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17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117 [2025/06/04 10:04] – ssio2 | b-117 [2025/06/07 07:04] (현재) – ssio2 | ||
---|---|---|---|
줄 40: | 줄 40: | ||
之欲效箕山而大易所謂觀我生進退者也裕元敢靳一言以負先誼之重也 | 之欲效箕山而大易所謂觀我生進退者也裕元敢靳一言以負先誼之重也 | ||
哉遂爲之銘\_銘曰粤\_穆陵朝有臣海月以箕城黃爲國名閥夙著聞望早 | 哉遂爲之銘\_銘曰粤\_穆陵朝有臣海月以箕城黃爲國名閥夙著聞望早 | ||
- | 齡軔發蘭臺薦峻湖堂讀屹往在龍蛇國步< | + | 齡軔發蘭臺薦峻湖堂讀屹往在龍蛇國步< |
佐幕策馬奔闕開諭民黎紀律士卒竟致恢復有功不伐邦誣是雪\_王命若 | 佐幕策馬奔闕開諭民黎紀律士卒竟致恢復有功不伐邦誣是雪\_王命若 | ||
- | 曰廼隨北槎夾贊心竭晩登水部士流嗟咄公獨夷然樂哉溟渤築臺種菊淸 | + | 曰迺隨北槎夾贊心竭晩登水部士流嗟咄公獨夷然樂哉溟渤築臺種菊淸 |
- | 風林樾軒駟莫< | + | 風林𣜀軒駟莫< |
椎書大夫笏名碩推重邱樊泊歇旣忠且哲節完身歿肖孫講世逵銘來謁銘 | 椎書大夫笏名碩推重邱樊泊歇旣忠且哲節完身歿肖孫講世逵銘來謁銘 | ||
詩載詠歸然一碣\\ | 詩載詠歸然一碣\\ | ||
줄 104: | 줄 104: | ||
\_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서 상감(上監)의 수레가 서쪽으로 향하고 서울이 | \_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서 상감(上監)의 수레가 서쪽으로 향하고 서울이 | ||
- | 함락되었을 때에 공은 그 때에 고산(高山)에 있었으나 길녹 막혀 상감의 수레를 | + | 함락되었을 때에 공은 그 때에 고산(高山)에 있었으나 길이 막혀 상감의 수레를 |
호종(扈從)할 수 없었으며 김공(金公) 귀영(貴榮)이 왕자(王子)를 모시고 | 호종(扈從)할 수 없었으며 김공(金公) 귀영(貴榮)이 왕자(王子)를 모시고 | ||
안변(安邊)에 이르렀을 때에 길을 달려 따라갔는데 절도사(節度使)인 윤공(尹公) | 안변(安邊)에 이르렀을 때에 길을 달려 따라갔는데 절도사(節度使)인 윤공(尹公) | ||
줄 143: | 줄 143: | ||
제수되어 임고서원(臨皐書院)에서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을 교정(校正)했다.\\ | 제수되어 임고서원(臨皐書院)에서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을 교정(校正)했다.\\ | ||
- | \_7(七)월에는 선무원종이등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으로 | + | \_7(七)월에는 선무원종이등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으로 |
철권(鐵券)< | 철권(鐵券)< | ||
\_선조(宣祖) 41(四十一)(서기 1608(一六〇八)) 무신에 선조대왕(宣祖大王)이 돌아가시니 | \_선조(宣祖) 41(四十一)(서기 1608(一六〇八)) 무신에 선조대왕(宣祖大王)이 돌아가시니 | ||
곧 사직서를 올리고 돌아왔는데 연달아 부모상(父母喪)을 당하여 삼년을 | 곧 사직서를 올리고 돌아왔는데 연달아 부모상(父母喪)을 당하여 삼년을 | ||
- | 여묘((廬墓)살이를 했다.\\ | + | 여묘(廬墓)살이를 했다.\\ |
\_광해(光海) 4(四)년(서기 1612(一六一二)) 임자에 창원부사(昌原府使)로 제수되었는데 | \_광해(光海) 4(四)년(서기 1612(一六一二)) 임자에 창원부사(昌原府使)로 제수되었는데 | ||
줄 178: | 줄 178: | ||
증손 이하는 모두 기록하지 않는다.\\ | 증손 이하는 모두 기록하지 않는다.\\ | ||
- | \_공은 타고난 천성으로 재질(質)이 특출하고 마음에 품은 회포(懷抱)가 넓어 | + | \_공은 타고난 천성으로 재질(才質)이 특출하고 마음에 품은 회포(懷抱)가 넓어 |
뛰어나고 바른 기량(器量)과 넓고 먼 식견(識見)과 하해(河海)같이 헤아릴 수 | 뛰어나고 바른 기량(器量)과 넓고 먼 식견(識見)과 하해(河海)같이 헤아릴 수 | ||
없는 문장(文章)은 혼후(渾厚)하여 전혀 세속(世俗)의 티를 살릴 수 없었는데 | 없는 문장(文章)은 혼후(渾厚)하여 전혀 세속(世俗)의 티를 살릴 수 없었는데 | ||
줄 196: | 줄 196: | ||
\_여러 현인(賢人)들이 차례로 영락(零落)해지고 시사(時事)도 벌써 정도(正道)에 | \_여러 현인(賢人)들이 차례로 영락(零落)해지고 시사(時事)도 벌써 정도(正道)에 | ||
어그러졌는데 오직 공이 홀로 고향에 묻혀졌는데 오직 공이 홀로 고향에 묻혀 | 어그러졌는데 오직 공이 홀로 고향에 묻혀졌는데 오직 공이 홀로 고향에 묻혀 | ||
- | 살았으니 그 지조(志操)와 절의(節義)는 설방(薜方)이 소유(巢由)< | + | 살았으니 그 지조(志操)와 절의(節義)는 설방(薛方)이 소유(巢由)< |
- | 따른 것이며 주역(周易)에서 이른바 | + | 따른 것이며 주역(周易)에서 이른바 |
말인 것이다.\\ | 말인 것이다.\\ | ||
줄 208: | 줄 208: | ||
爲國名閥 우리나라의 이름난 문벌(門閥)이었다.\\ | 爲國名閥 우리나라의 이름난 문벌(門閥)이었다.\\ | ||
夙著聞望 일찍이 명망(名望)이 널리 알려져 \\ | 夙著聞望 일찍이 명망(名望)이 널리 알려져 \\ | ||
- | 早齡軔發 젊은 나이에 벌써 벼슬에 올랐다. \\ | + | 早齡軔發 젊은 나이에 벌써 벼슬에 올랐다. \\ |
蘭臺薦峻 난대(蘭臺)에서 공(公)을 높이 추천하여 \\ | 蘭臺薦峻 난대(蘭臺)에서 공(公)을 높이 추천하여 \\ | ||
湖堂讀屹 호당(湖堂)에 휴가 얻어 소리 높이 읽었다.\\ | 湖堂讀屹 호당(湖堂)에 휴가 얻어 소리 높이 읽었다.\\ | ||
줄 216: | 줄 216: | ||
宗社一髮 종묘사직(宗廟社稷)이 한 순간 위태로웠다.\\ | 宗社一髮 종묘사직(宗廟社稷)이 한 순간 위태로웠다.\\ | ||
握籌佐幕 계략을 짜내어 군막(軍幕)을 도우며 \\ | 握籌佐幕 계략을 짜내어 군막(軍幕)을 도우며 \\ | ||
- | 策馬奔闕 말을 달려 四방으로 분주하였다. \\ | + | 策馬奔闕 말을 달려 |
開諭民黎 어려운 백성들의 살 길을 열어주고 \\ | 開諭民黎 어려운 백성들의 살 길을 열어주고 \\ | ||
紀律士卒 사졸(士卒)의 기율(紀律)을 바로잡았다. \\ | 紀律士卒 사졸(士卒)의 기율(紀律)을 바로잡았다. \\ | ||
줄 223: | 줄 223: | ||
邦誣是雪 나라의 억울한 사정 씻으려 하여 \\ | 邦誣是雪 나라의 억울한 사정 씻으려 하여 \\ | ||
王命若曰 왕명(王命)을 받은 것이 이러하였다. \\ | 王命若曰 왕명(王命)을 받은 것이 이러하였다. \\ | ||
- | 廼隨北槎 그리하여 북쪽 배를 따라 타고서 \\ | + | 迺隨北槎 그리하여 북쪽 배를 따라 타고서 \\ |
夾贊心竭 심력(心力)을 다하여 일을 도왔다.\\ | 夾贊心竭 심력(心力)을 다하여 일을 도왔다.\\ | ||
晩登水部 늦게야 수부(水部)< | 晩登水部 늦게야 수부(水部)< | ||
줄 230: | 줄 230: | ||
樂哉溟渤 큰바다 고기처럼 즐거웠도다. \\ | 樂哉溟渤 큰바다 고기처럼 즐거웠도다. \\ | ||
築臺種菊 대(臺)를 쌓아 놓고 대나무 심으니 \\ | 築臺種菊 대(臺)를 쌓아 놓고 대나무 심으니 \\ | ||
- | 淸風林樾 숲 그늘에 부는 바람 맑기도 하다. \\ | + | 淸風林𣜀 숲 그늘에 부는 바람 맑기도 하다. \\ |
軒駟莫搖 고관(高官)의 수레에도 동요되지 않았는데 \\ | 軒駟莫搖 고관(高官)의 수레에도 동요되지 않았는데 \\ | ||
簧蜩詎訏 매미의 울음이 어찌 들추어 내겠는가. \\ | 簧蜩詎訏 매미의 울음이 어찌 들추어 내겠는가. \\ | ||
줄 250: | 줄 250: | ||
\_\_귤상(橘相) 이유원(李裕元) 짓다.\\ | \_\_귤상(橘相) 이유원(李裕元) 짓다.\\ | ||
\\ | \\ | ||
- | 주1. 양봉래(楊蓬萊): | + | <WRAP subnote> |
- | 주2. 사인(舍人): | + | 주1. 양봉래(楊蓬萊): |
+ | |||
+ | 주2. 사인(舍人): | ||
주3. 호당(湖堂): | 주3. 호당(湖堂): | ||
+ | |||
주4. 김학봉(金鶴峯): | 주4. 김학봉(金鶴峯): | ||
+ | |||
주5. 노중련(魯仲連): | 주5. 노중련(魯仲連): | ||
+ | |||
주6. 행재소(行在所): | 주6. 행재소(行在所): | ||
+ | |||
주7. 사마방회도(司馬榜會圖): | 주7. 사마방회도(司馬榜會圖): | ||
+ | |||
주8. 복시(覆試): | 주8. 복시(覆試): | ||
+ | |||
주9. 철권(鐵券): | 주9. 철권(鐵券): | ||
+ | |||
주10. 춘추(春秋): | 주10. 춘추(春秋): | ||
+ | |||
주11. 연의(演義): | 주11. 연의(演義): | ||
+ | |||
주12. 소유(巢由): | 주12. 소유(巢由): | ||
- | 주13. 난대(蘭臺): | + | |
+ | 주13. 난대(蘭臺): | ||
주14. 수부(水部): | 주14. 수부(水部): | ||
+ | |||
주15. 국경인(鞠景仁): | 주15. 국경인(鞠景仁): | ||
+ | </ | ||
</ | </ | ||
</ | </ |
b-117.174899909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4 10:04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