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00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005 [2025/04/26 18:45] 121.166.63.129c-005 [2025/05/28 07:29] (현재) ssio2
줄 3: 줄 3:
 <typo ff:'한양해서'> <typo ff:'한양해서'>
 \_庚戌譜序\\ \_庚戌譜序\\
-吾姓之著箕古矣譜板之在豊城久矣世代寢遠系牒無傳則派分而支流者殆 +吾姓之著箕古矣譜板之在豊城久矣世代寢遠系牒無傳則派分而支流者殆 
-未免汾陽錯認之患後孫之責寧有甚於此時者哉在辛卯春川宗承旨燾氏設+未免汾陽錯認之患後孫之責寧有甚於此時者哉在辛卯春川宗承旨燾氏設
 新譜于京城之華藏寺而舊譜諸宗之多不入以箕豊兩派之俱不與也噫當日支 新譜于京城之華藏寺而舊譜諸宗之多不入以箕豊兩派之俱不與也噫當日支
 吾者安知復有今日者乎廼於戊申秋錦陽宗人發書示意是蓋不謀而合者遂設 吾者安知復有今日者乎廼於戊申秋錦陽宗人發書示意是蓋不謀而合者遂設
 譜于豊取仍舊也維我箕黃之盛際美績已備於前人之述今不必加屋疊床而學 譜于豊取仍舊也維我箕黃之盛際美績已備於前人之述今不必加屋疊床而學
-士公桴海錄出於東漢時事凡貫箕而族黃者至今疑信古蹟近見旌善宗大中+士公桴海錄出於東漢時事凡貫箕而族黃者至今疑信古蹟近見旌善宗大中
 家籍牒中唐朝學士八世配位墓所不啻昭著今依此改正是則先世所未發之事 家籍牒中唐朝學士八世配位墓所不啻昭著今依此改正是則先世所未發之事
-似不免率爾之責然有信籍烏可已也遂錄于世譜中以傳後辨破之蹟未知 +似不免率爾之責然有信籍烏可已也遂錄于世譜中以傳後辨破之蹟未知 
-後世雲仍庶或賴此而益詳於數千載之下乎蓋譜三卷而始春終夏僉君 +後世雲仍庶或賴此而益詳於數千載之下乎蓋譜三卷而始春終夏僉君 
-子幹敏之功此可想矣今其主幹宗憲周甫即錦翁孫而號農隱者也精於譜學 +子幹敏之功此可想矣今其主幹宗憲周甫即錦翁孫而號農隱者也精於譜學 
-又能繼述先志著重刊記文事未就身先逝吾宗不幸抑何如也不居在姓貫之 +又能繼述先志著重刊記文事未就身先逝吾宗不幸抑何如也不居在姓貫之 
-當躬助讐校之役老不能自力於越重嶺到岸粵遂因其所感之懷而略叙顛末 +當躬助讐校之役老不能自力於越重嶺到岝㠋遂因其所感之懷而略敍顚末 
-且道我貫不可無一語云爾\\+且道我貫不可無一語云爾\\
 \_\_歲上章閹茂流頭月日裔孫龍九謹序 \_\_歲上章閹茂流頭月日裔孫龍九謹序
 </typo> </typo>
줄 22: 줄 22:
 <typo fs:0.8em> <typo fs:0.8em>
 \_경술보서\\ \_경술보서\\
-\_우리 黃성의 계출이 평해임은 오래된 옛날이며 보판이 풍기에 있음이 또한 오래인지라 세대가 멀어지고 전하는 계첩 +\_우리 황()성의 계출이 평해임은 오래된 옛날이며 보판이 풍기에 있음이 또한 오래인지라세대가 멀어지고 전하는 계첩이 없으면 곧 파 갈림 또는 지파간 항렬 분류에  
-이 없으면 곧 파 갈림 또는 지파간 항렬 분류에 착오됨을 면치못할것이니 이에 대한 후손의 책임이 또한 적다 하겠는 +착오됨을 면치 못 할 것이니 이에 대한 후손의 책임이 또한 적다 하겠는가? \\ 
-가? 생각하건대 지나간 辛卯년 춘천종씨인 승지燾씨가 신보청을 경성의 화장사에 설치하고 구보 제종에게 합보를 권유 + 
-나 평해·풍기 양파 모두 불참이라 이제서 느낌이 오고 그날의 지족된 우리로써 어찌 다시 오늘과 같음이 있음을 알았 +\_생각하건대 지나간 신묘(辛卯)년 춘천 종씨인 승지 도()씨가 신보청을 경성의  
-으리오 이에 戊申년 가을에 금양종인이 발문하여 뜻을 보임에 회의 없이 합의된 것으로 드디어 보청을 풍기에 설치함은 +화장사에 설치하고 구보 제종에게 합보를 권유나 평해·풍기 양 파 모두 불참이라  
-전례를 취함이라 우리 평해 黃이 왕성할 즈음에 그 아름다운 자취는 이미 옛날 선현들의 저술에 갖추어 있음이나 지금 +이제서 느낌이 오고 그날의 지족된 우리로써 어찌 다시 오늘과 같음이 있음을  
-에와서는 필요치 아니함이 책상위에 첩첩이 쌓였노라 이는 학사공의 동래설을 동한때라 하였기 때문이다. 본관을 평해 +알았으리오이에 무신(戊申)년 가을에 금양 종인이 발문하여 뜻을 보임에,  
-로 하는 일가 黃족은 지금껏 크게 의심을 했던바라 요즈음 발견인 고적이 확신함이니 정선의 한 일가인 大中의집 호구 +회의 없이 합의된 것으로 드디어 보청을 풍기에 설치함은 
-장적과 세전가첩중에 學士공은 한나라가 아닌 唐나라 학사시니라 八世의 배위와 묘소 뿐만아니라 그외에도 소상히 밝히 +전례를 취함이라.\\ 
-고 있음으로 이제 이에 의하여 이를 바로 고치노라 이는 곧 선대에서 발견치 못한것을 새로 발견함이라 그러나 전날의 + 
-처사가 경솔했다는 질책은 면할수 없으며 전날에 믿었던 문적은 이로 인해 이미 허언 허적이나 구보 책중에 실려 있으 +\_ 우리 평해 황()이 왕성할 즈음에 그 아름다운 자취는 이미 옛날 선현들의 저술에 갖추어 있음이나 지금에 와서는 필요치 아니함이 책상 위에 첩첩이 쌓였노라.  
-므로써 먼 뒷날까지 전할 것임에 이미 변증되어 깨린 문적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뒷날의 자손들은 혹 이에 의뢰할 +이는 학사공의 동래설을 동한 때라 하였기 때문이다.  
-지니 수천년 후에라도 더욱 더 자세히 살필지어라 이에 보책이 세권으로 편질하여 봄에 시작 여름에 마쳤으니 모든 간 +본관을 평해로 하는 일가 황()족은 지금껏 크게 의심을 했던 바라 요즈음 발견인  
-사들의 민첩한 공로는 이로써 가히 짐작이로다.주간 종인 憲周는 곧 錦溪공 주손으로 호를 농은이라 하며 보학에 정통하고 또 선세의 뜻을 이어 저술함에 능하심에 중간기를 쓰려하였음이나 이루기도 전에 몸이 먼저 갔으니 우리 종중의 +고적이 확신함이니 정선의 한 일가인 대중(大中)의 집 호구장적과 세전가첩 중에  
-불행이라 하지 않을수 없으리 불초는 살기를 관향인 평해인지라 마땅히 몸소 보사를 도와 교정지역에 함께 해야 할진대 +학사(學士)공은 한나라가 아닌 당()나라 학사시니라. 8세의 배위와 묘소 뿐만 아니라  
-늙은 몸으로 준령을 넘나들 힘이 능치 아니하야 소임을 다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 소감 이 일단으로 간약하여 전말을 +그외에도 소상히 밝히고 있음으로 이제 이에 의하여 이를 바로 고치노라.  
-펴며 관향으로써 한마디 없을수 없어 두어줄 기술하노라.\\ +이는 곧 선대에서 발견치 못한 것을 새로 발견함이라그러나 전날의 
-\_\_세 상장 엄무(경술(庚戌) 1850) 6월 15일 예손 용구(龍九) 근서+처사가 경솔했다는 질책은 면할 수 없으며 전날에 믿었던 문적은 이로 인해  
 +이미 허언 허적이나 구보 책 중에 실려 있으므로써 먼 뒷날까지 전할 것임에  
 +이미 변증되어 깨린 문적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뒷날의 자손들은  
 +혹 이에 의뢰할지니 수천년 후에라도 더욱 더 자세히 살필지어라. \\ 
 + 
 +\_이에 보책이 세권으로 편질하여 봄에 시작 여름에 마쳤으니모든 간사들의  
 +민첩한 공로는 이로써 가히 짐작이로다. 주간 종인 헌주(憲周)는 곧 금계(錦溪)공  
 +주손(胄孫)으로 호를 농은이라 하며 보학에 정통하고 또 선세의 뜻을 이어 저술함에 능하심에  
 +중간기를 쓰려 하였음이나 이루기도 전에 몸이 먼저 갔으니 우리 종중의 
 +불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으리.  
 +불초는 살기를 관향인 평해인지라 마땅히 몸소 보사를 도와 교정지역에 함께 해야 할진대 
 +늙은 몸으로 준령을 넘나들 힘이 능치 아니하야 소임을 다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 소감 이 일단으로 간약하여 전말을 
 +펴며 관향으로써 한마디 없을 수 없어 두어 줄 기술하노라.\\ 
 +\_\_세 상장((상장(上章): 고갑자에서, 천간(天干)의 일곱째인 경(庚)을 이르는 말.)) 
 + 엄무((엄무(閹茂):고갑자에서, 지지(地支)의 열한째인 술(戌)을 이르는 말.)) 
 +(경술(庚戌) 1850) 6월 15일 예손 용구(龍九) 근서
 </typo> </typo>
 </WRAP> </WRAP>
c-005.174566072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6 18:45 저자 121.166.6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