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5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b-052 [2025/05/30 11:01] – ssio2 | b-052 [2025/05/30 11:03] (현재) – ssio2 | ||
---|---|---|---|
줄 52: | 줄 52: | ||
세운 업적(業跡)이 영양사난록(永陽四亂錄)과 창의록(倡義錄)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 세운 업적(業跡)이 영양사난록(永陽四亂錄)과 창의록(倡義錄)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 ||
공(功)은 인조(仁祖) 16년(十六年) 무인(戊寅)(1638(一六三八))에 졸(卒)하니 | 공(功)은 인조(仁祖) 16년(十六年) 무인(戊寅)(1638(一六三八))에 졸(卒)하니 | ||
- | 향년(享年) 53세(五十三世)였으며 묘(墓)는 영천(永川) 단호동(丹湖洞) 노가곡(魯柯谷) 중봉(中峯) 자좌(子坐)에 배위(配位)와 합폄(合室)이다.\\ | + | 향년(享年) 53세(五十三世)였으며 묘(墓)는 영천(永川) 단호동(丹湖洞) 노가곡(魯柯谷) 중봉(中峯) 자좌(子坐)에 배위(配位)와 합폄(合窆)이다.\\ |
\_배(配) 의인(宜仁) 안동권씨(安東權氏)는 동봉(東峯) 극립(克立)의 따님으로서 | \_배(配) 의인(宜仁) 안동권씨(安東權氏)는 동봉(東峯) 극립(克立)의 따님으로서 | ||
의방(義方)의 교훈(敎訓)과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덕행(德行)이 돈독(敦篤)하여 | 의방(義方)의 교훈(敎訓)과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덕행(德行)이 돈독(敦篤)하여 | ||
원근(遠近) 고을에서 칭송(稱訟)이 자자했다. 공(功)의 빛난 문헌(文獻)은 | 원근(遠近) 고을에서 칭송(稱訟)이 자자했다. 공(功)의 빛난 문헌(文獻)은 | ||
- | 난 | + | 난시(亂時)에 소실(消失)되었으나 동봉공(東峯公) 장여헌공(張旅軒公)의 문집(文集)에 |
- | 시(亂時)에 소실(消失)되었으나 동봉공(東峯公) 장여헌공(張旅軒公)의 문집(文 | + |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영양(永陽) 구읍지(舊邑誌)에도 기록(記錄)되어 |
- | 集)에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영양(永陽) 구읍지(舊邑誌)에도 기록(記錄)되어 | + | |
있다.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있던 초휘(初諱) 흠(欽) 개명(改名) 연(𨬔)은 | 있다.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으로 있던 초휘(初諱) 흠(欽) 개명(改名) 연(𨬔)은 | ||
공(公)의 병자호란(丙子胡亂) 시(時)의 공훈(功勳)으로 숙종(肅宗) 6년(六年) 경신(庚申)(1680(一六八〇))에 | 공(公)의 병자호란(丙子胡亂) 시(時)의 공훈(功勳)으로 숙종(肅宗) 6년(六年) 경신(庚申)(1680(一六八〇))에 | ||
줄 79: | 줄 78: | ||
산천(山川)은 고금(古今)과 다를 바 없이 유유(流流)하옵고 일월(日月)은 빛을 더하는 듯 하와 | 산천(山川)은 고금(古今)과 다를 바 없이 유유(流流)하옵고 일월(日月)은 빛을 더하는 듯 하와 | ||
곳곳에 흩어있는 문헌(文獻)을 | 곳곳에 흩어있는 문헌(文獻)을 | ||
- | 종합(綜合)하여 우(右)와 | + | 종합(綜合)하여 우(右)와 |
\_\_문소(文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쓰다. | \_\_문소(文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쓰다. | ||
</ | </ | ||
</ | </ |
b-052.174857046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30 11:0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