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116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b-116 [2025/06/04 09:45] ssio2b-116 [2025/06/07 07:08] (현재) ssio2
줄 205: 줄 205:
 \_\_인동후인(仁同後人) 장건덕(張建德) 삼가 짓다.\\ \_\_인동후인(仁同後人) 장건덕(張建德) 삼가 짓다.\\
 \\ \\
 +<WRAP subnote>
 주1. 책문(策問): 과거(科擧) 시험에서 시무(時務)에 관하여 시문(詩問)하는 일\\ 주1. 책문(策問): 과거(科擧) 시험에서 시무(時務)에 관하여 시문(詩問)하는 일\\
 +
 주2. 대책(對策): 책문(策問)에 대한 대답서(對答書)(과거에 응시함)\\ 주2. 대책(對策): 책문(策問)에 대한 대답서(對答書)(과거에 응시함)\\
 +
 주3. 유일(遺逸): 세상을 숨어 살며 학덕(學德)이 높은 사람\\ 주3. 유일(遺逸): 세상을 숨어 살며 학덕(學德)이 높은 사람\\
 +
 주4.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호(號). 자(字)는 여수(汝受). 시호(諡號)는 문충(文忠). 명종(明宗) 때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응교(應敎)를 거쳐 이조좌랑(吏曹佐郞)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승진하고 이조판서(吏曹判書)와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뒤 1588(一五八八)에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아계부원군(鵝溪府院君)에 봉(封)해졌으며 문장(文章)과 서화(書畫)에 뛰어났고 특히 문장(文章)에 능하여 선조(宣朝) 때의 문장팔대가(文章八大家)의 한 사람.\\ 주4.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호(號). 자(字)는 여수(汝受). 시호(諡號)는 문충(文忠). 명종(明宗) 때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응교(應敎)를 거쳐 이조좌랑(吏曹佐郞)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승진하고 이조판서(吏曹判書)와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뒤 1588(一五八八)에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아계부원군(鵝溪府院君)에 봉(封)해졌으며 문장(文章)과 서화(書畫)에 뛰어났고 특히 문장(文章)에 능하여 선조(宣朝) 때의 문장팔대가(文章八大家)의 한 사람.\\
 +
 주5. 주정(主靜): 안상(安想)을 버리고 마음을 고요히 가짐\\ 주5. 주정(主靜): 안상(安想)을 버리고 마음을 고요히 가짐\\
 +
 주6. 징사(徵士):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이 높아 임금이 부르나 나아가 벼슬하지 않은 사람 주6. 징사(徵士):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이 높아 임금이 부르나 나아가 벼슬하지 않은 사람
 +</WRAP>
 </typo> </typo>
 </WRAP> </WRAP>
  
b-116.174899791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4 09:4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