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5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53 [2025/05/29 06:44] – ssio2 | b-053 [2025/06/07 07:12] (현재) – ssio2 | ||
---|---|---|---|
줄 3: | 줄 3: | ||
<typo ff:' | <typo ff:' | ||
\_**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司諫院竹覽黃公行狀**\\ | \_**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司諫院竹覽黃公行狀**\\ | ||
- | 公諱欽後改鋼字精淑姓黃氏平海人出自中國至後世有諱溫仁高麗金吾 | + | 公諱欽後改𨬔字精淑姓黃氏平海人出自中國至後世有諱溫仁高麗金吾 |
將軍檢校始藉平海至孫諱裕中門下侍中生諱瑞金紫光祿大夫僉議評理 | 將軍檢校始藉平海至孫諱裕中門下侍中生諱瑞金紫光祿大夫僉議評理 | ||
諡文節以翊戴功陞縣爲郡入國朝諱瑀星州牧使曾祖諱應淸世稱大海先 | 諡文節以翊戴功陞縣爲郡入國朝諱瑀星州牧使曾祖諱應淸世稱大海先 | ||
生進士以孝行旌閭\_逸薦除眞寶縣監享明溪書院祖諱居一號明溪贈參 | 生進士以孝行旌閭\_逸薦除眞寶縣監享明溪書院祖諱居一號明溪贈參 | ||
議從兄海月先生推許三珠弟有文學望考諱中信生員海月公曾莅永川公 | 議從兄海月先生推許三珠弟有文學望考諱中信生員海月公曾莅永川公 | ||
- | 陪隨因居焉丙子亂率子鋼赴暘溪鄭好仁陣入永陽四難倡義錄遊旅軒張 | + | 陪隨因居焉丙子亂率子𨬔赴暘溪鄭好仁陣入永陽四難倡義錄遊旅軒張 |
先生門實績載永陽郡誌妣安東權氏東峯諱克立之女配德無違\_萬曆癸 | 先生門實績載永陽郡誌妣安東權氏東峯諱克立之女配德無違\_萬曆癸 | ||
卯生公骨相非凡及就傳讀書才藝居先往來祝庭見聞弘多有可稱焉旣而 | 卯生公骨相非凡及就傳讀書才藝居先往來祝庭見聞弘多有可稱焉旣而 | ||
줄 17: | 줄 17: | ||
歌谷子坐原\_肅廟庚申\_贈資憲大夫吏曹判書盖特贈也配\_贈貞夫人 | 歌谷子坐原\_肅廟庚申\_贈資憲大夫吏曹判書盖特贈也配\_贈貞夫人 | ||
- | 全州崔氏禮曹參判慶九女墓合窆無子取弟鏈之子永河爲嗣進士文科行 | + | 全州崔氏禮曹參判慶九女墓合窆無子取弟鏸之子永河爲嗣進士文科行 |
文義縣監子壽吉進士南行淸州牧使子仁默子學夏子運東運南運成運東 | 文義縣監子壽吉進士南行淸州牧使子仁默子學夏子運東運南運成運東 | ||
子致萬致發運南子致述參奉運成子致進通致餘不錄於乎公禀淸明之氣 | 子致萬致發運南子致述參奉運成子致進通致餘不錄於乎公禀淸明之氣 | ||
줄 24: | 줄 24: | ||
立朝端群僚稱歎於斯可知公平生也文獻雖不免杞宋然於公固何有哉余 | 立朝端群僚稱歎於斯可知公平生也文獻雖不免杞宋然於公固何有哉余 | ||
僑居是郡聞公之風稔矣景仰之餘累登竹覽之亭緬想當日之光華則山不 | 僑居是郡聞公之風稔矣景仰之餘累登竹覽之亭緬想當日之光華則山不 | ||
- | 噸而水不咽草盆香而花增彩矣每徘徊不忍去也公之後孫和錫武錫甫囑 | + | 嚬而水不咽草益香而花增彩矣每徘徊不忍去也公之後孫和錫武錫甫囑 |
不侫以狀行之文人微言輕何敢當是寄屢辭不獲撰次如右以俟秉筆自裁 | 不侫以狀行之文人微言輕何敢當是寄屢辭不獲撰次如右以俟秉筆自裁 | ||
擇焉\\ | 擇焉\\ | ||
줄 33: | 줄 33: | ||
<typo ff:' | <typo ff:' | ||
\_죽람(竹覽) 황연(黃鑽)의 행장(行狀)\\ | \_죽람(竹覽) 황연(黃鑽)의 행장(行狀)\\ | ||
- | 공\_(公)의 휘(諱)는 흠(欽)이었는데 후에 연(𨬔)으로 고쳤으며 자(字)는 | + | \_공(公)의 휘(諱)는 흠(欽)이었는데 후에 연(𨬔)으로 고쳤으며 자(字)는 |
정숙(精淑)이요 성(姓)은 황씨(黃氏)이니 평해황씨(平海黃氏)이다.\\ | 정숙(精淑)이요 성(姓)은 황씨(黃氏)이니 평해황씨(平海黃氏)이다.\\ | ||
줄 41: | 줄 41: | ||
\_손자에 이르러 휘(諱)가 유중(裕中)이요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른 분이 | \_손자에 이르러 휘(諱)가 유중(裕中)이요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른 분이 | ||
- | 휘(諱)서(瑞)를 낳으니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첨의평리(僉議評理)였으며 | + | 휘(諱) 서(瑞)를 낳으니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첨의평리(僉議評理)였으며 |
시호(諡號)가 문절공(文節公)이요 익대공신(翊戴功臣)이었기 때문에 | 시호(諡號)가 문절공(文節公)이요 익대공신(翊戴功臣)이었기 때문에 | ||
평해현(平海縣)을 군(郡)으로 승호(陞號)케 하였다.\\ | 평해현(平海縣)을 군(郡)으로 승호(陞號)케 하였다.\\ | ||
줄 52: | 줄 52: | ||
\_조부(祖父)의 휘(諱)는 거일(居一)이요 호(號)는 명계(明溪)이며 참의(參議) | \_조부(祖父)의 휘(諱)는 거일(居一)이요 호(號)는 명계(明溪)이며 참의(參議) | ||
- | 벼슬에 증직(贈職)되고 종형(從兄)인 해월선생(海月先生)이 세구슬을 가진 동 | + | 벼슬에 증직(贈職)되고 종형(從兄)인 해월선생(海月先生)이 세구슬을 가진 동생으로 |
- | 생으로 추증(推重)하였으며 문학(文學)으로 명망이 있었다.\\ | + | 추중(推重)하였으며 문학(文學)으로 명망이 있었다.\\ |
\_아버지의 휘(諱)는 중신(中信)이니 생원(生員)이었으며 해월공(海月公)이 | \_아버지의 휘(諱)는 중신(中信)이니 생원(生員)이었으며 해월공(海月公)이 | ||
줄 108: | 줄 108: | ||
\_아! 공이 맑고 밝은 기품(氣禀)을 타고 난 데다가 특출한 재주를 더하였으며 | \_아! 공이 맑고 밝은 기품(氣禀)을 타고 난 데다가 특출한 재주를 더하였으며 | ||
안으로는 가정의 유훈(遺訓)을 계승하고 밖으로는 스승의 가르침을 가슴에 잘 | 안으로는 가정의 유훈(遺訓)을 계승하고 밖으로는 스승의 가르침을 가슴에 잘 | ||
- | 간직하였기 때문에 배움을 쌓은 것이 풍부하니 실력을 발휘하면 반드시 적중 | + | 간직하였기 때문에 배움을 쌓은 것이 풍부하니 실력을 발휘하면 반드시 적중(適中)하였다.\\ |
- | (適中)하였다.\\ | + | |
\_일찍이 진사시(進士試)에 뽑혔고 곧 참봉(參奉)의 직첩이 내리는 은전(恩典)이 | \_일찍이 진사시(進士試)에 뽑혔고 곧 참봉(參奉)의 직첩이 내리는 은전(恩典)이 | ||
있었으며 이윽고 문과급제(文科及第)의 반열(班列)에 발탁되어서 홍문관(弘文館)의 | 있었으며 이윽고 문과급제(文科及第)의 반열(班列)에 발탁되어서 홍문관(弘文館)의 | ||
- | 여러 벼슬을 거치는 행보(行歩)가 조정에서도 특출하여 여러 관료(官僚)가 | + | 여러 벼슬을 거치는 행보(行步)가 조정에서도 특출하여 여러 관료(官僚)가 |
칭찬하고 감탄했으니 이것만으로도 공의 평생 이력을 알 수 있다.\\ | 칭찬하고 감탄했으니 이것만으로도 공의 평생 이력을 알 수 있다.\\ | ||
줄 129: | 줄 128: | ||
사람의 취사선택(取捨選擇)을 기다리노라.\\ | 사람의 취사선택(取捨選擇)을 기다리노라.\\ | ||
\_\_문소(聞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짓다.\\ | \_\_문소(聞韶) 김헌주(金獻周) 삼가 짓다.\\ | ||
+ | \\ | ||
+ | <WRAP subnote> | ||
+ | 주1. 정려(旌閭): | ||
- | <typo fs: | + | 주2. |
- | 주1: 정려(旌閭): | + | </WRAP> |
- | 주2: 행직(行職): | + | |
- | </typo> | + | |
</ | </ | ||
</ | </ | ||
b-053.17484686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9 06:4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