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9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94 [2025/06/03 16:28] – ssio2 | b-094 [2025/06/07 07:09] (현재) – ssio2 | ||
---|---|---|---|
줄 19: | 줄 19: | ||
傾槖而救之如遇心人尋訪也鷄忝之供壺觴之備必盡情寬洽性素簡然甞 | 傾槖而救之如遇心人尋訪也鷄忝之供壺觴之備必盡情寬洽性素簡然甞 | ||
掩人之過不攻人之惡如有乖戾者密諭潜規使之自改化及里卷居第之𠉱 | 掩人之過不攻人之惡如有乖戾者密諭潜規使之自改化及里卷居第之𠉱 | ||
- | 縛数椽芳屋署以華隱案峠經史庭植花卉爲消苦欝喚幽禽文句如湛甘泉 | + | 縛數椽芳屋署以華隱案峠經史庭植花卉爲消苦欝喚幽禽文句如湛甘泉 |
之所樂視京華軟塵如空雲流水訓誨子孫主以謙恭是皆法衆乎莊嶽之間 | 之所樂視京華軟塵如空雲流水訓誨子孫主以謙恭是皆法衆乎莊嶽之間 | ||
而深諦乎尼聖之訓也以大耊陞僉樞榮耀山門鶴髮重望之若地上仙官壬 | 而深諦乎尼聖之訓也以大耊陞僉樞榮耀山門鶴髮重望之若地上仙官壬 | ||
줄 28: | 줄 28: | ||
道金景灝海嗣男㙫得男< | 道金景灝海嗣男㙫得男< | ||
五出瑨男尙五餘不錄遂爲之\_銘曰海山淸淑篤生賢碩薰灸月翁唯諾蘇 | 五出瑨男尙五餘不錄遂爲之\_銘曰海山淸淑篤生賢碩薰灸月翁唯諾蘇 | ||
- | 塾三省之本五敎之目升沈關数梁<fc # | + | 塾三省之本五敎之目升沈關數梁<fc # |
綠玉優哉游哉外何樂黃山之麓有崇四尺龜伏螭行山川動色君子攸藏過 | 綠玉優哉游哉外何樂黃山之麓有崇四尺龜伏螭行山川動色君子攸藏過 | ||
者咸式\\ | 者咸式\\ | ||
줄 42: | 줄 42: | ||
\\ | \\ | ||
<typo ff:' | <typo ff:' | ||
- | \_**통정대부(通政大夫)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호(號)화은 | + | \_**통정대부(通政大夫)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호(號) 화은(華隱) |
- | (華隱) 평해황공(平海黃公) 중식(中寔)의 묘갈명(墓碣銘)**\\ | + | 평해황공(平海黃公) 중식(中寔)의 묘갈명(墓碣銘)**\\ |
\_옛날 명종(明宗)과 선조(宣祖)임금 때에 대해(大海) 해월(海月) 두 선생이 | \_옛날 명종(明宗)과 선조(宣祖)임금 때에 대해(大海) 해월(海月) 두 선생이 | ||
해변지방에서 일어나시어 학덕(學德)과 풍절(風節)이 남쪽 선비들 늪에서는 | 해변지방에서 일어나시어 학덕(學德)과 풍절(風節)이 남쪽 선비들 늪에서는 | ||
줄 60: | 줄 60: | ||
그 묘갈명(墓碣銘)을 지어 주십시요 하기에 생각해보니 나이도 늙고 기력(氣力)도 | 그 묘갈명(墓碣銘)을 지어 주십시요 하기에 생각해보니 나이도 늙고 기력(氣力)도 | ||
쇠해져서 감히 이 일을 감당할 수 없을 듯하지만 돌이켜 생각하니 | 쇠해져서 감히 이 일을 감당할 수 없을 듯하지만 돌이켜 생각하니 | ||
- | 세의(世誼)가 두터운 처지(處士)로서 또한 감히 사양치 못하고 삼가 가지고 온 | + | 세의(世誼)가 두터운 처지(處地)로서 또한 감히 사양치 못하고 삼가 가지고 온 |
가장(家狀)을 상고하여 서술(敍述)하기를 \\ | 가장(家狀)을 상고하여 서술(敍述)하기를 \\ | ||
줄 87: | 줄 87: | ||
제물(祭物)을 별처(別處)에 감추어 두고 혼용(混用)하는 일이 없게 했으며 더욱이 | 제물(祭物)을 별처(別處)에 감추어 두고 혼용(混用)하는 일이 없게 했으며 더욱이 | ||
부자형제(父子兄弟)의 친의(親誼)에 돈독하여 침식(寢食)을 항상 함께 하고 | 부자형제(父子兄弟)의 친의(親誼)에 돈독하여 침식(寢食)을 항상 함께 하고 | ||
- | 고난(苦難)을 겪을 때에는 함께 겪으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속수공(涞水公)의 | + | 고난(苦難)을 겪을 때에는 함께 겪으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속수공(涑水公)의 |
가법(家法)이라고 했다.\\ | 가법(家法)이라고 했다.\\ | ||
줄 113: | 줄 113: | ||
향년이 78(七十八)세였는데 군(郡)의 서쪽 황산곡(黃山谷)의 곤향(坤向) | 향년이 78(七十八)세였는데 군(郡)의 서쪽 황산곡(黃山谷)의 곤향(坤向) | ||
둔덕에 한 달만에 예장(禮葬)했으며 배위(配位)는 숙부인(淑夫人)인 | 둔덕에 한 달만에 예장(禮葬)했으며 배위(配位)는 숙부인(淑夫人)인 | ||
- | 순흥안씨(順興安氏)이니 여정(汝静)의 따님이며 양곡(陽谷)의 임좌(壬坐) 둔덕에 묘를 썼다.\\ | + | 순흥안씨(順興安氏)이니 여정(汝靜)의 따님이며 양곡(陽谷)의 임좌(壬坐) 둔덕에 묘를 썼다.\\ |
\_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두었으니 아들은 석건(石建)이며 딸은 이예(李藝)에게 | \_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두었으니 아들은 석건(石建)이며 딸은 이예(李藝)에게 | ||
줄 140: | 줄 140: | ||
三省之本 일성오신(日省吾身)< | 三省之本 일성오신(日省吾身)< | ||
五敎之目 오륜(五倫)의 덕목을 지켜나갔다.\\ | 五敎之目 오륜(五倫)의 덕목을 지켜나갔다.\\ | ||
- | 升沈關数 흥망(興亡)은 운수(運數)에 관계되나니 \\ | + | 升沈關數 흥망(興亡)은 운수(運數)에 관계되나니 \\ |
梁<fc # | 梁<fc # | ||
安之若素 타고난 천성(天性)으로 살아 왔으니 \\ | 安之若素 타고난 천성(天性)으로 살아 왔으니 \\ | ||
줄 155: | 줄 155: | ||
過者咸式 지나가는 사람들아 모두 본받아라.\\ | 過者咸式 지나가는 사람들아 모두 본받아라.\\ | ||
\\ | \\ | ||
- | \_\_임오(壬五)년 10(十)월 상순에 한양조씨(漢陽趙氏)의 후예 조헌기(趙獻其) 삼가 짓다\\ | + | \_\_임오(壬午)년 10(十)월 상순에 한양조씨(漢陽趙氏)의 후예 조헌기(趙獻其) 삼가 짓다\\ |
\_\_12(十二)세손 진학(鎭鶴) 개갈(改碣)했고\\ | \_\_12(十二)세손 진학(鎭鶴) 개갈(改碣)했고\\ | ||
\_\_11(十一)세손 경곤(景坤) 삼가 쓰다\\ | \_\_11(十一)세손 경곤(景坤) 삼가 쓰다\\ | ||
\\ | \\ | ||
- | 주1. 나은(羅隱): | + | <WRAP subnote> |
+ | 주1. 나은(羅隱): | ||
주2. 감천궁(甘泉宮): | 주2. 감천궁(甘泉宮): | ||
+ | |||
주3. 장악(莊嶽): | 주3. 장악(莊嶽): | ||
+ | |||
주4. 일성오신(日省吾身): | 주4. 일성오신(日省吾身): | ||
+ | </ | ||
</ | </ | ||
</ | </ |
b-094.174893571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3 16:2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