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진대동보서(庚辰大同譜序) (1880년)
경진대동보서
족보(族譜)란 것은 세대(世代)를 나타내는 것이며 효(孝)를 밝히는 것이며
종족(宗族)을 통합(統合)케 하여 목족(睦族)의 의(誼)를 닦는 것이다. 멀리
있으면 잊어버리기 쉬운 것인데 족보에 누락되거나 혹은 기록이 생략(省略)되었다면
어떻게 효(孝)를 밝히며 목족(睦族)의 의(誼)를 닦는 도리라고 하겠는가?
우리 황씨(黃氏)가 학사공(學士公)의 배를 타고 동국(東國)으로 오신 때로부터
대체로 거의 2천(二千)년이 지나서 세계(世系)의 차례와 계파(系派)를 문헌(文獻)에서
고증(考證)할 수 없는 탄식을 면치 못한 것은 족보(族譜)가 전하지 않은 때문
이다.
생각하니 나의 선조이신 금계(錦溪) 선생(先生)께서 처음 족보(族譜)의
초고(草槁)를 모아 편집하시었고 해월(海月) 선생(先生)과 남당공(南塘公)도 각각
보첩(譜牒)을 닦은 바가 있었으나 모두 오히려 완성하지는 못했는데 나의
고조부(高祖父)이신 산남공(山南公)1)과 오류공(梧柳公)2) 형제에 이르러 곧 여러
구본(舊本)을 근거로 하여 넓게 상고(詳考)하고 자세하게 바로잡아 착오(錯誤)된
것은 정정(訂正)하고 생략된 부분은 보완(補完)하여 검교공(檢校公)과 평리공
(評理公)과 대광공(大匡公) 삼형제의 차례로 삼파(三派)를 정하였고, 그러고도
파보(派譜)에 누락되었지만 그 성적(姓籍)을 증거할 수 있는 사람은 부록(附錄)에
올려 후일에 한 책에 합편(合編)하도록 하여 비로소 간행(刊行)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경인(庚寅)년에 편찬한 대동보(大同譜)이다.
그 후 80(八十)년이 지난 경술년에 나의 선인(先人)3)께서 계속하여 족보를 닦았으며
또 계옥공파(啓沃公派)의 금오공(金吾公) 이하로 8세(八世)의 믿을 수 있는
사적(事蹟)을 처음 발견했으니 선조(先祖)께서 후사(後嗣)가 없음을 애석해 하는
탄식이 비록 그 까닭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겠으나 당시의 사정을 가만히 헤아려
보면 반드시 감추어야 할 뜻이 있기 때문에 그러했음이 아니겠는가?
대체로 옛날 족보에 누락되었던 사람이 지금 족보에 올려 있다면 다행이다.
다만 비로소 합보(合譜)를 했던 것을 다시 분리하여 파보(派譜)를 하는 것을
선고(先考)께서 유한(遺恨)으로 생각하셨던 것이다.
종중(宗中)의 의논이 이것으로 말미암아 끊이지 않다가 자년(子年)으로부터
원근의 종친들이 뜻이 동일하여서 대부(大父)이신 범린(範鱗)씨와 재종숙(再從叔)이신
현주(顯周)씨와 평해(平海)의 종인(宗人)인 정(瀞)씨가 그 일을 주간(主幹)하고
유사(有司)를 정하여 단자(單子)를 거두어 들여서 금양(錦陽)에 간역소(刊役
所)를 설치하여 초판(初版)과 중간판(重刊板)을 모두 여기에서 간행했다.
세계(世系)의 차례와 사적을 기록하는 것은 구보(舊譜)의 규정에 따르고
부록(附錄)에 올려있던 파(派)를 원보(原譜)에 올린 것은 선조님의 가르침에 따른
것이며 다시 새로이 족보에 들어 오는 집은 부록(附錄)에 올려 둔 것은 또한
뒤에 족보를 닦을 때에 원보(原譜)에 올리려는 뜻이다.
구보(舊譜)에 범례(凡例)가 있었는데 지금 또 별파(別派)를 세웠다가 다시
합보(合譜)한 것이다.
을묘년에 시작하여 경진년을 거쳐 완성했으니 모두 아홉 권 책이다.
아! 학사공(學士公)이 자손이 당연히 이 정도 뿐만은 아닐 것인데 상세(上世)의
문헌(文獻)이 없어 고증(考證)할 수 없으니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지금 있는 각 파(派)도 여러 도(道)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또 모두 불행하게도
쇄체(衰替)하여 서로 친할 수 없었는데 지금 세대(世代)가 끊어진 집은 이어지고
족보에 누락된 집은 거두어지면 분보(分譜)가 되었다가 합보(合譜)를 하여 완전한
족보가 되었으니 백세(百世)가 한 혈통으로 밝혀지고 천(千)리나 멀리 살아도 한
마을같이 되어 경원(輕遠)하기가 뜬 구름같고 소원(疏遠)하기가 길 가는 행인(行人)같아
막연하게 알 수 없던 사람도 족보로 인하여 소홀하게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이르지 않았으니 우리 족보를 보는 사람은 효도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나며 돈후(敦厚)하고 화목한 증조가 모두에게 일어나서 문운(門運)이
크게 돌아올 것이 또한 장차 여기에서 싹틀 것이니 어찌 다행한 일이 아니겠는가.
옛날 번성하던 때에 선부로(先父老)의 어질고 효도하는 인품(人品)으로도 몇
대(代)를 지내고 몇 년이 쌓였음에도 오히려 그 일의 어려움을 탄식하셨는데
하물며 오늘과 같은 기수(氣數)로서 능히 몇 해만에 이루어냈으니 누구의 수고였던가?
이것은 특별히 조상님이 여러 대(代)에 걸친 정성이 우리 후손들에게 주어진데
연유(緣由)한 것이며 종중(宗中)의 여러 노성(老成)한 분이 부지런히 일을 보는
풍습을 잘 계승한 때문에 이것을 이루어 낸 것임을 또한 가히 볼 수 있다.
시경(詩經)에 말하기를 그 덕(德)을 잘 닦아서 너의 조상(祖上)을 욕되게 하지
말라고 한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 아닌가.
종중(宗中)의 여러분이 내가 금계(錦溪) 선조(先祖)의 종손(宗孫)이라고 하여 이
일에 대한 글을 쓰라고 하기에 참람하게 분수에 넘침을 무릅쓰고 몰래 한 말씀을
부언(附言)하여 선고(先考)의 뒤를 이으니 감(敢)히 서술함이 있음이 아니라 오직
욕되게 했을까 두렵다. 이윽고 여러 종중(宗中)에 사례하고 또 후세의
사랑스러운 후손들의 노력을 당부할 따름이다.
경진년 가을 9(九)월에 후예손 우진(宇鎭)은 삼가 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