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2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124 [2025/06/03 09:27] – ssio2 | b-124 [2025/06/04 13:25] (현재) – ssio2 | ||
---|---|---|---|
줄 5: | 줄 5: | ||
海之東多名山而白巖爲最特立雲霄有龍蟠虎距之勢一支北走蜿嬗屈折 | 海之東多名山而白巖爲最特立雲霄有龍蟠虎距之勢一支北走蜿嬗屈折 | ||
窈然爲洞者曰蘇台村村之南十許武溫泉靈神之徵擧國有名而其城氏之 | 窈然爲洞者曰蘇台村村之南十許武溫泉靈神之徵擧國有名而其城氏之 | ||
- | 累世菟裘也今後承諸彦敘彰其先蹟而築亭歲乙巳春齊其力而起其工越 | + | 累世菟裘也今後承諸彦<fc # |
明年而落之凡六架三棟左右爲室中爲堂扁之曰慕遠盖齊沐於斯以薦蘋 | 明年而落之凡六架三棟左右爲室中爲堂扁之曰慕遠盖齊沐於斯以薦蘋 | ||
藻聚族於斯以講敦睦諷詠於斯以暢堙盡於是乎山若增高水若增淸雲月 | 藻聚族於斯以講敦睦諷詠於斯以暢堙盡於是乎山若增高水若增淸雲月 | ||
魚鳥一倍動色居者酒然而易慮至者煥然而照眼此則亭之大觀也昔者蘇 | 魚鳥一倍動色居者酒然而易慮至者煥然而照眼此則亭之大觀也昔者蘇 | ||
谷懈軒諸先輩以文章德行望重當世而肥遯林泉考槃終世其淸高之操曠 | 谷懈軒諸先輩以文章德行望重當世而肥遯林泉考槃終世其淸高之操曠 | ||
- | 逸之韻迫出語塵臼之外後鶴結盟草樹含馨此則亭之故事也曰黃君景浩 | + | 逸之韻逈出語塵臼之外後鶴結盟草樹含馨此則亭之故事也曰黃君景浩 |
鎭華錫坤等來請余記之窃惟恒人之情久遠則易於忘矣而愈久愈遠而愈 | 鎭華錫坤等來請余記之窃惟恒人之情久遠則易於忘矣而愈久愈遠而愈 | ||
不忘者尊祖是己傳曰樂樂其所自生禮不忘其本此之謂歟滔滔叔季樂壞 | 不忘者尊祖是己傳曰樂樂其所自生禮不忘其本此之謂歟滔滔叔季樂壞 | ||
- | 禮崩追遠之道視若弁髦而斷梗飄蓬或爲渡淮之橋或爲瑜汶之貉能保其 | + | 禮崩追遠之道視若弁髦而斷梗飄蓬或爲渡淮之<fc # |
先業者誰歟過蘇台之里風淳而俗厚奠先人之盧讀先人之書耕先人之田 | 先業者誰歟過蘇台之里風淳而俗厚奠先人之盧讀先人之書耕先人之田 | ||
老老幼幼尊尊親親以安其業以樂其志祖以是傳之孫父以是傳之子世世 | 老老幼幼尊尊親親以安其業以樂其志祖以是傳之孫父以是傳之子世世 | ||
줄 27: | 줄 27: | ||
<typo ff:' | <typo ff:' | ||
\_**모원정기(慕遠亭記)**\\ | \_**모원정기(慕遠亭記)**\\ | ||
- | \_바다東쪽에 名山이 많으나 그 中에서도 白巖이 가장 우뚝 솟아 | + | \_바다 |
- | 늘에 龍이 서리고 범에 距안진 | + | 하늘에 |
- | 고 屈折하여(窃然) 고요히 마을이 생기니 그곳이 蘇台村이다. 마을 南쪽 約 | + | 서리고 |
- | 十里許에 神靈한 溫泉이 있으니 이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有名하다. 그곳은 | + | 10리허(十里許)에 신령(神靈)한 온천(溫泉)이 있으니 이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
- | 城氏의 자리잡은 터전이다. 그 後 여러 어른들이 先祖의 業蹟을 빛내기 爲하여 | + | 기성(箕城) 씨(氏)의 자리잡은 터전이다. 그 후(後) 여러 어른들이 |
- | 亭子를 建立하니 때는 乙巳年 봄이다.\\ | + | 정자(亭子)를 건립(建立)하니 때는 |
- | \_子孫들이 모든 힘을 모아 工事를 着手하여 다음해 落成을 하였으니 그 規模는 | + | \_자손(子孫)들이 모든 힘을 모아 |
- | 六架三棟이다。左右에 房이 있고 가운데 조그만 마루가 있으니 이름해 가로대 | + | 그 규모(規模)는 6가3동(六架三棟)이다. 좌우(左右)에 방(房)이 있고 가운데 조그만 |
- | 慕遠이라.\\ | + | 마루가 있으니 이름하여 |
- | \_매년 이에 모여 齋沐를 하여 祭祀를 들이고 子孫들이 이에 모이며 和睦敦督을 | + | \_매년 이에 모여 |
- | 다짐하고 이에 모여 글을 읊으고 盍懐을 푸니 이에 山은 높은 것을 더한 같고 | + | 다짐하고 이에 모여 글을 읊고 |
물은 맑은 것을 더한 같으며 구름과 달과 고기와 새들이 한층 빛을 자랑하며 | 물은 맑은 것을 더한 같으며 구름과 달과 고기와 새들이 한층 빛을 자랑하며 | ||
- | 居한者 平安히 生覺하고 至者 따덧하게 눈을 식히니 이는 | + | 거(居)한 자(者) 평안(平安)히 생각(生覺)하고 |
- | 옛날엔 蘇슴에 소일한 모든 分들이 文章과 德行이 當世에 뛰어나서 林泉에 수 | + | 옛날엔 |
- | 없이 머물러 世上을 | + | 없이 머물러 |
- | 出하여 원숭이와 鶴이 서로 盟誓하고 풀과 나무가 향기를 같이하니 이는 | + | 迥出)하여 원숭이와 |
- | 故事라 어느날에 黃君 景浩鎭華錫坤等이 찾아와서 나에게 蘇遠亭記를 要請하기로 | + | 고사(故事)라. \\ |
- | 그 分들은 오래 前부터 잘 아는 處地라 서로 잊을 수 없어 오래오래 生 | + | |
- | 覺한 結果祖先을 爲한 理念이 充滿함으로 傳日 좋고 좋은 그곳에 서서로 禮를 | + | |
- | 갖추어 그 根本을 잊지 않는다는 것은 이를 말함이라.\\ | + | |
- | \_時代의 潮流에 따라 질긴것이 무너지고 禮가 무너져서 祖上을 追念한 것을 마치 | + | \_어느 날에 황군(黃君) 경호(景浩) 진화(鎭華) 석곤(錫坤) 등(等)이 찾아와서 나에게 모원정기(慕遠亭記)를 요청(要請)하기로 |
- | 가는 털을 보듯하니 맺힌 것을 끊고 바람에 나부끼는 죽대같이 하여 或淮水를 | + | 그 분(分)들은 오래 전(前)부터 잘 아는 처지(處地)라 |
- | 건너온 橘같이 도하며 或더른 것을 넘어 가는 단비와 같이 하여 能히 | + | 생각(生覺)한 결과(結果) 조선(祖先)을 위(爲)한 이념(理念)이 충만(充滿)함으로 전일(傳日) 좋고 좋은 그곳에서 서로 예(禮)를 |
- | 의 業蹟을 保存한 者가 누구일것인가.\\ | + | 갖추어 그 근본(根本)을 잊지 않는다는 |
- | \_蘇台를 지낼적에 마을이 淳樸하고 風俗이 厚하여 先人들의 | + | \_시대(時代)의 조류(潮流)에 따라 질긴 것이 무너지고 예(禮)가 무너져서 조상(祖上)을 추념(追念)한 것을 마치 |
- | 글을 읽으며 先人들의 밭을 갈아 나이 많은 이나 어린이나 높은 이나 親한이 | + | 가는 털을 보듯하니 맺힌 것을 끊고 바람에 나부끼는 죽대같이 |
- | 들이 生業에 安堵하며 그 뜻을 과같에 하여 할아버지는 孫子에게 傳하고 아버 | + | 건너온 귤(橘)같이도 하며 혹(或) 다른 |
- | 지는 子息에게 傳하여 | + | 업적(業蹟)을 보존(保存)한 자(者)가 누구일 것인가.\\ |
- | 하루같이 | + | |
- | 얼키면 草堂이 막힌 것이니 四嶽峻嵋도 석은 곳이 높다 諸峰이 羅立한 것은 兒孫과 | + | \_소대(蘇台)를 지날 적에 마을이 순박(淳樸)하고 풍속(風俗)이 후(厚)하여 선인(先人)들의 가르침을 받고 선인(先人)의 |
+ | 글을 읽으며 선인(先人)들의 밭을 갈아 나이 많은 이나 어린이나 높은 이나 친(親)한 | ||
+ | 이들이 생업(生業)에 안도(安堵)하며 그 뜻을 같이 하여 할아버지는 손자(孫子)에게 전(傳)하고 | ||
+ | 아버지는 자식(子息)에게 전(傳)하여 대대(代代)로 바꾸지 아니하는 것이 곧 모(慕)라 장차(將次) 천추만세(千秋萬歲)를 | ||
+ | 하루같이 할 것이다. 시전(詩傳)에 말씀하시기를 영원(永遠)히 효(孝)를 생각(生覺)하라 하셨으니 효사(孝思)가 | ||
+ | |||
+ | 얽히면 초당(草堂)이 막힌 것이니 | ||
같다.\\ | 같다.\\ | ||
- | \_歐陽修氏의 記에 말하기를 바다 구름의 南쪽 두원에 許氏의 世代 먼 慕를 생각한 | + | \_구양수(歐陽修) 씨(氏)의 기(記)에 말하기를 바다 구름의 |
- | 것과 같다 하였으니 萬若 今日에 箕城氏를 論한 則 서로 이어이러 | + | 것과 같다 하였으니 |
- | 峰이 羅立한 것과 같으니 멀리 慕를 생각하는 것이 거의 許氏를 사양할 바 없다 | + | 제봉(諸峰)이 나립(羅立)한 것과 같으니 멀리 |
- | 내가 그 世德과 家風을 들은지 오래다 그름으로 붓을 잡아 亭子앞에 托名하노라.\\ | + | 내가 그 세덕(世德)과 가풍(家風)을 들은지 오래이다. 그럼으로 붓을 잡아 |
\_\_세(歲) 신해(辛亥) 중추절(仲秋節) 영양(英陽) 남병기(南炳基) 서(書) | \_\_세(歲) 신해(辛亥) 중추절(仲秋節) 영양(英陽) 남병기(南炳基) 서(書) | ||
</ | </ | ||
</ | </ |
b-124.174891046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3 09:2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