군지(平海郡誌)에 역시 溫仁(온인)으로 적어 놓고 있다.\\
-\_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가 지은 대동옥운(大東玉韻)에 황자(字) 아래 성(姓)의  +\_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가 지은 대동옥운(大東玉韻)에 황(黃) 자(字) 아래 성(姓)의  
-조열(條列)에 여러 황씨(黃氏) 원파(源派)에 쓰여 있기를 여러 황씨 원파에 평해(平海) 황온인+조열(條列)에 쓰여 있기를 여러 황씨 원파에 평해(平海) 황온인
 (黃溫仁)은 고려(高麗) 조정에서 벼슬하여 태자검교(太子檢校)가 되었는데, 그 후손(後孫) (黃溫仁)은 고려(高麗) 조정에서 벼슬하여 태자검교(太子檢校)가 되었는데, 그 후손(後孫)
 시중공(侍中公) 황유중(黃裕中)과 평리공(評理公) 황서(黃瑞)와 전서공(典書公)  시중공(侍中公) 황유중(黃裕中)과 평리공(評理公) 황서(黃瑞)와 전서공(典書公) 
 황태백(黃太白)이 분파(分派) 되어서 비록 한 줄에 있지 않으나 모두 온인(溫仁)의 후손(後孫)들이다.\\ 황태백(黃太白)이 분파(分派) 되어서 비록 한 줄에 있지 않으나 모두 온인(溫仁)의 후손(後孫)들이다.\\
 +\\
 **황원로(黃原老)**\\ **황원로(黃原老)**\\
 \_고려조에 과거에 올랐고 사록참군(司錄叅軍)이 되어 영해부사를 지냈다.\\ \_고려조에 과거에 올랐고 사록참군(司錄叅軍)이 되어 영해부사를 지냈다.\\
줄 77: 줄 78:
 시가 공의 아들이 많다 라고만 말했으니 이는 쉽게 서로 만나 볼 수가 없었다고 한 정(情)을 시가 공의 아들이 많다 라고만 말했으니 이는 쉽게 서로 만나 볼 수가 없었다고 한 정(情)을
 서술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서술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
 **황근(黃瑾)**\\ **황근(黃瑾)**\\
 \_고려조에 과거에 올라 벼슬이 성균관 사예(司藝)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에 \_고려조에 과거에 올라 벼슬이 성균관 사예(司藝)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에
줄 85: 줄 86:
 화엄 신총사(信聰師) 스님의 시를 차운(次韻)하여 「백성의 물에 임금의 배를 실은 것을 화엄 신총사(信聰師) 스님의 시를 차운(次韻)하여 「백성의 물에 임금의 배를 실은 것을
 알고자 하면, 요컨대 충성을 다하고 편안히 노는 것을 경계하노라. 사간원에서 경계가 되는 알고자 하면, 요컨대 충성을 다하고 편안히 노는 것을 경계하노라. 사간원에서 경계가 되는
-직언(石)을 올리지 못하여 귀양 땅에 귀양을 당했으니 근심 할 것 없도다」라고 했다.\\ +직언(약석(藥)((약석지언(藥石之言): 약으로 병을 고치는 것처럼 남의 잘못된 행동을 훈계하여 그것을 고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말.)))을 올리지 못하여 귀양 땅에 귀양을 당했으니 근심 할 것 없도다」라고 했다.\\ 
-\_서거정 선생이 이르기를 「이 시는 신하의 도리와 체통을 다했고 세상 교화에 도움을 준다」+\_서거정((서거정(徐居正): 1420~1488.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 15세기 관학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시인 겸 문장가로 꼽힌다. 호는 사가정(四佳亭).)) 선생이 이르기를 「이 시는 신하의 도리와 체통을 다했고 세상 교화에 도움을 준다」
 라고 했으니 이외의 저술도 볼만한 것이 많을 것이다.\\ 라고 했으니 이외의 저술도 볼만한 것이 많을 것이다.\\
 +\\
 **황유정(黃有定)**\\ **황유정(黃有定)**\\
 \_(주: 1343년 충혜왕 복위 4년 출생, 서거 년도 미상)\\ \_(주: 1343년 충혜왕 복위 4년 출생, 서거 년도 미상)\\
-\_고려조에 과거에 급제하여 한성판윤 공조판서 벼슬에 이르렀다.살펴보건대 공은 +\_고려조에 과거에 급제하여 한성판윤 공조판서 벼슬에 이르렀다. 살펴보건대 공은 
 평해에서 영천(榮川)(: 현재 영주)으로 이사하여 살았다. 혹은 말하기를 황원로가 영천으로  평해에서 영천(榮川)(: 현재 영주)으로 이사하여 살았다. 혹은 말하기를 황원로가 영천으로 
 이사하였다고 하니 누구 말이 맞는지 알지 못하겠다. 공이 군(郡)의 남쪽 초곡리(草谷里)에서 이사하였다고 하니 누구 말이 맞는지 알지 못하겠다. 공이 군(郡)의 남쪽 초곡리(草谷里)에서
-살았는데 군에서 거리가 리쯤 된다. 홍무(洪武) 23(二十三)년 경오년 공양왕 2(二)년(1390(一三九○))에+살았는데 군에서 거리가 5(五)리쯤 된다. 홍무(洪武) 23(二十三)년 경오년 공양왕 2(二)년(1390(一三九○))에
 각도에 명령을 내려서 호적 문서를 이루도록 했다. 영천 관청의 호적 문서에 의하면  각도에 명령을 내려서 호적 문서를 이루도록 했다. 영천 관청의 호적 문서에 의하면 
 황유정은 나이 48(四十八)세 이었고 그때 초계군수 였다. 아들 전(銓)은 28(二十八)세로  황유정은 나이 48(四十八)세 이었고 그때 초계군수 였다. 아들 전(銓)은 28(二十八)세로 
-예빈부(禮賓主簿)였고 아들 현(鉉)은 22(二十二)세로 생원이었고 또 아들 연(鋋)은 나이 11(十一)세라 했다. +예빈부(禮賓主簿)였고 아들 현(鉉)은 22(二十二)세로 생원이었고 또 아들 연(鋋)은 나이 11(十一)세라 했다. 
-판윤은 아마 계미(癸未)년인 원나라 지정 3(三)년 즉 고려 충혜왕 4(四)년(1343(一三四三))에 출생하였다.+판윤은 아마 계미(癸未)년인 원나라 지정 3(三)년 즉 고려 충혜왕 4(四)년(1343(一三四三))에 출생하였다.
 (풍기보에 이르기를 금계선생이 상고한 바라고 했다).\\ (풍기보에 이르기를 금계선생이 상고한 바라고 했다).\\
 \_공은 어려서 부터 노인이 되어서까지 논어 읽기를 좋아하였고 세인들이 칭하기를  \_공은 어려서 부터 노인이 되어서까지 논어 읽기를 좋아하였고 세인들이 칭하기를 
줄 107: 줄 108:
 乘興往尋金氏子 흥을 타고 김씨의 집에 찾아가 보니\\ 乘興往尋金氏子 흥을 타고 김씨의 집에 찾아가 보니\\
 薔薇一朵秀疎籬 한 떨기 장미 울타리에서 빼어났구려\\ 薔薇一朵秀疎籬 한 떨기 장미 울타리에서 빼어났구려\\
-초계의 근관민들이 지금까지도 공의 맑은 덕을 칭송하고 있다. 공의 사람됨이 단정해서+\_초계의 근관민들이 지금까지도 공의 맑은 덕을 칭송하고 있다. 공의 사람됨이 단정해서
 허트러지지 않았다고 그때 사람이 공을 지목하여 미균(米囷)(: 쌀창고)이라고 했다.\\ 허트러지지 않았다고 그때 사람이 공을 지목하여 미균(米囷)(: 쌀창고)이라고 했다.\\
 \_묘가 영천군(현재 영주) 동쪽 20(二十)리 쯤에 있는데 사람들이 그 무덤을 황분토(黃墳土)라고 \_묘가 영천군(현재 영주) 동쪽 20(二十)리 쯤에 있는데 사람들이 그 무덤을 황분토(黃墳土)라고
 하고 그 안에 필히 지석(誌石)이 있을 것이라고 한다.\\ 하고 그 안에 필히 지석(誌石)이 있을 것이라고 한다.\\
 +\\
 **황현(黃鉉)**\\ **황현(黃鉉)**\\
 \_(공민왕 21(二十一)년 (1372(一三七二)) ~ 서거연도 미상)\\ \_(공민왕 21(二十一)년 (1372(一三七二)) ~ 서거연도 미상)\\
줄 119: 줄 120:
 때 을과 제5(五)인으로 급제했고 벼슬이 가선대부 행대사성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지냈고 경서에 때 을과 제5(五)인으로 급제했고 벼슬이 가선대부 행대사성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지냈고 경서에
 밝고 행동이 닦아져서 세상에 칭송되었다.\\ 밝고 행동이 닦아져서 세상에 칭송되었다.\\
 +\\
 **황계하(黃季夏)**\\ **황계하(黃季夏)**\\
 \_세종 32(三十二)년 경오(1450(一四五○)). 권람(權擥)이 시관일 때 급제하여 감찰(監察)직에 이르렀다.\\ \_세종 32(三十二)년 경오(1450(一四五○)). 권람(權擥)이 시관일 때 급제하여 감찰(監察)직에 이르렀다.\\
 +\\
 **황진손(黃震孫)**\\ **황진손(黃震孫)**\\
 \_세조 6(六)년 경진(1460(一四六○)) 별시에 나아가 최경지(崔敬止)가 시관일 때 병과로 제2(二)인에 \_세조 6(六)년 경진(1460(一四六○)) 별시에 나아가 최경지(崔敬止)가 시관일 때 병과로 제2(二)인에
 급제하여 관(官)이 선공정(繕工正)에 이르렀다.\\ 급제하여 관(官)이 선공정(繕工正)에 이르렀다.\\
 +\\
 **황계옥(黃啓沃)**\\ **황계옥(黃啓沃)**\\
-\_(출생년도 미상 ~ 1494(一四九四)년 성종 25(二十五)년 갑인)+\_(출생년도 미상 ~ 1494(一四九四)년 성종 25(二十五)년 갑인)\\
 \_자(字)가 부옹(傅翁)인데 임진년(1472(一四七二) 성종 3(三))에 생원이 되고 성종 8(八)년 정유(1477(一四七七))년 \_자(字)가 부옹(傅翁)인데 임진년(1472(一四七二) 성종 3(三))에 생원이 되고 성종 8(八)년 정유(1477(一四七七))년
 식년 과거에 신계거(辛季琚)가 시관일 때 을과에 제2(二)인으로 급제 계묘(1483(一四八三))에  식년 과거에 신계거(辛季琚)가 시관일 때 을과에 제2(二)인으로 급제 계묘(1483(一四八三))에 
 설경관(說經官)이 되고 응교(應敎) 벼슬에 이르르고 영천에 살았다. 초곡집(草谷集)이 세상에 간행되었다.  설경관(說經官)이 되고 응교(應敎) 벼슬에 이르르고 영천에 살았다. 초곡집(草谷集)이 세상에 간행되었다. 
-함경도에 봉사(奉使)하고 거산관(居山)에서 서거하였다. 용인 처인(處仁)의 임천(林川)에 묻혔다.\\ +함경도에 봉사(奉使)하고 거산관(居山)에서 서거하였다. 용인 처인(處仁)의 임천(林川)에 묻혔다.\\ 
 +\\
 **황정(黃玎)**\\ **황정(黃玎)**\\
 \_성종 5(五)년 갑오(1474(一四七四)) 식년 시관 최관(崔灌) 당시 병과(丙科) 14(十四)인으로 급제하고 \_성종 5(五)년 갑오(1474(一四七四)) 식년 시관 최관(崔灌) 당시 병과(丙科) 14(十四)인으로 급제하고
 병오년(1486(一四八六))에 정언이 되었다가 나중에 관직에서 물러나 청백리가 되었다.\\ 병오년(1486(一四八六))에 정언이 되었다가 나중에 관직에서 물러나 청백리가 되었다.\\
 +\\
 **황준량(黃俊良)**\\ **황준량(黃俊良)**\\
 \_자는 증거(仲擧). 중종 35(三十五)년(1540(一五四○)) 경자 식년 김윤정(金胤鼎) 시관(試官) 때 을과에 제2(二)인으로 급제. 단양 군수 성주 목사를 지냈다. 문집 금계집(錦溪集)이 세상에 간행되어 퍼졌다. \_자는 증거(仲擧). 중종 35(三十五)년(1540(一五四○)) 경자 식년 김윤정(金胤鼎) 시관(試官) 때 을과에 제2(二)인으로 급제. 단양 군수 성주 목사를 지냈다. 문집 금계집(錦溪集)이 세상에 간행되어 퍼졌다.
 +</typo>
 </WRAP> </WRAP>
a-123.17480429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4 08:2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