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11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112 [2025/06/01 07:44] ssio2b-112 [2025/06/07 07:15] (현재) ssio2
줄 6: 줄 6:
 愜化萬邦이라하니 以親九族之道는 可爲生民之肇由源而究其源之所發者則尊其宗而敬其宗하고  愜化萬邦이라하니 以親九族之道는 可爲生民之肇由源而究其源之所發者則尊其宗而敬其宗하고 
 敬其宗而睦其支하야 和合이 若親兄弟之友愛하리니  敬其宗而睦其支하야 和合이 若親兄弟之友愛하리니 
-盖如是之道는 莫右於合族而修譜也斗 合族而修譜則自肇祖以後로 +盖如是之道는 莫右於合族而修譜也라 合族而修譜則自肇祖以後로 
 世代之史籍과 派系之來歷이 瞭然乎心自之間하야 孝悌之誠과 敦睦之義가  世代之史籍과 派系之來歷이 瞭然乎心自之間하야 孝悌之誠과 敦睦之義가 
 自然感發에 無所事以不相議相確하야 憂樂與同하고  自然感發에 無所事以不相議相確하야 憂樂與同하고 
줄 12: 줄 12:
 疎遠이 如吳蜀하니 恨甚久矣라 幸今輪文發議하야 修單各處則戶數와  疎遠이 如吳蜀하니 恨甚久矣라 幸今輪文發議하야 修單各處則戶數와 
 與冠童之衆이 可以爲吾韓之巨族이라 噫라 昔我學士公이  與冠童之衆이 可以爲吾韓之巨族이라 噫라 昔我學士公이 
-肇其於平海하야 種德遠에 子姓이 繁衍盛大하고 簪纓이 相繼輝暎하고  +肇其於平海하야 種德遠에 子姓이 繁衍盛大하고 簪纓이 相繼輝暎하고  
-又如吾祖錦溪與夫海月堂二先生文章道學이 最著而照耀則信知靈芝之根과  +又如吾祖錦溪與夫海月堂二先生文章道學이 最著而照則信知靈芝之根과  
-醴源之理不尋常者也斗宗中僉父老使此蔑劣로 掌其財而圖其役하니 +醴源之理不尋常者也라 斗宗中僉父老使此蔑劣로 掌其財而圖其役하니 
 責莫重焉이요 又命識底尾而敍其實하니 恐莫甚矣라  責莫重焉이요 又命識底尾而敍其實하니 恐莫甚矣라 
-將何以克其始終하야 以塞父老縫之義也리요 妄草數行하야 +將何以克其始終하야 以塞父老縫之義也리요 妄草數行하야 
 警之爲不匱花樹之誼者는 徒在乎譜事成不成如何矣라  警之爲不匱花樹之誼者는 徒在乎譜事成不成如何矣라 
-可可不勉哉아\\+懼哉며 可不勉哉아\\
 \_\_歲丙辰菊秋下澣裔孫永宗謹跋 \_\_歲丙辰菊秋下澣裔孫永宗謹跋
 </typo> </typo>
줄 26: 줄 26:
 \_**평해황씨(平海黃氏)의 세보(世譜)를 병진년(丙辰年)에 중간(重刊)할 때의 발문(跋文)**\\ \_**평해황씨(平海黃氏)의 세보(世譜)를 병진년(丙辰年)에 중간(重刊)할 때의 발문(跋文)**\\
 \_무릇 아득한 상고(上古) 때 성인(聖人)의 치세(治世)에도 구족(九族)<sup>주1</sup>이 친한 \_무릇 아득한 상고(上古) 때 성인(聖人)의 치세(治世)에도 구족(九族)<sup>주1</sup>이 친한
-연후에 백성(百姓)이 화목할 수 있고 백성이 화목한 연후에 세계만(世界萬國)이+연후에 백성(百姓)이 화목할 수 있고 백성이 화목한 연후에 세계만(世界萬國)이
 만족하게 동화(同化)할 수 있다고 했으니 구족(九族)이 친할 수 있는 도리는 만족하게 동화(同化)할 수 있다고 했으니 구족(九族)이 친할 수 있는 도리는
 가히 생민(生民)이 있을 수 있는 시초(始初)의 근원이니 그 근원의 시발(始發)을 가히 생민(生民)이 있을 수 있는 시초(始初)의 근원이니 그 근원의 시발(始發)을
줄 56: 줄 56:
 나오는 물의 근원(根源)이 심상(尋常)한 것이 아님을 알지라.\\ 나오는 물의 근원(根源)이 심상(尋常)한 것이 아님을 알지라.\\
  
-\_종(宗中)의 여러 연로(年老)하신 어른들이 용렬한 나로 하여금 세보간(世譜重刊)의 +\_종(宗中)의 여러 연로(年老)하신 어른들이 용렬한 나로 하여금 세보간(世譜重刊)의 
 재무(財務)를 담당케 하고 그 일의 추진을 계획하라 하시니 책임이 재무(財務)를 담당케 하고 그 일의 추진을 계획하라 하시니 책임이
 막중하고 또 발문(跋文)을 지어 사실(事實)을 서술(敍述)하라 명하시니 황공하기 막중하고 또 발문(跋文)을 지어 사실(事實)을 서술(敍述)하라 명하시니 황공하기
줄 70: 줄 70:
 \_\_병진년 9(九)월 하순에 후예손(後裔孫) 영종(永宗) 삼가 발문(跋文)하다.\\ \_\_병진년 9(九)월 하순에 후예손(後裔孫) 영종(永宗) 삼가 발문(跋文)하다.\\
 \\ \\
 +<WRAP subnote>
 주1. 구족(九族): 고조(高祖), 증조(祖曾), 조(祖), 부(父), 자기(自己), 아들, 손자, 증손, 현손 까지의 직계(直系) 친(親)을 중심(中心)으로 고조(高祖)의 대손(代孫)되는 형제(兄弟), 종형제(從兄弟), 재종형제(再從兄弟), 3종형제(三從兄弟)를 포함한 동종(同宗) 친족(親族)을 일컬음.\\ 주1. 구족(九族): 고조(高祖), 증조(祖曾), 조(祖), 부(父), 자기(自己), 아들, 손자, 증손, 현손 까지의 직계(直系) 친(親)을 중심(中心)으로 고조(高祖)의 대손(代孫)되는 형제(兄弟), 종형제(從兄弟), 재종형제(再從兄弟), 3종형제(三從兄弟)를 포함한 동종(同宗) 친족(親族)을 일컬음.\\
 +
 주2. 관동(冠童): 어른과 아이 남자(男子)의 인원(人員)\\ 주2. 관동(冠童): 어른과 아이 남자(男子)의 인원(人員)\\
 +
 주3. 예천(醴泉): 중국(中國) 산동성(山東省) 추평현(鄒平縣)에 있는 샘 이름 주3. 예천(醴泉): 중국(中國) 산동성(山東省) 추평현(鄒平縣)에 있는 샘 이름
 +</WRAP>
 </typo> </typo>
 </WRAP> </WRAP>
  
  
b-112.17487314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1 07:4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