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5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52 [2025/05/29 18:56] ssio2b-052 [2025/05/30 11:03] (현재) ssio2
줄 2: 줄 2:
 <WRAP 37em justify> <WRAP 37em justify>
 <typo ff:'한양해서'; fs:1.2em> <typo ff:'한양해서'; fs:1.2em>
-\_노암공 중신 행장(魯庵公中信行狀)\\+\_**노암공 중신 행장(魯庵公中信行狀)**\\
 \_공(公)의 휘(諱)는 중신(中信)이고 자(字)는 자정(子貞)이며 호(號)는  \_공(公)의 휘(諱)는 중신(中信)이고 자(字)는 자정(子貞)이며 호(號)는 
 노암(魯庵)이다. 한학사(漢學士) 휘(諱) 낙(洛)께서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노암(魯庵)이다. 한학사(漢學士) 휘(諱) 낙(洛)께서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6년(六年)(기원전 52(五二))에 동국(東國) 월송(越松)에 제일 먼저 오시어 살게 되다. 그후+6년(六年)(기원전 52(五二))에 동국(東國) 월송(越松)에 제일 먼저 오시어 살게 되다. 그후
 고려(高麗) 때에 벼슬이 태자검교 금오장군(太子檢校金吾將軍) 휘(諱)  고려(高麗) 때에 벼슬이 태자검교 금오장군(太子檢校金吾將軍) 휘(諱) 
 온인(溫仁)으로부터 1세(一世)로 하여 평해황씨(平海黃氏)라 했다.\\ 온인(溫仁)으로부터 1세(一世)로 하여 평해황씨(平海黃氏)라 했다.\\
  
-\_3세(三世) 휘(諱) 유(裕中)은 문하시중(門下侍中)이고 그 아들 서(瑞)는  +\_3세(三世) 휘(諱) 유(裕中)은 문하시중(門下侍中)이고 그 아들 서(瑞)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인데 시호(諡號)가 문절공(文節公)이으며 그 아들 종량(宗亮)은 +문하시중(門下侍中)인데 시호(諡號)가 문절공(文節公)이으며 그 아들 종량(宗亮)은 
 호부전서(戶部典書)였으며 그 아들 세영(世英)은 예빈시(禮賓寺)의 동정(同正)이고 호부전서(戶部典書)였으며 그 아들 세영(世英)은 예빈시(禮賓寺)의 동정(同正)이고
 그 아들 용기(龍起)는 예빈(禮賓) 정(正)이며 그 아들 길보(吉甫)는 병사(兵使)였다.  그 아들 용기(龍起)는 예빈(禮賓) 정(正)이며 그 아들 길보(吉甫)는 병사(兵使)였다. 
-그 아들 득재(得載)는 현감(縣監)이며 그 아들 옥(玉崇)은 본조(本朝)에 들어와서 +그 아들 득재(得載)는 현감(縣監)이며 그 아들 옥(玉崇)은 본조(本朝)에 들어와서 
 한성판윤(漢城判尹)이다. 그 아들 보곤(輔坤)은 생원(生員)이며 공(公)의  한성판윤(漢城判尹)이다. 그 아들 보곤(輔坤)은 생원(生員)이며 공(公)의 
 고조부(高祖父)가 되신다. 증조(曾祖)의 휘(諱)는 우(瑀)이며 성주목사(星州牧使)였다.  고조부(高祖父)가 되신다. 증조(曾祖)의 휘(諱)는 우(瑀)이며 성주목사(星州牧使)였다. 
줄 28: 줄 28:
 명특하였으며 학문(學文)을 좋아함에 장여헌(張旅軒) 정한강(鄭寒崗)  명특하였으며 학문(學文)을 좋아함에 장여헌(張旅軒) 정한강(鄭寒崗) 
 손묘당(孫墓堂) 문하(門下)에서 부지런히 배워 13~4(十三、四) 나이에 삼경(三經)을 통달(通達)하고 손묘당(孫墓堂) 문하(門下)에서 부지런히 배워 13~4(十三、四) 나이에 삼경(三經)을 통달(通達)하고
-17~8(十七、八) 나이에는 심경근사록(心經近思錄)을 연구(硏究)하여 여러권 창간(創 +17~8(十七、八) 나이에는 심경근사록(心經近思錄)을 연구(硏究)하여 여러권 창간(創刊)하여  
-刊)하여 세상(世上)에 전(傳)하고 <fc #ff0000>재 선생</fc>과 같이 나라를 근심할 정도로 학문(學文)이 +세상(世上)에 전(傳)하고 <fc #ff0000>재 선생</fc>과 같이 나라를 근심할 정도로 학문(學文)이 
 경지(境地)에 이르렀다. 학당(學堂)을 세워 동방이학(東方理學)을 경지(境地)에 이르렀다. 학당(學堂)을 세워 동방이학(東方理學)을
 배워 알았기에 원근(遠近) 선배들이 추앙(推仰)하였다. 광해(光海) 11년(十一年)  배워 알았기에 원근(遠近) 선배들이 추앙(推仰)하였다. 광해(光海) 11년(十一年) 
-무오戊午)(1619(一六一九))에 성균생원(成均生員) 진사과(進士科)에 합격(合格)하니+무오(戊午)(1619(一六一九))에 성균생원(成均生員) 진사과(進士科)에 합격(合格)하니
 유림(儒林)의 선비들이 모두 흠모(欽慕)하였다. 당시 성균관(成均館)에 있을 때 유림(儒林)의 선비들이 모두 흠모(欽慕)하였다. 당시 성균관(成均館)에 있을 때
 영양사림(永陽士林) 수십여명(數十餘名)이 공(公)을 찾아와 영양(永陽)의 도유사(都有司)를  영양사림(永陽士林) 수십여명(數十餘名)이 공(公)을 찾아와 영양(永陽)의 도유사(都有司)를 
-맡아달라하는 간청(懇請)에 사양(辭讓)치 간청(懇請)에 사양(辭讓)치 못하여 관제(館)에+맡아달라하는 간청(懇請)에 사양(辭讓)치 못하여 관제(館)에
 나아가 직무수행(職務隨行)할 때 사림(士林)의 논쟁(論爭)이 많았지만 공(公)의 나아가 직무수행(職務隨行)할 때 사림(士林)의 논쟁(論爭)이 많았지만 공(公)의
 투철(透徹)한 집념(集念)과 성품(性品)으로 좌절(挫折)치 않고 공사(工事)의 투철(透徹)한 집념(集念)과 성품(性品)으로 좌절(挫折)치 않고 공사(工事)의
줄 52: 줄 52:
 세운 업적(業跡)이 영양사난록(永陽四亂錄)과 창의록(倡義錄)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세운 업적(業跡)이 영양사난록(永陽四亂錄)과 창의록(倡義錄)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공(功)은 인조(仁祖) 16년(十六年) 무인(戊寅)(1638(一六三八))에 졸(卒)하니 공(功)은 인조(仁祖) 16년(十六年) 무인(戊寅)(1638(一六三八))에 졸(卒)하니
-향년(享年) 53세(五十三世)였으며 묘(墓)는 영천(永川) 단호동(丹湖洞) 노가곡(魯柯谷) 중봉(中峯) 자좌(子坐)에 배위(配位)와 합폄(合)이다.\\+향년(享年) 53세(五十三世)였으며 묘(墓)는 영천(永川) 단호동(丹湖洞) 노가곡(魯柯谷) 중봉(中峯) 자좌(子坐)에 배위(配位)와 합폄(合)이다.\\
  
 \_배(配) 의인(宜仁) 안동권씨(安東權氏)는 동봉(東峯) 극립(克立)의 따님으로서  \_배(配) 의인(宜仁) 안동권씨(安東權氏)는 동봉(東峯) 극립(克立)의 따님으로서 
 의방(義方)의 교훈(敎訓)과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덕행(德行)이 돈독(敦篤)하여 의방(義方)의 교훈(敎訓)과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덕행(德行)이 돈독(敦篤)하여
 원근(遠近) 고을에서 칭송(稱訟)이 자자했다. 공(功)의 빛난 문헌(文獻)은  원근(遠近) 고을에서 칭송(稱訟)이 자자했다. 공(功)의 빛난 문헌(文獻)은 
- +난시(亂時)에 소실(消失)되었으나 동봉공(東峯公) 장여헌공(張旅軒公)의 문집(文集)에  
-시(亂時)에 소실(消失)되었으나 동봉공(東峯公) 장여헌공(張旅軒公)의 문집(文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영양(永陽) 구읍지(舊邑誌)에도 기록(記錄)되어 
-集)에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영양(永陽) 구읍지(舊邑誌)에도 기록(記錄)되어 +
 있다.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있던 초휘(初諱) 흠(欽) 개명(改名) 연(𨬔)은 있다.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있던 초휘(初諱) 흠(欽) 개명(改名) 연(𨬔)은
 공(公)의 병자호란(丙子胡亂) 시(時)의 공훈(功勳)으로 숙종(肅宗) 6년(六年) 경신(庚申)(1680(一六八〇))에  공(公)의 병자호란(丙子胡亂) 시(時)의 공훈(功勳)으로 숙종(肅宗) 6년(六年) 경신(庚申)(1680(一六八〇))에 
줄 79: 줄 78:
 산천(山川)은 고금(古今)과 다를 바 없이 유유(流流)하옵고 일월(日月)은 빛을 더하는 듯 하와  산천(山川)은 고금(古今)과 다를 바 없이 유유(流流)하옵고 일월(日月)은 빛을 더하는 듯 하와 
 곳곳에 흩어있는 문헌(文獻)을 곳곳에 흩어있는 문헌(文獻)을
-종합(綜合)하여 우(右)와 추니 후일 재 채택키를 바라노라.\\+종합(綜合)하여 우(右)와 추니 후일 재 채택키를 바라노라.\\
 \_\_문소(文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쓰다. \_\_문소(文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쓰다.
 </typo> </typo>
 </WRAP> </WRAP>
b-052.174851260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9 18:5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