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0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104 [2025/05/01 10:16] ssio2c-104 [2025/06/27 11:13] (현재) ssio2
줄 4: 줄 4:
 \_叅判黃世通墓碣略\\ \_叅判黃世通墓碣略\\
 公諱世通字邇之系出平海上世有諱洛官學士東漢建武四年桴海而東始居于 公諱世通字邇之系出平海上世有諱洛官學士東漢建武四年桴海而東始居于
-箕城南崛峰下寔爲鼻祖高麗忠莊王朝有諱<fc:red>墉</fc>官崇祿大夫三重大匡輔國\_諡+箕城南崛峰下寔爲鼻祖高麗忠莊王朝有諱𤨭官崇祿大夫三重大匡輔國\_諡
 忠敬國\_朝有諱希碩開國元勳封平海君\_諡襄武於公五代祖也高祖諱象\_ 忠敬國\_朝有諱希碩開國元勳封平海君\_諡襄武於公五代祖也高祖諱象\_
 太宗朝駙馬官兵曹判書曾祖諱繼祖通訓大夫蔭司直祖諱自中通訓大夫司僕 太宗朝駙馬官兵曹判書曾祖諱繼祖通訓大夫蔭司直祖諱自中通訓大夫司僕
 寺正大護軍考諱詮保功將軍行宣傳官\_贈通政大夫刑曹叅議妣淑夫人坡平 寺正大護軍考諱詮保功將軍行宣傳官\_贈通政大夫刑曹叅議妣淑夫人坡平
 尹氏縣監師殷之女繼妣淑夫人晉州柳氏郡守永脩之女叅判宗植之孫生公于 尹氏縣監師殷之女繼妣淑夫人晉州柳氏郡守永脩之女叅判宗植之孫生公于
-漢師之梨峴公早得宦事君以忠奉職以實甚得朝野歡心且通內之橋雖大用+漢師之梨峴公早得宦事君以忠奉職以實甚得朝野歡心且通內之橋雖大用
 民力固不可得成而公辦出私財蠲除民力以成完築使往來者咸得便利豈非鄭 民力固不可得成而公辦出私財蠲除民力以成完築使往來者咸得便利豈非鄭
 大夫子産乎至今口碑稱黃叅議橋云官至禦侮將軍行忠佐衛大護軍\_贈嘉善 大夫子産乎至今口碑稱黃叅議橋云官至禦侮將軍行忠佐衛大護軍\_贈嘉善
 大夫戶曹叅判兼同知義禁府事忌十二月二十六日葬于楊州郡伊淡面淵洞卯 大夫戶曹叅判兼同知義禁府事忌十二月二十六日葬于楊州郡伊淡面淵洞卯
-坐之原配貞夫人坡平尹氏副正贈領議政之女通政三陟府使贈左成繼興之 +坐之原配貞夫人坡平尹氏副正贈領議政之女通政三陟府使贈左成繼興之 
-孫左成惇之曾孫從公而歿仍爲合封生五男長曰瑞大司諫副提學忠全羅 +孫左成惇之曾孫從公而歿仍爲合封生五男長曰瑞大司諫副提學忠全羅 
-三道觀察使次曰瑋忠佐衛出系從叔父諱允光后曰璨忠佐衛大護軍曰璿 +三道觀察使次曰瑋忠佐衛出系從叔父諱允光后曰璨忠佐衛大護軍曰璿 
-成均進士曰琩宣略將軍忠佐衛行州牧使餘不盡錄云\\+成均進士曰琩宣略將軍忠佐衛行州牧使餘不盡錄云\\
 \_\_後裔孫河燮謹撰 \_\_後裔孫河燮謹撰
 </typo> </typo>
줄 23: 줄 23:
 <typo fs:0.8em> <typo fs:0.8em>
 \_참판 황세통 묘갈략\\ \_참판 황세통 묘갈략\\
-\_공의 휘는 세통(世通)이오 자는 이지(邇之)니 평해에서 세계를 이어 받음이라. 상세에 휘 낙(洛)이라는 분이 한나라 학사로 동한 건무 +\_공의 휘는 세통(世通)이오 자는 이지(邇之)니 평해에서 세계를 이어 받음이라. 상세에 휘 낙(洛)이라는 분이 한나라 학사로동한 건무 
-4년에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동으로 오시어 기성의 남쪽 굴봉 아래에  +4년에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동으로 오시어기성의 남쪽 굴봉 아래에  
-사셨음이 시조가 되셨고 고려 충렬왕조에 휘 +사셨음이 시조가 되셨고고려 충렬왕조에 휘 
-용(<fc:red>墉</fc>이라는 분이 계셔 벼슬이 숭록대부삼중대광보국이요 +용(𤨭)이라는 분이 계셔 벼슬이 숭록대부삼중대광보국이요 
 시호 충경이시라, 아조에 와서 휘 희석(希碩)이라는 분이  시호 충경이시라, 아조에 와서 휘 희석(希碩)이라는 분이 
-개국원훈으로 평해군으로 봉하야 시호가 양무니즉 공의 5대조가 되시며 +개국원훈으로 평해군으로 봉하여 시호가 양무니 즉 공의 5대조가 되시며
 고조의 휘는 상(象)이오 태종(太宗) 부마로 병조판서요,  고조의 휘는 상(象)이오 태종(太宗) 부마로 병조판서요, 
 증조의 휘는 계조(繼祖)이니 통훈대부 음 사직이오,  증조의 휘는 계조(繼祖)이니 통훈대부 음 사직이오, 
줄 39: 줄 39:
 봉직이실하야 조야에 환심을 얻었고, 또한 문 앞에 왕래하는  봉직이실하야 조야에 환심을 얻었고, 또한 문 앞에 왕래하는 
 다리를 가설함에 민력으로는 득성ㅎ기 불가함을  다리를 가설함에 민력으로는 득성ㅎ기 불가함을 
-공이 사재를 판출, 석교를 완축이니 왕래자 모두의 편의를 크게 도모하야 +공이 사재를 판출, 석교를 완축이니 왕래자 모두의 편의를 크게 도모하여 
 이구동설로 옛적의 정(鄭)대부 자산(子産)같은 이라 하여  이구동설로 옛적의 정(鄭)대부 자산(子産)같은 이라 하여 
 지금껏 구전이며, 석교 이름을 황참의교라 하며 비석이 있음이라. \\ 지금껏 구전이며, 석교 이름을 황참의교라 하며 비석이 있음이라. \\
 \_관직이 어모장군에 충좌위 대호군 승계 통정대부 형조참의였으며  \_관직이 어모장군에 충좌위 대호군 승계 통정대부 형조참의였으며 
-증작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요. 기일은 12월 26일이며 +증작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 의금부사요. 기일은 12월 26일이며 
 묘는 양주군 이담면 연동 묘(卯)좌 지원이라.  묘는 양주군 이담면 연동 묘(卯)좌 지원이라. 
-배위는 정부인 파평 윤(尹)씨인데 부정 증 영의정 ()의 여며, +배위는 정부인 파평 윤(尹)씨인데 부정 증 영의정 ()의 여며, 
 삼척부사 증 좌찬성 계흥(繼興)의 손녀요, 좌찬성 돈(惇)의 증손녀라.  삼척부사 증 좌찬성 계흥(繼興)의 손녀요, 좌찬성 돈(惇)의 증손녀라. 
 공을 따라 졸 하심에 곧 합조하였느니라. \\ 공을 따라 졸 하심에 곧 합조하였느니라. \\
줄 52: 줄 52:
 종숙부 휘 윤광(允光)에게 출계하고, 3남은 찬(璨)이니 충좌위 대호군이오,  종숙부 휘 윤광(允光)에게 출계하고, 3남은 찬(璨)이니 충좌위 대호군이오, 
 4남은 선(璿)이니 성균 진사요, 5남은 창(琩)이니  4남은 선(璿)이니 성균 진사요, 5남은 창(琩)이니 
-선략장군 좌위 행 상주목사라, 나머지는 편석에 다 기록치 못하노라.\\+선략장군 좌위 행 상주목사라, 나머지는 편석에 다 기록치 못하노라.\\
 \_\_후예손 하섭(河燮) 근찬 \_\_후예손 하섭(河燮) 근찬
 </typo> </typo>
 </WRAP> </WRAP>
  
c-104.174606220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1 10:1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