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20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20 [2025/05/28 17:50] ssio2b-020 [2025/06/06 17:48] (현재) ssio2
줄 1: 줄 1:
-===문절공파 파보서문(文節公派 派譜序文) (1996년)===+===문절공파 파보 서문(文節公派 派譜序文) (1996년)=== 
 +<WRAP 37em justify>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문절공파 파보 서문(文節公派派譜序文)**\\ 
 +\_정이천(程伊川) 선생(先生)이 말씀하기를 천하(天下)의 인심(人心)을 관섭(管攝) 함에는 종당(宗堂)이 수족(收族)하고  
 +풍속(風俗)을 후(厚)하게 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근본(根本)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으니 
 +계보(系譜)를 닦아 나감이 인륜(人倫)에 관계되는 바는 지대(至大)한 것이다.\\
  
-文節公派派譜序文 +\_우리 황씨(黃氏)가 대장군(大將軍) 상조(上祖)께서 중국(中國)으로부터 도래(渡來)하시어 평해(平海)의 월송(月松) 굴정리(堀井里)에 
-程伊川先生이 말씀하기를 天下의 人心을 관섭(管攝) 함에는 宗堂이 收族하고 風 +정착(定着)하신지 2천유여년(二千有餘年)이라 그 후()에 시조공(始祖公)께서 3자(三子)를 두시어 기성(箕城)과 장수(長水)와 
-俗을 厚하게 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根本을 잊지 않토록 해야 한다고 했으니 +창원(昌原)으로 분적(分籍)되어 내려왔으니 동근지예손(同根之裔孫)임은 문헌(文獻)으로도 고증(考證)되고 있으며 우리 
-系譜를 닦아 나감이 人倫에 관계되는 바는 至大한 것이다. +평해(平海)는 고려조(高麗朝때에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 선조(先祖)를 1세(一世)로 하여 여러 번 수보(修譜)를 하였으니 세계(世系)의 내력(來歷)이 상세(詳細)하고 또 명확(明確)하지 않음은 아니나 세대(世代)가 침원(寢遠)하고 
-우리 黃氏가 大將軍上祖께서 中國으로부터 渡來하시어 平海의 月松 堀井里에 +자성(子姓)이 식번(寔繁)하여 병진년(丙辰年)의 대동수보(大同修譜) 이래(以來)로 이미 20여년(二十餘年)이 경과(經過)하였으니 수보(修譜)를 
-定着하신지 二千有餘年이라 그 後에 始祖公께서 三子를 두시어 箕城과 長水와 +해야 됨은 가장 긴절(緊切)한 사안(事案)이다.\\
-昌原으로 分籍되어 내려왔으니 同根之裔孫임은 文獻으로도 考證되고 있으며 우리 +
-平海는 高麗朝 때에 金吾將軍 太子檢校先祖를 一世로 하여 여러번 修譜를 하 +
-였으니 世系의 來歷이 詳細하고 또 明確하지 않음은 아니나 世代가 寢遠하고 +
-子姓이 寔繁하여 丙辰年의 大同修譜以來로 이미 二十餘年이 經過하였으니 修譜를 +
-해야 됨은 가장 緊切한 事案이다. +
-그러나 禮賓公派는 이미 派譜를 하였으니 大同合譜는 不可能한 일이지만 本源을 +
-推究하고 敦宗毅親의 道理로서는 어떻게 緩晚 할 수 있겠는가 다만 既存의 譜牒에 +
-記錄된 二十三代祖이신 諱 瑞에서 高麗忠烈王朝에 翊戴功臣으로서 金魚黛僉議 +
-評理門下侍中의 벼슬이 除授되고 諡號는 忠節이라고 記錄된 것을 榮州의 世明 +
-族大夫가 四千年文獻通考한 책을 閱覽한 바 文節諡號欄에 登載되어 있어서 族人 +
-允錫과 日錫등 三人이 서울大學校 및 國立圖書館에 가서 関係史料를 確認한 結果+
  
-僉議 朱悦과 左政丞 韓宗愈와 知僉議 黃瑞와 典書 梁思道와 車原類 다섯 분 +\_그러나 예빈공파(禮賓公派)는 미 파보(派譜)를 하였으니 대동합보(大合譜)는 불가능(不可能)한 일이지만 본원(本源)을 
-時에 文節公의 諡號를 받음이 確實하지만 先代에서 發見치 못한 事實을  +추구(推究)하고 돈종의친(敦宗毅親)의 도리(道理)는 어떻게 원만(緩晩) 할 수 있겠는가. 만 기존(旣存)의 보첩(牒)에 
-잡기는 僭濫한 處事인 듯 하나 根據가 分明하니 忠節을 文節로 바로 잡음을 +록(記錄)된 23대조(二十三代祖)신 휘(諱) 서(瑞)에서 려(高麗) 충렬왕조(忠烈王朝)에 익대공신(翊戴功臣)으로서 금어대(金魚黛) 
-譜牒에 詳記되야 할 것이+첨의평리(僉議評理) 문시중(門下侍中)의 벼슬이 제(除授)되고 시호(諡號)는 충절(忠節)고 기록(記錄)된 것을 영주(榮州)의 세명(世明) 
-지난 乙亥年(一九九五초에 榮州의 世明 綠成 두 族丈이 文節公派의 派 +부(族大夫)가 4천년(四千年) 문헌통(文獻通考)한 책을 열람(閱覽)한 바 문절(文節) 시호란(諡號欄)에 등재(登載)되어 있어서 족인(族) 
-닦자는 提案을 하므로 宗會席上에서 내가 말하를 大同譜를 닦은지 二十餘年 +윤석(允錫)과 석(日錫) 등 3인(三人)이 서울대학교(學校) 및 국립도서관(國立圖書館)에 서 관계(関係) 사료(料)를 확인(確認)한 결(結果)
-고 後孫이 各處에 散在고 그 數가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世態가 平穩하지 +
-목하고 倫綱이 頹廢하여 族誼가 疏遠해질까 두렵다고 하니 宗親 모두가 이 때에 +
-修譜함이 마땅하다 하며 同聲相應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各派의 有司를 薦望하여 +
-收單이 뜻로 進行되었다. +
-譜所를 箕城에 定하고 嚴命의 차가운 날씨도 編輯에 힘쓴 任員들의 勞苦가 +
-보람이 있어서 陰 十二月下旬에 正書를 完了하고 印刷에 回附하게 됨에 즈음하여 +
-諸宗이 내가 譜事의 始終을 잘 안다는 事實을 들어 序文을 지으라 하기에 宗事에 +
-關한 일이니 敢히 不文하다는 핑개로 辞避할 수 없어서 大同譜를 한 以後로 있었던 +
-대모한 일 만을 簡略히 記述하는 바이다. +
-嗚呼라 우리 黃氏가 오랜 歷史를 가진 宗族으로서 우리 先祖 중에는 文章德業 +
-仕宦功名이 빛나서 世人의 稱頌을 받는 祖上이 많으니 우리 後孫들은 모름지기+
  
-본 받아야 할 것이다. +첨의(僉議) 주열(朱悅)과 좌정승(左政丞) 한종유(韓愈)와 지첨(知僉議) 황서(黃瑞)와 전서(典書) 양사(梁思道)와 차원류(車原類) 섯 분이 
-무릇 모든 宗親과 後嗣들은 譜牒을 살펴 봄으로서 親相互가 睦族之義를 더욱 +동시(同時)에 문절공(文節公)의 시호(諡號)를 받음이 확실(確實)지만 선대(先代)서 발견(發見)치 못한 사실(事實)을  
-敦篤히 하고 先祖의 遺德에 욕됨이 없록 힘써야 될 것이. 끝으로 今般 譜事에 +잡기는 참람(僭濫)한 처사(處事)인 듯 하나 근거(根據)가 분명(分明)하니 충절(忠節)을 문절(文節)로 로 잡음을 
-八十高齡임도 不拘하고 都有司를 맡아 指揮監督신 世明族大夫의 賢勞에 깊이 +보첩(譜牒)에 상기(詳記)되어야 할 것이다.\\
-感謝드리며 아울러 編輯任員 여러분의 勞苦를 衷心으로 致賀하는 바이다. +
-檀紀四三二九年(一九九六)丙子 孟春節에 後孫德鎭 謹序+
  
 +\_지난 을해년(乙亥年)(1995(一九九五)) 초에 영주(榮州)의 세명(世明) 녹성(綠成) 두 족장(族丈)이 문절공파(文節公派)의 파보(派譜)를
 +닦자는 제안(提案)을 하므로 종회(宗會) 석상(席上)에서 내가 말하기를 대동보(大同譜)를 닦은지 20여년(二十餘年)이
 +되고 후손(後孫)이 각처(各處)에 산재(散在)하고 그 수(數)가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세태(世態)가 평온(平穩)하지
 +못하고 윤강(倫綱)이 퇴폐(頹廢)하여 족의(族誼)가 소원(疏遠)해질까 두렵다고 하니 종친(宗親) 모두가 이 때에
 +수보(修譜)함이 마땅하다 하며 동성상응(同聲相應)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각파(各派)의 유사(有司)를 천망(薦望)하여
 +수단(收單)이 뜻대로 진행(進行)되었다.\\
 +
 +\_보소(譜所)를 기성(箕城)에 정(定)하고 엄동(嚴冬)의 차가운 날씨에도 편집(編輯)에 힘쓴 임원(任員)들의 노고(勞苦)가
 +보람이 있어서 음(陰) 12월(十二月) 하순(下旬)에 정서(正書)를 완료(完了)하고 인쇄(印刷)에 회부(回附)하게 됨에 즈음하여
 +제종인(諸宗人)이 내가 보사(譜事)의 시종(始終)을 잘 안다는 사실(事實)을 들어 서문(序文)을 지으라 하기에 종사(宗事)에
 +관(關)한 일이니 감(敢)히 불문(不文)하다는 핑계로 사피(辭避)할 수 없어서 대동보(大同譜)를 한 이후(以後)로 있었던
 +대로 한 일 만을 간략(簡略)히 기술(記述)하는 바이다.\\
 +
 +\_오호(嗚呼)라 우리 황씨(黃氏)가 오랜 역사(歷史)를 가진 종족(宗族)으로서 우리 선조(先祖) 중에는 문장덕업(文章德業)과
 +사환공명(仕宦功名)이 빛나서 세인(世人)의 칭송(稱頌)을 받는 조상(祖上)이 많으니 우리 후손(後孫)들은 모름지기
 +
 +본 받아야 할 것이다.\\
 +
 +\_무릇 모든 종친(宗親)과 후사(後嗣)들은 보첩(譜牒)을 살펴 봄으로서 종친(宗親) 상호(相互)가 목족지의(睦族之義)를 더욱
 +돈독(敦篤)히 하고 선조(先祖)의 유덕(遺德)에 욕됨이 없도록 힘써야 될 것이다. 끝으로 금반(今般) 보사(譜事)에
 +80(八十) 고령(高齡)임에도 불구(不拘)하고 도유사(都有司)를 맡아 지휘(指揮) 감독(監督)하신 세명(世明) 족대부(族大夫)의 현노(賢勞)에 깊이
 +감사(感謝)드리며 아울러 편집임원(編輯任員) 여러분의 노고(勞苦)를 충심(衷心)으로 치하(致賀)하는 바이다.\\
 +\_\_단기(檀紀) 4329년(四三二九年)(1996(一九九六)) 병자(丙子) 맹춘절(孟春節)에 후손(後孫) 덕진(德鎭) 근서(謹序)
 +</typo>
 +</WRAP>
  
b-020.174842225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8 17:50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