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0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08 [2025/05/27 16:05] – ssio2 | b-008 [2025/06/01 23:29] (현재) – ssio2 | ||
---|---|---|---|
줄 1: | 줄 1: | ||
===경진대동보서(庚辰大同譜序) (1880년)=== | ===경진대동보서(庚辰大同譜序) (1880년)=== | ||
- | < | + | < |
- | <typo ff:' | + | <typo ff:' |
\_**庚辰大同譜序**\\ | \_**庚辰大同譜序**\\ | ||
譜以著代昭孝也合族修睦也遠者易忘闕而或略則豈孝睦之道也哉吾氏 | 譜以著代昭孝也合族修睦也遠者易忘闕而或略則豈孝睦之道也哉吾氏 | ||
줄 9: | 줄 9: | ||
以檢校評理大匡公第爲兄弟三派其諸漏派之有籍可據者附錄以待他日 | 以檢校評理大匡公第爲兄弟三派其諸漏派之有籍可據者附錄以待他日 | ||
合而一部始克刊行此庚寅之大同譜也其後八十年庚戌我先子紹而修之 | 合而一部始克刊行此庚寅之大同譜也其後八十年庚戌我先子紹而修之 | ||
- | 又得啟沃公派金吾公以下八世信蹟始見則先祖惜無嗣之數雖未識其何 | + | 又得啓沃公派金吾公以下八世信蹟始見則先祖惜無嗣之數雖未識其何 |
由然默會當時之事意必微晦之然者歟盖昔之闕而今存則幸矣但以始合 | 由然默會當時之事意必微晦之然者歟盖昔之闕而今存則幸矣但以始合 | ||
者復分而爲派譜此先子之遺恨也宗議由是不廢申自困敦之歲而遠邇僉 | 者復分而爲派譜此先子之遺恨也宗議由是不廢申自困敦之歲而遠邇僉 | ||
줄 45: | 줄 45: | ||
초고(草槁)를 모아 편집하시었고 해월(海月) 선생(先生)과 남당공(南塘公)도 각각 | 초고(草槁)를 모아 편집하시었고 해월(海月) 선생(先生)과 남당공(南塘公)도 각각 | ||
보첩(譜牒)을 닦은 바가 있었으나 모두 오히려 완성하지는 못했는데 나의 | 보첩(譜牒)을 닦은 바가 있었으나 모두 오히려 완성하지는 못했는데 나의 | ||
- | 고조부(高祖父)이신 산남공(山南公)과 오류공(梧柳公) 형제에 이르러 곧 여러 | + | 고조부(高祖父)이신 산남공(山南公)((윤구(潤九) ))과 오류공(梧柳公)((윤덕(潤德) )) 형제에 이르러 곧 여러 |
구본(舊本)을 근거로 하여 넓게 상고(詳考)하고 자세하게 바로잡아 착오(錯誤)된 | 구본(舊本)을 근거로 하여 넓게 상고(詳考)하고 자세하게 바로잡아 착오(錯誤)된 | ||
것은 정정(訂正)하고 생략된 부분은 보완(補完)하여 검교공(檢校公)과 평리공 | 것은 정정(訂正)하고 생략된 부분은 보완(補完)하여 검교공(檢校公)과 평리공 | ||
줄 53: | 줄 53: | ||
이것이 경인(庚寅)년에 편찬한 대동보(大同譜)이다.\\ | 이것이 경인(庚寅)년에 편찬한 대동보(大同譜)이다.\\ | ||
- | \_그 후 80(八十)년이 지난 경술년에 나의 선인(先人)께서 계속하여 족보를 닦았으며 | + | \_그 후 80(八十)년이 지난 경술년에 나의 선인(先人)((헌주(憲周) ))께서 계속하여 족보를 닦았으며 |
또 계옥공파(啓沃公派)의 금오공(金吾公) 이하로 8세(八世)의 믿을 수 있는 | 또 계옥공파(啓沃公派)의 금오공(金吾公) 이하로 8세(八世)의 믿을 수 있는 | ||
사적(事蹟)을 처음 발견했으니 선조(先祖)께서 후사(後嗣)가 없음을 애석해 하는 | 사적(事蹟)을 처음 발견했으니 선조(先祖)께서 후사(後嗣)가 없음을 애석해 하는 | ||
줄 63: | 줄 63: | ||
선고(先考)께서 유한(遺恨)으로 생각하셨던 것이다.\\ | 선고(先考)께서 유한(遺恨)으로 생각하셨던 것이다.\\ | ||
- | \_종중(宗中)의 의론이 이것으로 말미암아 끊이지 않다가 자년(子年)으로부터 | + | \_종중(宗中)의 의논이 이것으로 말미암아 끊이지 않다가 |
- | 원근의 종친들이 뜻이 동일하여서 대부(大父)이신 범린(範鱗)씨와 재종숙(再從 | + | 원근의 종친들이 뜻이 동일하여서 대부(大父)이신 범린(範鱗)씨와 재종숙(再從叔)이신 |
- | 叔)이신 현주(顯周)씨와 평해(平海)의 종인(宗人)인 정(瀞)씨가 그 일을 주간(主幹)하고 | + | 현주(顯周)씨와 평해(平海)의 종인(宗人)인 정(瀞)씨가 그 일을 주간(主幹)하고 |
유사(有司)를 정하여 단자(單子)를 거두어 들여서 금양(錦陽)에 간역소(刊役 | 유사(有司)를 정하여 단자(單子)를 거두어 들여서 금양(錦陽)에 간역소(刊役 | ||
所)를 설치하여 초판(初版)과 중간판(重刊板)을 모두 여기에서 간행했다.\\ | 所)를 설치하여 초판(初版)과 중간판(重刊板)을 모두 여기에서 간행했다.\\ | ||
줄 74: | 줄 74: | ||
뒤에 족보를 닦을 때에 원보(原譜)에 올리려는 뜻이다.\\ | 뒤에 족보를 닦을 때에 원보(原譜)에 올리려는 뜻이다.\\ | ||
- | \_구보(舊譜)에 범례(凡例)가 있었는데 지금 또 별파(別派)를 세웠다가 다시 | + | \_구보(舊譜)에 범례(凡例)가 있었는데 지금 또 별파(別派)를 세웠다가 다시 |
- | 보(合譜)한 것이다.\\ | + | 합보(合譜)한 것이다.\\ |
\_을묘년에 시작하여 경진년을 거쳐 완성했으니 모두 아홉 권 책이다.\\ | \_을묘년에 시작하여 경진년을 거쳐 완성했으니 모두 아홉 권 책이다.\\ | ||
줄 104: | 줄 104: | ||
말라고 한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 아닌가.\\ | 말라고 한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 아닌가.\\ | ||
- | \_종증(宗中)의 여러분이 내가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종손(宗孫)이라고 하여 이 | + | \_종중(宗中)의 여러분이 내가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종손(宗孫)이라고 하여 이 |
일에 대한 글을 쓰라고 하기에 참람하게 분수에 넘침을 무릅쓰고 몰래 한 말씀을 | 일에 대한 글을 쓰라고 하기에 참람하게 분수에 넘침을 무릅쓰고 몰래 한 말씀을 | ||
부언(附言)하여 선고(先考)의 뒤를 이으니 감(敢)히 서술함이 있음이 아니라 오직 | 부언(附言)하여 선고(先考)의 뒤를 이으니 감(敢)히 서술함이 있음이 아니라 오직 | ||
욕되게 했을까 두렵다. 이윽고 여러 종중(宗中)에 사례하고 또 후세의 | 욕되게 했을까 두렵다. 이윽고 여러 종중(宗中)에 사례하고 또 후세의 | ||
- | 사랑스러운 손자들의 노력을 당부할 따름이다.\\ | + | 사랑스러운 |
\_\_경진년 가을 9(九)월에 후예손 우진(宇鎭)은 삼가 서하다. | \_\_경진년 가을 9(九)월에 후예손 우진(宇鎭)은 삼가 서하다. | ||
</ | </ | ||
</ | </ |
b-008.174832955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7 16:0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