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1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114 [2025/04/30 21:08] – ssio2 | c-114 [2025/06/27 09:19] (현재) – ssio2 | ||
---|---|---|---|
줄 1: | 줄 1: | ||
- | ===찰방황필구묘갈략(察訪黃弼者墓碣略)=== | + | ===찰방황필구묘갈략(察訪黃弼耉墓碣略)=== |
<WRAP 33em justify>< | <WRAP 33em justify>< | ||
<typo ff:' | <typo ff:' | ||
- | 直旌善治東舍音垡馬渴山枕子原有馬鬣而封者曰察訪黃公諱弼者之墓公字 | + | \_察訪黃弼耉墓碣略\\ |
- | 景壽\_肅廟己卯生蓮洞京第\_英廟壬子登文科序陞至六品除大同道督郵芯 | + | 直旌善治東舍音垈馬渴山枕子原有馬鬣而封者曰察訪黃公諱弼耉之墓公字 |
+ | 景壽\_肅廟己卯生蓮洞京第\_英廟壬子登文科序陞至六品除大同道督郵苽 | ||
未滿解歸于太白山春陽洞終身不求進用優老典進秩二品\_正廟庚子十月八 | 未滿解歸于太白山春陽洞終身不求進用優老典進秩二品\_正廟庚子十月八 | ||
- | 日壽八十二考終于舍音垡之正寢其先平海人襄武公諱希碩\_太祖開國功臣 | + | 日壽八十二考終于舍音垈之正寢其先平海人襄武公諱希碩\_太祖開國功臣 |
- | 六傳而吏曹參議諱瑞於公七世祖也曾祖諱得英承旨祖諱大元縣監考諱尚憲 | + | 六傳而吏曹叅議諱瑞於公七世祖也曾祖諱得英承旨祖諱大元縣監考諱尙憲 |
- | 贈禮曹參判她順興安氏外祖曰永逸嘉善配旌善全有章女從封貞夫人生卒皆 | + | 贈禮曹叅判妣順興安氏外祖曰永逸嘉善配旌善全有章女從封貞夫人生卒皆 |
- | 先公三年一年墓同山艮坐男在中允中俱郎階通德女適士人姜是在中男雄允 | + | 先公三年一年墓同山艮坐男在中允中俱郞階通德女適士人姜湜在中男𣛎允 |
- | 中男樸洙清晚清繼清雄出始清仁清致清樸出公生右文際\_熙朝輒登巍科如 | + | 中男樸洙淸晩淸繼淸𣛎出始淸仁淸致淸樸出公生右文際\_熙朝輒登巍科如 |
- | 拾地芥非其中苑有所抱足以彪炳照輝乎巨匠諸公之耳目不能然也使少附青 | + | 拾地芥非其中菀有所抱足以彪炳照輝乎巨匠諸公之耳目不能然也使少附靑 |
雲之士圖進取則無論其尊官厚祿終亦自列於當時議論之林而馳譽於後世學 | 雲之士圖進取則無論其尊官厚祿終亦自列於當時議論之林而馳譽於後世學 | ||
士大夫之口也決矣顧乃鴻飛木枯沒身蹈光而不少槩見豈亦有所懲者存而從 | 士大夫之口也決矣顧乃鴻飛木枯沒身蹈光而不少槩見豈亦有所懲者存而從 | ||
- | 吾之所好歟方其捷遲隱淪興會於泓崢動靜之際情忘乎賢邪進退之途青松白 | + | 吾之所好歟方其捷遲隱淪興會於泓崢動靜之際情忘乎賢邪進退之途靑松白 |
鹿金玉軒冕不知孰爲貴孰爲賤而吾所守而全歸者天之賦親之遺也觀夫自號 | 鹿金玉軒冕不知孰爲貴孰爲賤而吾所守而全歸者天之賦親之遺也觀夫自號 | ||
- | 西惠約隱蓋可見矣然存心忠孝肆力經傳推以及於獎育後進思興儒化於寂寞 | + | 西惠約隱盖可見矣然存心忠孝肆力經傳推以及於奬育後進思興儒化於寂寞 |
荒陬則又非沮溺輩長往忘世之所出鳴乎其賢矣彼饕貪勢利冒進而不知止者 | 荒陬則又非沮溺輩長往忘世之所出鳴乎其賢矣彼饕貪勢利冒進而不知止者 | ||
卒至禍國害民名戮辱而不隱不然者又冥心山巓水涯外仁義蔑道德自居抗雲 | 卒至禍國害民名戮辱而不隱不然者又冥心山巓水涯外仁義蔑道德自居抗雲 | ||
霄而不省其陷溺之甚視公果何如也然則謂公爲扶臣節衛聖門未爲過也公所 | 霄而不省其陷溺之甚視公果何如也然則謂公爲扶臣節衛聖門未爲過也公所 | ||
- | 著詩文爲籌攸灾後人無所於考德無乃造翁體公韜晦素志而故爲是劇耶是可 | + | 著詩文爲欝攸灾後人無所於考德無乃造翁軆公鞱晦素志而故爲是劇耶是可 |
- | 憾也晚清子塽率其三從孫河源越大嶺走五百里命銘牲石余不能不朽人辭愈 | + | 憾也晩淸子㙽率其三從孫河源越大嶺走五百里命銘牲石余不能不朽人辭愈 |
- | 固而請愈懇不能不銘\_銘曰解緩歸隱匪我果忘劬經造士愛及後昌天錫遐齡 | + | 固而請愈懇不能不銘\_銘曰解緩歸隱匪我果忘劬經造士爰及後昌天錫遐齡 |
王爵有章琢辭貞石永照無疆\\ | 王爵有章琢辭貞石永照無疆\\ | ||
- | \_\_吏曹參判光山金鶴洙撰 | + | \_\_吏曹叅判光山金鶴洙撰 |
</ | </ | ||
</ | </ | ||
줄 33: | 줄 34: | ||
공의 자는 경수(景壽)니 숙종 기묘(己卯)(1699)에서 서울 연동에서 생하고, | 공의 자는 경수(景壽)니 숙종 기묘(己卯)(1699)에서 서울 연동에서 생하고, | ||
영조 임자(壬子)에 문과에 등제하여 관직이 6품계에 승진되어 | 영조 임자(壬子)에 문과에 등제하여 관직이 6품계에 승진되어 | ||
- | 대동도 찰방을 제수받았으나, | + | 대동도 찰방을 제수받았으나, |
정조 경자(庚子) 10월 8일에 수 82로 사음대 정침에서 고종하였다. \\ | 정조 경자(庚子) 10월 8일에 수 82로 사음대 정침에서 고종하였다. \\ | ||
\_그 선계는 평해인이오, | \_그 선계는 평해인이오, | ||
- | 태조개국공신 평해군이오, | + | 태조 개국공신 평해군이오, |
증조의 휘는 득영(得英)이니 승지요, 조의 휘는 대원(大元)이니 현감이요, | 증조의 휘는 득영(得英)이니 승지요, 조의 휘는 대원(大元)이니 현감이요, | ||
- | 선고의 휘는 상헌(尚憲)이니 증예조참판이요, | + | 선고의 휘는 상헌(尙憲)이니 증 예조참판이요, |
외조는 영일(永逸)이요 관은 가선이라. 배는 정선 전유장(全有章)의 여요, | 외조는 영일(永逸)이요 관은 가선이라. 배는 정선 전유장(全有章)의 여요, | ||
공의 품계를 따라 봉 정부인하니 공보다 3년전 생하고, 1년전 | 공의 품계를 따라 봉 정부인하니 공보다 3년전 생하고, 1년전 | ||
- | 졸하였으며 묘는 같은 산 간(艮)좌원하니라. \\ | + | 졸하였으며, 묘는 같은 산 간(艮)좌원하니라. \\ |
- | \_슬하에 2남을 두었으니 재중(在中) 윤중(允中)이라, 모두 통덕랑이라. | + | \_슬하에 2남을 두었으니 재중(在中) 윤중(允中)이라 모두 통덕랑이라. |
여는 사인 강식(姜湜)에게 출가하다. 재중(在中)의 아들은 진(𣛎)이오, | 여는 사인 강식(姜湜)에게 출가하다. 재중(在中)의 아들은 진(𣛎)이오, | ||
- | 윤중(允中)의 아들은 박(樸)이라, | + | 윤중(允中)의 아들은 박(樸)이라, |
- | 다. \\ | + | |
\_공이 우문에서 나서 성명조정(聖明朝庭)에서 단번에 문과에 으뜸으로 | \_공이 우문에서 나서 성명조정(聖明朝庭)에서 단번에 문과에 으뜸으로 | ||
뽑히되 꼭 땅에서 검불을 줍는 듯이 하였으니, | 뽑히되 꼭 땅에서 검불을 줍는 듯이 하였으니, | ||
줄 53: | 줄 53: | ||
관직의 고하나 질록의 후박은 논할 것 없고, 끝내는 | 관직의 고하나 질록의 후박은 논할 것 없고, 끝내는 | ||
자연히 물망에 오르내리다, | 자연히 물망에 오르내리다, | ||
- | 단언하겠으나 그럼으로 다시 그의 심중을 추리해 볼 때 | + | 단언하겠으나, 그럼으로 다시 그의 심중을 추리해 볼 때 |
- | 올바른 도리를 행하기 위하여는 세상 영달을 잊고, | + | 올바른 도리를 행하기 위하여는, 세상 영달을 잊고 |
세속에서 멀리 떨어진 경지에 몸을 두고 초목과 같이 썩을지라도 | 세속에서 멀리 떨어진 경지에 몸을 두고 초목과 같이 썩을지라도 | ||
조금도 마음에 구애됨이 없는 그 어떤 신비의 체험에서 얻어진 결론으로 | 조금도 마음에 구애됨이 없는 그 어떤 신비의 체험에서 얻어진 결론으로 | ||
- | 매진한것인지도 모르겠도다. \\ | + | 매진한 것인지도 모르겠도다. \\ |
- | \_바야흐로 벼슬하지않고 자행자지하며 세상을 피하여 | + | \_바야흐로 벼슬하지 않고 자행자지하며 세상을 피하여 |
- | 무아 상태에서 신인합일 경지로 화평과 희락을 누리고 | + | 무아 상태에서 신인합일 경지로 화평과 희락을 누리고, |
또 때로는 높은 산 깊은 물의 동정에 감회하니, | 또 때로는 높은 산 깊은 물의 동정에 감회하니, | ||
조정의 현사진퇴는 관심이 없고, 또는 금관자 옥관자 청송백록을 무늬놓은 | 조정의 현사진퇴는 관심이 없고, 또는 금관자 옥관자 청송백록을 무늬놓은 | ||
줄 70: | 줄 70: | ||
\_그러나 충효에 유심하고 경전에 힘을 기울여 나아가서 후진을 장육하여 | \_그러나 충효에 유심하고 경전에 힘을 기울여 나아가서 후진을 장육하여 | ||
유교사상을 일으켜 교화가 적막한 산간과 황망한 해추에 까지 | 유교사상을 일으켜 교화가 적막한 산간과 황망한 해추에 까지 | ||
- | 취급하였으니 장차(長沮) 걸닉(桀溺)의 무리와 같이 망세독주(忘世獨往)한 | + | 취급하였으니 장저(長沮) 걸닉(桀溺)의 무리와 같이 망세독왕(忘世獨往)한 |
것도 아니니, 오호라 현인이였도다. \\ | 것도 아니니, 오호라 현인이였도다. \\ | ||
\_대저 권세와 명리를 탐하여 염치없이 나아갈 줄만 알고 | \_대저 권세와 명리를 탐하여 염치없이 나아갈 줄만 알고 | ||
그칠 줄을 모르는 자, 그 종말은 나라에 화를 더하고 백성에게 해를 | 그칠 줄을 모르는 자, 그 종말은 나라에 화를 더하고 백성에게 해를 | ||
끼치고, 자신의 이름을 더럽히고 인생을 구원치 못하느니라. | 끼치고, 자신의 이름을 더럽히고 인생을 구원치 못하느니라. | ||
- | 그렇지않으면 산상에서 해변에서 마음을 어둡게 하여 인의를 | + | 그렇지 않으면 산상에서 해변에서 마음을 어둡게 하여 인의를 |
외면하고 도덕을 무시하며 하늘에 오르고 구름을 잡는 듯이 | 외면하고 도덕을 무시하며 하늘에 오르고 구름을 잡는 듯이 | ||
과대망상증에 빠지는 것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것이 보통이어늘 | 과대망상증에 빠지는 것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것이 보통이어늘 | ||
그러면 공은 어떠하였는가? | 그러면 공은 어떠하였는가? | ||
- | 진실로 공은 세속에서 초연함을 알수있도다. | + | 진실로 공은 세속에서 초연함을 알 수 있도다. |
그런즉 공이 만약 신절을 잡고 조정에서 계속 시위하였더라면 잘못이 | 그런즉 공이 만약 신절을 잡고 조정에서 계속 시위하였더라면 잘못이 | ||
- | 아니었으리라 생각하노니 공이 지은 시문(詩文)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니, | + | 아니었으리라 생각하노니. 공이 지은 시문(詩文)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니, |
후인이 다시 그 덕성을 생각하고 면구할 근거가 없어졌도다. | 후인이 다시 그 덕성을 생각하고 면구할 근거가 없어졌도다. | ||
이것이 조물주가 공의 본 뜻이 그 재질이나 학문을 나타내지 | 이것이 조물주가 공의 본 뜻이 그 재질이나 학문을 나타내지 | ||
않으려는 것을 잘 아는데서 온 희극이 아니었는지 모를 일이로다.\\ | 않으려는 것을 잘 아는데서 온 희극이 아니었는지 모를 일이로다.\\ | ||
- | \_만청(晩淸)의 아들 | + | \_만청(晩淸)의 아들 |
- | 태산준령을 넘어서 5백리를 달려와 갈명을 지어 줄 것을 청하는지라 | + | 태산준령을 넘어서 5백리를 달려와 갈명을 지어 줄 것을 청하는지라, |
나는 죽은 사람을 썩지 않게 할 능력이 없음으로 고사하였다. | 나는 죽은 사람을 썩지 않게 할 능력이 없음으로 고사하였다. | ||
- | 그러나 재삼간청이 극진함으로 피치 못하여 명을 짖노라. 銘왈 \\ | + | 그러나 재삼간청이 극진함으로 피치 못하여 명을 짖노라. |
- | 인끈을 풀어놓고 돌아와 은거하나 세상을 저버리고 잊으려는 것은 아니다. | + | \_명(銘)왈 \\ |
- | 경전을 힘써 배우고 학문을 깊이 닦아서 후배들이 흥창하게 함이로다. | + | \\ |
- | 하늘이 목숨을 길게 해주시고 나라의 임금이 벼슬을 내리시도다. | + | 解緩歸隱 |
- | 아름다운 비석에 빛나는 행적을 새기니 길이 비추어서 무궁하리로다.\\ | + | 匪我果忘 |
+ | 劬經造士 | ||
+ | 愛及後昌 | ||
+ | 天錫遐齡 | ||
+ | 王爵有章 | ||
+ | 琢辭貞石 | ||
+ | 永照無疆 | ||
+ | \\ | ||
\_\_이조 참판 광산 김학수(金鶴洙) 찬 | \_\_이조 참판 광산 김학수(金鶴洙) 찬 | ||
</ | </ | ||
</ | </ |
c-114.174601493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30 21:08 저자 ssio2