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8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83 [2025/05/30 09:31] – ssio2 | b-083 [2025/06/01 23:25] (현재) – ssio2 | ||
---|---|---|---|
줄 1: | 줄 1: | ||
===황수범배유인옥천김씨묘갈명(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墓碣銘)=== | ===황수범배유인옥천김씨묘갈명(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墓碣銘)=== | ||
<WRAP 37em justify>< | <WRAP 37em justify>< | ||
- | <typo ff:' | + | <typo ff:' |
\_**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墓碣銘**\\ | \_**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墓碣銘**\\ | ||
憲宗八年辛丑榮川士人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殉其夫同日死之鄕里歎 | 憲宗八年辛丑榮川士人黃壽範配孺人沃川金氏殉其夫同日死之鄕里歎 | ||
曰烈婦也同穴而葬郡南汾浦里泉谷坐良原後百三十年伐石表墓道宣城 | 曰烈婦也同穴而葬郡南汾浦里泉谷坐良原後百三十年伐石表墓道宣城 | ||
金承學摭其事而爲之銘曰烈婦全姓厥籍管城遠祖休溪自靖家榮綿綿十 | 金承學摭其事而爲之銘曰烈婦全姓厥籍管城遠祖休溪自靖家榮綿綿十 | ||
- | 世有諱重諶是取某氏克諧瑟乃生烈婦幼己端莊十四言笄載歸于黃黃系 | + | 世有諱重諶是取某氏克諧瑟乃生烈婦幼己端莊十四言筓載歸于黃黃系 |
- | 箕城大海之裔日諱壽範爲賢夫婿媲德宣家溫柔婦德方膺天祉有雍鳧藻 | + | 箕城大海之裔日諱壽範爲賢夫壻嫓德宣家溫柔婦德方膺天祉有雍鳧藻 |
胡爲夫子猝道劇疾須臾命盡救起無術烈婦一慟更着嫁衣就依屍傍氣絶 | 胡爲夫子猝道劇疾須臾命盡救起無術烈婦一慟更着嫁衣就依屍傍氣絶 | ||
- | 井歸遠通驚嗟曰如其烈飲同其日同穴而均噫彼效烈世多其倫或以矣志 | + | 幷歸遠通驚嗟曰如其烈歛同其日同穴而均噫彼效烈世多其倫或以矣志 |
或以潔身每遇疾風幽闌播馥晏晏殉從全氏所獨時當晟世風勵倫綱卓矣 | 或以潔身每遇疾風幽闌播馥晏晏殉從全氏所獨時當晟世風勵倫綱卓矣 | ||
- | 所辨宣在褒揚無有啓達未蒙蒙旋典淸漸邈海劫屡變霜日貞節聲響况泯 | + | 所辨宣在褒揚無有啓達未蒙蒙旋典淸漸邈海劫屢變霜日貞節聲響況泯 |
化者何預世道之隕爰有子女男爲浩淵一女適人曰永嘉權相俊相杰以及 | 化者何預世道之隕爰有子女男爲浩淵一女適人曰永嘉權相俊相杰以及 | ||
- | 相福次弟三孫餘煩不錄惟曾孫春氣舜其児實是世嫡始璨斯碑誰袖張狀 | + | 相福次弟三孫餘煩不錄惟曾孫春氣舜其兒實是世嫡始璨斯碑誰袖張狀 |
- | 謁以顯銘惟其左右亦有世明煌煌棹楔雖不門間阡塗璀斷可堪特書爲擧 | + | 謁以顯銘惟其左右亦有世明煌煌棹楔雖不門閭阡塗璀斷可堪特書爲擧 |
大者餘不暇詳石久或磨烈永流芳\\ | 大者餘不暇詳石久或磨烈永流芳\\ | ||
\_\_宣城金承學謹撰 | \_\_宣城金承學謹撰 | ||
줄 22: | 줄 22: | ||
<typo ff:' | <typo ff:' | ||
\_**황수범배유인옥천김씨묘갈명 서문과 함께**\\ | \_**황수범배유인옥천김씨묘갈명 서문과 함께**\\ | ||
- | \_헌종(憲宗) 八년(서기 一八四二) 신축에 영주(榮州)의 선비 황수범(黃壽範)의 | + | \_헌종(憲宗) |
- | 배위(配位)인 유인(孺人) 옥천전씨(沃川全氏)가 그 남편이 죽은 날에 자진 | + | 배위(配位)인 유인(孺人) 옥천전씨(沃川全氏)가 그 남편이 죽은 날에 자진(自盡)해 |
- | (自盡)해 죽어 향중 마을 사람들이 열부(烈婦)라고 말하고 같은 묘혈(墓血)에 | + | 죽어 향중 마을 사람들이 열부(烈婦)라고 말하고 같은 묘혈(墓血)에 |
- | 합장(合葬)하였으니 군(郡)의 남쪽 분포리(汾浦里)의 샘골 간좌(艮坐)의 둔덕 | + | 합장(合葬)하였으니 군(郡)의 남쪽 분포리(汾浦里)의 샘골 간좌(艮坐)의 둔덕이다.\\ |
- | 이다.\\ | + | |
- | \_그 후 一百三十년이 지나서 돌을 다음어 묘비(墓碑)를 세우는데 선성(宣城) 김 | + | \_그 후 130(一百三十)년이 지나서 돌을 다음어 묘비(墓碑)를 세우는데 |
- | 승학(金承學)이 그 사실을 모아 묘갈명(墓碣銘)을 말하노니 열부(烈婦)의 성 | + | 선성(宣城) 김승학(金承學)이 그 사실을 모아 묘갈명(墓碣銘)을 말하노니 |
- | 씨(姓氏)는 전씨(全氏)이며 그이 본관(本貫)은 옥천(沃川)이었다.\\ | + | \\ |
- | + | 烈婦全姓 | |
- | \_휴계공(休溪公)이 먼 조상인데 난세(亂世)를 피하여 영주에 살았다.\\ | + | 厥籍管城 |
- | + | 遠祖休溪 | |
- | \_연면(連綿)하게 십세(十世)를 이어내려서 중심(重諶)이란 휘(諱)를 가진 분이 | + | 自靖家榮 |
- | 있었다. 이분이 모씨(某氏)에게 장가들어서 부부(夫婦)의 금실(琴瑟)이 극히 | + | 綿綿十世 |
- | 좋았다.\\ | + | 有諱重諶 |
- | + | 是取某氏 | |
- | \_그러한 가운데 열부(烈婦)를 낳으니 어려서부터 단정하고 장중(莊重)했었다. | + | 克諧瑟\_ |
- | 열네살에 혼인말이 오고 가다가 황씨(黃氏)의 가문에 신행(新行)들었다. | + | 乃生烈婦 |
- | 황씨의 세계(世系)는 평행(平海)가 관향이며 대해공(大海公)의 후예손이 되는 | + | 幼己端莊 그 어려서부터 단정하고 장중(莊重)했었다. |
- | 집이다.\\ | + | 十四言筓 |
- | + | 載歸于黃 | |
- | \_남편의 휘(諱)는 수범(壽範)이었으며 어진 남편 어진 사위가 되었었도다.\\ | + | 黃系箕城 |
- | + | 大海之裔 | |
- | \_덕(德)있는 가문(家門)에 짝이 되어서 온유(溫柔)하게 부도(婦道)를 지켜나갔다 | + | 日諱壽範 |
- | 바야흐로 천복(天福)을 누리어 가며 물오리처럼 다정하게 살아가더니 어찌하여 | + | 爲賢夫壻 |
- | 부군(夫君)이 잘못되어서 갑자기 몹쓸 병에 걸리었는가.\\ | + | 嫓德宣家 |
- | + | 溫柔婦德 | |
- | \_몇날이 안 되어 명(命)을 다하니 살려낼 방술(方術)이 도무지 없네.\\ | + | 方膺天祉 |
- | + | 有雍鳧藻 | |
- | \_열부(烈婦)가 한번 크게 통곡한 뒤에 시집 올 때 입던 옷 다시 입고서 남편의 | + | 胡爲夫子 |
- | 시신(屍身) 곁에 | + | 猝道劇疾 |
- | + | 須臾命盡 | |
- | \_원근에 사는 사람 놀라고 | + | 救起無術 |
- | + | 烈婦一慟 | |
- | \_그 날에 부부(夫婦)함께 염(斂)을 마치고 한 무덤에 합폄(合室)으로 장사지냈네 | + | 更着嫁衣 |
- | 아! 열부(烈婦)를 본받아 행한 사람들 세상에는 그런 무리 많기도 하여 혹은 | + | 就依屍傍 |
- | 뜻으로만 열부가 되기도 하고 혹은 그 순결(純潔)을 지켜나가도 매양 질풍(疾 | + | 氣絶井歸 |
- | 風)같은 때를 만나면 그윽한 난초(蘭草)처럼 향기 피우지만 화평한 마음으로 | + | 遠通驚嗟 |
- | 따라 죽은 사람은 전씨(全氏)만이 그 일을 홀로 해냈다.\\ | + | 曰如其烈 |
- | + | 飮同其日 | |
- | \_태평한 성세(盛世)를 만났더라면 윤강(倫綱)을 장려하는 교회(敎化)로 삼아 그가 | + | 同穴而均 |
- | 단행(斷行)한 높은 정절(貞節)은 마땅히 포양(褒揚)함이 있을 것이나 상달(上 | + | 噫彼效烈 |
- | 達)하여 아뢰올 길이 없어서 정려(旌閭)의 은전(恩典)을 입지 못했다.\\ | + | 世多其倫 |
- | + | 或以矣志 | |
- | \_국운(國運)이 돌아올 희망 점점 멀어져 상전(桑田)이 벽해(碧海)가 여러번 | + | 或以潔身 |
- | 되었네.\\ | + | 每遇疾風 |
- | + | 幽闌播馥 | |
- | \_추상(秋霜)과 백일(白日)같은 그 정절도 소리의 울림이 없어져 가니 죽은 | + | 晏晏殉從 |
- | 사람이야 어찌 관계 하랴만 세상의 정도(正道)가 떨어짐일세.\\ | + | 全氏所獨 |
- | + | 時當晟世 | |
- | \_이 분들도 아들과 딸이 있으니 아들의 이름은 호연(浩淵)이었고 시집간 한 사람 | + | 風勵倫綱 |
- | 딸이 있으니 안동권씨(安東權氏) 가문의 며느리 됐네.\\ | + | 卓矣所辨 |
- | + | 宣在褒揚 | |
- | \_상준(相俊)과 상걸(相杰)이 차례로 나고 그 다음의 이름은 상복(相福)이었다.\\ | + | 無有啓達 |
- | + | 未蒙蒙旋 | |
- | \_차례대로 손자가 세 사람 있고 나머지는 번거로와 기록 않는다.\\ | + | 典淸漸邈 |
- | + | 海劫屢變 | |
- | \_오직 증손지(曾孫子)에 춘(春)이 있으며 기순(基舜)은 그 사람의 아들이온데 | + | 霜日貞節 |
- | 실제로 이 사람이 적사손(適嗣孫)으로 이 비(碑)를 비로소 다듬게 했다.\\ | + | 聲響況泯 |
- | + | 化者何預 | |
- | \_누가 있어 나에게 행장(行狀) 보내어 묘갈명(墓碣銘)을 지어 달라 청을 했는가.\\ | + | 世道之隕 |
- | + | 爰有子女 | |
- | \_오직 그들의 좌우(左右)에 있는 사람 또한 세명(世明)씨가 거기에 있다.\\ | + | 男爲浩淵 |
- | + | 一女適人 | |
- | \_빛나는 정려문(旌閭門)이 내리어져서 비록 문 거리에 세우지는 못해도 무덤 길에 | + | 曰永嘉權 |
- | 큰 비석 세워 놓으니 특서(特書)의 큰 글자를 실을 만 하네.\\ | + | 相俊相杰 |
- | + | 以及相福 | |
- | \_큰 줄거리만 들어서 비명(碑銘)을 하고 나머지는 자세하게 기록 못한다.\\ | + | 次弟三孫 |
- | + | 餘煩不錄 | |
- | \_비석(碑石)은 오래되면 마멸(磨滅)될 수 있어도 열부(烈婦)의 꽃다운 이름 영 | + | 惟曾孫春 |
- | 원하리라.\\ | + | 氣舜其兒 |
+ | 實是世嫡 | ||
+ | 始璨斯碑 | ||
+ | 誰袖張狀 | ||
+ | 謁以顯銘 | ||
+ | 惟其左右 | ||
+ | 亦有世明 | ||
+ | 煌煌棹楔 | ||
+ | 雖不門間 | ||
+ | 阡塗璀斷 | ||
+ | 可堪特書 | ||
+ | 爲擧大者 | ||
+ | 餘不暇詳 | ||
+ | 石久或磨 | ||
+ | 烈永流芳 | ||
+ | \\ | ||
\_\_선성(宣城) 김승학(金承學) 삼가 짓다. | \_\_선성(宣城) 김승학(金承學) 삼가 짓다. | ||
</ | </ | ||
</ | </ |
b-083.174856507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30 09:3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