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76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76 [2025/06/01 14:27] ssio2b-076 [2025/06/01 14:35] (현재) ssio2
줄 13: 줄 13:
 號明溪\_贈工曹参議曾祖中信號魯庵生員遊鄭寒崗張旅軒兩門有學行 號明溪\_贈工曹参議曾祖中信號魯庵生員遊鄭寒崗張旅軒兩門有學行
 祖𨬔號竹覽生員司諫特\_贈資憲大夫吏曹判書考永河號寶岡進士\_肅 祖𨬔號竹覽生員司諫特\_贈資憲大夫吏曹判書考永河號寶岡進士\_肅
-宗丙戌庭試文科修撰文義縣令淑夫人淸風金氏\_贈右議政溝女噫公+宗丙戌庭試文科修撰文義縣令淑夫人淸風金氏\_贈右議政溝女噫公
 之世已遠文献無傳可不惜哉公有一男仁默通德郞仁默男運東號竹林通 之世已遠文献無傳可不惜哉公有一男仁默通德郞仁默男運東號竹林通
 訓大夫永陵令運南運成運東男致萬致寬致發運南男致述字錫允號丹谷 訓大夫永陵令運南運成運東男致萬致寬致發運南男致述字錫允號丹谷
줄 30: 줄 30:
 \_우리 인조대왕(仁祖大王)의 성세(盛世)에 국가가 융성(隆盛)하니 문장(文章)과 \_우리 인조대왕(仁祖大王)의 성세(盛世)에 국가가 융성(隆盛)하니 문장(文章)과
 달통한 선비가 걸출(傑出)하게 배출(輩出)되었는데 청재(淸齋) 황공(黃公)같은 달통한 선비가 걸출(傑出)하게 배출(輩出)되었는데 청재(淸齋) 황공(黃公)같은
-분도 또한 이름 난 수령(守令)으로 치적(治績)이 지 않았는가.\\+분도 또한 이름 난 수령(守令)으로 치적(治績)이 지 않았는가.\\
  
-\_공(公)의 휘(諱)는 수길(壽吉)이나 처음 휘는 익()이요 자(字)는 중섭(仲涉)이며 +\_공(公)의 휘(諱)는 수길(壽吉)이나 처음 휘는 익()이요 자(字)는 중섭(仲涉)이며 
 호(號)는 청재(淸齋)이니 평해인(平海人)이다.\\ 호(號)는 청재(淸齋)이니 평해인(平海人)이다.\\
  
-\_인조(仁祖)二十一년 계미(癸未) (一六四三)에 출생 하였으니 성품이 어질고 기량(氣量)이 +\_인조(仁祖) 21(二十一)년 계미(癸未) (1643(一六四三))에 출생 하였으니 성품이 어질고 기량(氣量)이 
 넓었으며 학문(學問)과 행의(行義)를 닦아 효도와 우애를 근본으로 넓었으며 학문(學問)과 행의(行義)를 닦아 효도와 우애를 근본으로
-하였으며 일찍이 서울에 유학하여 숙종(肅宗) 一년 을묘(卯) (一六七五)에 진사시(進士試)에 +하였으며 일찍이 서울에 유학하여 숙종(肅宗) 1()년 을묘(卯) (1675(一六七五))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그후 청주목사(淸州牧使)에 재임중 청렴결백(淸廉潔白)한  합격하고 그후 청주목사(淸州牧使)에 재임중 청렴결백(淸廉潔白)한 
 마음으로 백성을 다스리니 그 당시에 칭송되던 명성(名聲)이 세상에  마음으로 백성을 다스리니 그 당시에 칭송되던 명성(名聲)이 세상에 
줄 43: 줄 43:
 관작(官爵)에 신통(神通)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관작(官爵)에 신통(神通)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_숙종(肅宗)三十三년 정해(丁亥)(一七〇七)十一월 二十五일에 졸(卒)하니  +\_숙종(肅宗) 33(三十三)년 정해(丁亥)(1707(一七〇七)) 11(十一)월 25(二十五)일에 졸(卒)하니  
-65(六十五)세의 수(壽)를 누렸으며 선고공(先考 公)의 묘 아래에 예장(禮葬)했다.+65(六十五)세의 수(壽)를 누렸으며 선고공(先考公)의 묘 아래에 예장(禮葬)했다.
 배위(配位)는 숙부인(淑夫人)인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니 청릉군(靑陵君) 모(模)의  배위(配位)는 숙부인(淑夫人)인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니 청릉군(靑陵君) 모(模)의 
-따님이며 갑신년에 출생하여 병술년(一七○六) 三월 초七일에 졸(卒)하니  +따님이며 갑신년에 출생하여 병술년(1706(一七○六)) 3()월 초7()일에 졸(卒)하니  
-63(六十三)세의 수(壽)를 했으며 묘는 공(公)과 쌍분(雙墳)인데 왼쪽에 부장(葬)했다.\\+63(六十三)세의 수(壽)를 했으며 묘는 공(公)과 쌍분(雙墳)인데 왼쪽에 부장(葬)했다.\\
  
 \_황씨(黃氏)의 선대(先代)는 중국의 한(漢)나라 때에 학사공(學士公)이신 낙(洛)이  \_황씨(黃氏)의 선대(先代)는 중국의 한(漢)나라 때에 학사공(學士公)이신 낙(洛)이 
-처음 동극(東國)에 왔으며 고려조(高麗朝)때에 태자검교(太子檢校)+처음 동극(東國)에 왔으며 고려조(高麗朝) 때에 태자검교(太子檢校)
 금오장군(金吾將軍)이었던 온인(溫仁)이 시조(始祖)가 되며 휘(諱) 서(瑞)는 벼슬이  금오장군(金吾將軍)이었던 온인(溫仁)이 시조(始祖)가 되며 휘(諱) 서(瑞)는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첨의평리(僉議評理)였고 시호(諡號)는 문절(文節)이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첨의평리(僉議評理)였고 시호(諡號)는 문절(文節)이며 
줄 64: 줄 64:
 벼슬을 했고 특별히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品階)로 이조판서(吏曹判書)에 벼슬을 했고 특별히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品階)로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贈職)되었으며 아버지는 영하(永河)이니 호(號)는 보강(寶岡)이며 진사(進士)로서  증직(贈職)되었으며 아버지는 영하(永河)이니 호(號)는 보강(寶岡)이며 진사(進士)로서 
-숙종(肅宗) 三十二년 병술(丙戌)(一七○六)에 정시(庭試)의 문과(文科)에 +숙종(肅宗) 32(三十二)년 병술(丙戌)(1706(一七○六))에 정시(庭試)의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 벼슬을 거쳐 문의현령(文義縣令)을 지냈다.  급제하여 수찬(修撰) 벼슬을 거쳐 문의현령(文義縣令)을 지냈다.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인 청풍김씨(淸風金氏)로서 우의정(右議政)에 증직(贈職)된 구(溝)의 따님이다.\\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인 청풍김씨(淸風金氏)로서 우의정(右議政)에 증직(贈職)된 구(溝)의 따님이다.\\
줄 73: 줄 73:
 영릉현령(永陵縣令)을 지냈고 다음은 운남(運南)과 윤성(運成)이다. 영릉현령(永陵縣令)을 지냈고 다음은 운남(運南)과 윤성(運成)이다.
 운동(運東)의 아들은 치만(致萬)과 치관(致寬)과 치발(致發)이며 운남(運南)의 운동(運東)의 아들은 치만(致萬)과 치관(致寬)과 치발(致發)이며 운남(運南)의
-아들은 치술(致述)인데 자(字)는 석윤(錫允)이며 호(號)는 단곡(丹谷)이다.  +아들은 치술(致述)인데 자(字)는 석윤(錫允)이며 호(號)는 단곡(丹谷)이고  
-통덕량(通德郞)의 품계(品階)로 명릉참봉(明陵參奉)에 제수(除授)되다. +통덕량(通德郞)의 품계(品階)로 명릉참봉(明陵參奉)에 제수(除授)되다. 
 운성(運成)의 아들은 치진(致進)이며 치만(致萬)의 아들은 용해(龍海)와 인해(麟海)와 운성(運成)의 아들은 치진(致進)이며 치만(致萬)의 아들은 용해(龍海)와 인해(麟海)와
 학해(鶴海)이고 치관(致寬)의 아들은 붕해(鵬海)와 곤해(鯤海)이며 치발(致發)의  학해(鶴海)이고 치관(致寬)의 아들은 붕해(鵬海)와 곤해(鯤海)이며 치발(致發)의 
줄 80: 줄 80:
 봉해(鳳海)이며 치진(致進)의 아들은 기해(騏海)이고 나머지는 기록하지 않는다. \\ 봉해(鳳海)이며 치진(致進)의 아들은 기해(騏海)이고 나머지는 기록하지 않는다. \\
  
-\_후손(後孫) 만수(萬洙)씨와 두환(斗煥)씨가 여러 친족이 공(公)이 +\_후손(後孫) 만수(萬洙)씨 두환(斗煥)씨와 여러 친족이 공(公)이 
 후세에 남긴 은택(恩澤)이 없어질까 두려워서 세보(世譜)를 가지고 나에게 후세에 남긴 은택(恩澤)이 없어질까 두려워서 세보(世譜)를 가지고 나에게
 와서 말하기를 우리 선조(先祖)님의 묘도(墓道)에 비석(碑石)을 세우려 하니 와서 말하기를 우리 선조(先祖)님의 묘도(墓道)에 비석(碑石)을 세우려 하니
줄 95: 줄 95:
 豊碑有屹 큰 비(碑)를 높이 세웠으니 \\ 豊碑有屹 큰 비(碑)를 높이 세웠으니 \\
 永世光明 영세(永世)토록 밝게 빛나리라.\\ 永世光明 영세(永世)토록 밝게 빛나리라.\\
 +\\
 \_\_을유(乙酉)년 광복된 후 기미(己未)년(1979(一九七九)) 11(十一)월 초하룻날 성균관의 전 \_\_을유(乙酉)년 광복된 후 기미(己未)년(1979(一九七九)) 11(十一)월 초하룻날 성균관의 전
 학(典學) 광주(光州) 노한용(盧漢容) 삼가 짓다. 학(典學) 광주(光州) 노한용(盧漢容) 삼가 짓다.
b-076.174875562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1 14:2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